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와 맛집/전라남,북도 맛집

(벌교맛집) 골이깊은 벌교참꼬막 달콤하더만요. 원조꼬막회관정식

선 돌 2011. 10. 10. 20:08

 

 

 

 

                      골이깊은 벌교참꼬막 달콤하더만요.

 

            호남지방에 오면 예전에 "여수에서 돈 자랑하지말고, 순천에서 인물 자랑하지말고,

            별교에서 주먹자랑하지 말라" 는 말이 있다 하는데 이 것이 맞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지만

                벌교에서 꼬막자랑은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오랜만의 호남의 순창,장흥,고흥,순천 등을 돌아보면서 벌교의 꼬막정식을 먹어 보았는데

            그 동안 밥반찬으로서 양념간장을 뿌린 꼬막을 가끔 먹어 보았지만 이렇게 다양한 꼬막요리는

                처음 먹어 보았답니다.

 

                   짧은 시간에 돌다보니 장흥에서 너무 여유를 부렸나 봅니다.

                   별교에 도착한 시각이 조금 늦은 시각이 되었습니다.

                     

                         벌교의 친지와 만나 식당에 간 시간이 저녁 8시가 훨씬 넘은 시간이라  손님은 많지 않아

                              호젓하게 식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새우볶음, 감자조림,게무침, 미역무침, 도라지무침

 

     

                  박대라고 하면 잘 모르시는분들이 많이 있지만 아랫 지방에서는 많이 먹는 생선 박대찜,

                   묵은김치, 버섯볶음, 콩나물무침 등 밑반찬 가지수만  9가지 입니다.                                   

 

                    우린 15,000원/인 인 꼬막정식을 시켰는데  밑반찬의 상차림입니다.

                       차림상에는 떡(술떡이라 함)과 꼬막탕수욕이 나오고 꼬막 전도 보입니다.

 

                       비벼드실 분을 위해 김과 참기름이 든 놋그릇이 각자의 상에 준비되구요. 

 

                        이것이 준비가 끝난 꼬막정식의 상차림입니다.

 

                      꼬막으로 만든 탕수육과 기증떡을 술떡이라고도 부르는 떡이

                        밀가루가 아닌 쌀가루였어요.

 

                          꼬막구이

 

                      양념꼬막. 이건 많이 먹어 본 밥반찬이지요.

 

                           뽀골 뽀골 끓고있는것은 꼬막 된장국,

 

 

                         꼬막된장국과 꼬막전 입니다.

 

                                 새콤, 달콤, 매콤한 맛이 입맛을 돋게하는 꼬막무침은

                                      자꾸만 군침이 도는게 손이 자주가는 감초였습니다.

 

                     삶은 통꼬막입니다.

                        벌교꼬막 구별법은 팁이예요...ㅎㅎㅎ

                    겉의 골이 깊이 패인 모습이 그냥 매끄러운것과는 확연히 다르지요? 

                          

                            꼬막을 까서  쫄깃하고 싱싱한 맛을 음미해 봅니다.

 

                          꼬막을 까는 것도 편리하게 펜치같은 연장을 준비해주어 불편함이 없습니다.

                              꼬막 뒤 꽁무니에 입을 벌리니 바로 살이 나왔어요.

                            참 편리한 물건들이 개발 되었군요.

                   

                        전 꼬막정식의 먹는 법을 잘 몰라 밥을 그냥 먹으려 하였는 데

                     비벼 먹는 것이 더 맛있다고 하는군요.

 

 

               위의 사진처럼 비빔 놋그릇에 밥을 넣고, 식성에 따른 반찬과 꼬막 무침을 넣어 다음, 통꼬막을 까서 먹을 만큼

            넣어 비비는 데, 좋아 하시는 분들은 까서 넣는 량이 상당히 많더라구요.

 

                             잘 비빈 꼬막비빔밥입니다.

                          새콤,달콤,매콤의 쓰리 콤 맛에 싱싱하고 쫄깃한 꼬막살의

                          맛이 일미 입니다.

 

                                                          상   호  :    원조 꼬막회관

                                                          위   치  :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 657번지

                                                          전   화  :    061-857-9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