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고궁탐방) 도심속의 심산유곡 후원의 옥류천일대

선 돌 2011. 8. 4. 01:00

 

 

                 

 

 

                   심산유곡(深山幽谷)에 있는 듯한 옥류천 일대

 

                                이곳은 창덕궁 후원 속에서 가장 깊은 계원(溪苑)입니다.

                      1636년 인조가 이 계원을 조성했다. 계류는 북악산의 동편 줄기의

                     하나인 응봉(鷹峯)의 산록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산내와 어정(御井)을

                     파서 천수(泉水)를 흐르게 하였다.

 

                        

 

                                  판석 등으로 간결한 석교를 놓고 어정 옆의 자연 암석인 소요암을 ㄴ형을 파서

                        곡수구와 폭포를 만들고 암벽에 시문을 새겼습니다.

 

                                 정자 앞에는 작은 지당(池塘)도 설치하고 초정(草亭)인 청의정은 물 속에 건립하여

                    긴 판석 다리를 거쳐 들어가게 하였으며, 이곳은 삼복의 더위에도 물이 차고 숲이 짙어 추위를

                    느낄 것 같습니다. 주위의 숲은 심산계곡을 연상시킨다.

                        

                         이 옥류천에 앉아 계곡사이에 피어오르는 운무(雲霧)를 보고 있으면 선경에 들어온 듯 하다고

                     합니다. 소요암에 곡수구를 파고 폭포를 만든 것은 1636년 인조 때입니다.

 

 

                       '옥류천'이란 각자는 인조의 글씨이다

 

                '飛流三百尺 遙落九天來 看是白虹起 飜成萬壑雷'의 오언시는 옆에 주기한 '庚子二月 癸未題' 라하여

              1690년 숙종의 시를 새긴 것인데, 이 시를 풀어보면 "흐르는 물은 삼백척 멀리 날으고, 흘러 떨어지는

             물은 높은 하늘에서 내리며 이를 보니 흰 무지개가 일고 온 골짜기에 천둥과 번개를 이룬다"는 뜻입니다.

 

                                  주목.

                                 동아시아  원산의 상록침엽교목으로 4월에 꽃이 피며,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되며 나무껍질과 속살이 유난히 붉어 주목이라한다.

 

 

 

                                                             키가 커다란 주목이 또 한그루  있습니다.

 

 

                                 계류가에는 청의정·소요정·태극정·농산정·취한정을 적절히 배치했다.  

 

 

                          초가의 청의정과 태극정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