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고궁탐방) 연꽃이 피는 연못, 후원의 애련지,애련정

선 돌 2011. 8. 1. 01:00

 

 

            

 

 

 

                개혁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22세에 요절한

                효명세자의 의두합과 애련지(愛蓮池), 애련정(愛蓮亭)

 

 

                   제2권역 의두합,기오헌,애련지, 애련정이 위치한 곳입니다.

 

                       효명세자가 공부와 사색을 즐겼다는 의두합과 기오헌의 돌담이 멀리 보입니다.

 

                         효명세자가 공부하고 사색을 즐겼다는 의두합과 기오헌를 시간 관계상 문 앞에서 만

                          보고 갑니다. 

     

                         개혁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22세에 요절한 효명세자 !

                       조선의 명군은 세종대왕,정조대왕으로 생각되는데 효명세자가 왕위에 올랐다면 명군의

                 반열에 서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효명세자는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인물이나, 할아버지인 정조대왕을 빼 닮아 영특하고

                 학문에 밝았다 한다. 19세의 나이로 부왕 순조의 명에 따라 대리청정을 시작한 세자는 안동 김씨 등

                 세도세력을 약화시키고 개혁정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유를 알 수없는 병에 걸려, 정조임금과 

                 닮은 꼴의 생을 마감하는 효명세자는 군주에 등극하지 못하고 죽어서야 왕이 된다.하지만 그의

                 대리청정 3년은 조선왕국을 희망에 부풀게 하기에 충분한 시간이었습니다.

                     펼쳐 보지도 못하고 꺼져버린 등불이었으나 그 불빛 만큼은 누구라도 돌아보게 할 만큼

                  찬란하지 않았나 생각하며, 그 불빛이 세상을 비추었다면 조선의 역사도 달라지지

                  않았을까 또 한번 생각합니다.

 

                       두합으로 통하는 금마문과 맞은 편에는 창경궁으로 통하는

                         영춘문이 있으며,돌담 끝에는 불로문이 보인다.

 

                    가까이 다가오니 돌과 기와가 어울린 궁궐안의 담장은 아무리 보아도 멋지군요.

 

       

                   불로문.

                   애련정과 애련지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진 돌문으로 왕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세워졌다고 한다.  언제 만들어진 것인지는 정확하지 않다고 하는데 옛부터

                무병장수의 욕망은 변할 수 없는 듯......

                    비 속에서도 열심히 해설하시는 해설사님...... 하루 2회정도 하신다니 따로 운동하실

                 필요가 없으실 것 같습니다.

 

       

                              애련지와 애련정이 돌담 끝으로 보입니다.

                       왼쪽의 문은 의두합과 기오헌으로 통하는 문이며,

                         앞에 보이는 문을 통과하면 연경당 쪽으로 가게된다.                  

 

                        애련정 (愛蓮停).

                        애련정은 부용정처럼 두 다리를 물 속에 담그고 있습니다.

                        애련정에 들어가 앉으면 난간 위로 기둥에 장식한 낙양각이 드리워지는데,

                    마치 그림틀의 액자 같아서 앉아서 내다보는 경치가 한폭의 그림 같다고 하며,

                   철따라 변하는 기막힌 경관을 임금님은 사랑하는 빈과 함께 여기에서 즐겼겠지요.

                     

     

                       애련정 좌우에 있는 석재 조형물인데 .....사자 문양같은 좌대에 올려놓은

                      괴석의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