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군위여행] 절벽의 자연동굴에 조성된 석굴사원/ 제2석굴암 삼존석굴

선 돌 2011. 11. 3. 05:00

 

          

 

 

        절벽의 동굴에 만들어진 석굴사원

        제2석굴암 삼존석굴

 

           제 2의 석굴암이라 불리는 삼존석굴(국보 제109호)를  탐방하러

           경상북도 군위군 팔공산 자락으로 갑니다.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으로, 인공적

          으로 만들어진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제24호)보다 연대가 100여년 앞선다고 합니다.

 

            삼존석굴 들어가는 왼편에는 늘씬하진 않지만 멋드러진 소나무 숲이

      형성되어 주위의 나무들과 대조가 됩니다.

 

           극락교를 건너기 전 곱게 물든 단풍으로 가려진 비로전과 모전석탑이

      희미하게 보입니다.

 

           삼존석불 앞의 모전석탑의 주위를  돌며 소원을 발원하며

      기도를 하는 여인들이 보이고,

 

          삼전석굴 모전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사진올 보아서 그런지 앞뒤가 균형이 맞지않게 쌓여진 모습의

      모전석탑은 단층 기단위에 단층 탑신부를 조성한 특이한 형태로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탑신부는 근래에 다시 축조되어 원형에서 변형되었으나 본래의

      탑형을 유지하고 있고, 탑은 사각형의 단층 기단위에 화강석재을 걸고

      얇게 장방형으로 잘라 방형의 단층 탑신부를 조성한 형태이고,

 

           본래 3층탑이었으나 도괴된 것을 1949년 현 모습대로 복원하였고

      현재 기단부가 매물되어 완전한 탑형을 알기엔 곤란하나, 전형석탑의

      기단부를 형성한 것이 주목됩니다.

    

            삼존석굴(국보 제109호)

      오늘 탐방의 하이라이트인 이 석굴에는 서기 700년경에 만들어진 미타 삼존석불이 모셔져 있는데,

      본존불은 2.88m, 왼쪽 보살상은 1.8m, 오른쪽 보살상은 1.92m이다.

 

           가운데 부처님 본존불은 사각형의 대좌(臺座) 위에 결가부좌로 발바닥이 위로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다.  삼국시대 불상에서 보이던 친근한 미소가 사라지고 위엄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인데, 우리나라

      불상에서 나타나는 최초의 예로써 의의가 크다.

 

           같은 양식의 좌측 관세음보살님상과 우측 대세지보살상은 각각의 머리에 작은 불상과 정병이

      새겨진 관(冠)을 쓰고 있는 입상의 아미타불입니다.

       

          이 불상은  삼국시대 조각이 통일신라시대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높은 문화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 암벽 동굴 속에 불상을 배치한 본격적인 석굴사원이라는 점에서 불교

      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좀더 가까이 보려하니 출입구에 굳게 닫혀진 문에 자물쇠로 잠겨 있어

      이걸로 만족해야 합니다.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軍威三尊石窟石造毘盧遮那佛坐像]

      1991년 5월 14일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58호로 지정되었으며, 삼존석굴 경내 연못가에 있었던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모두 없어졌다.

 

         원래는 현재의 지점에서 북쪽으로 30여 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되었는데, 1990년 대중창 불사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오면서 대좌는 새로 만들었고,  조성 기법으로 보아 비로자나불상이 많이 만들어지던

      9세기말에 속하며, 석굴의 아미타삼존상과 함께 불상 양식의 변화와 신앙의 변천과정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석불입니다.

 

         불상의 형식은 결가부좌에 법의(法衣)는 통견의(通肩衣) 형식이나 양쪽 어깨를 감싼 옷이 약간 걸쳐

     있어 앞가슴이 넓게 드러나 보인다. 그러나 겉옷 속에 걸치는 승각기(僧却崎)라는 속옷으로 가리고 있다.

     이런 기법은 팔공산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동화사 입구 마애불좌상(보물 243)처럼 9세기의 불상양식에서

     흔히 유행하던 방식이다. 머리는 나발(螺髮)에, 육계(살상투)는 평평한 편이며, 뒷면은 약하게 조각되었다.

 

        목은 짧은 편이지만 삼도(三道)를 표시했다. 얼굴은 윤곽이 뚜렷하고 두 뺨은 통통하며 귀는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각 부분에 양감(量感)이 있다. 수인(手印)은 다소 왜소해 보이는 두 팔을 가슴 앞에 모아

     왼쪽 검지를 세워 오른손으로 감싸쥔 지권인(智拳印)을 지었는데, 전형적인 비로자나불상의 모습이다

 

 

           삼전석굴 왼편으로 30여 미터위에 있는 삼성각.

 

          삼성각 안의 탱화          

 

          통제구역안의 광명선원 기까이에 있는 범종각.

 

           모전석탑 옆의 비로전입니다.

 

          전통문화교육원에서 바라본 소나무숲은 삼존석불의 가피력을 담고 있는 듯. 그 기운이

      온 몸으로 스며들어 가슴속의 스트레스를 몽땅 날려보내 주었으면 합니다. 

           팔공산 전통문화교육원.

 

             삼존석굴로 가는 차창의 오른편으로 보이는 암벽이 멋진 모습.

      석굴이 있는 암벽과 흡사한 모습입니다.

 

                           위   치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516번지

                                         제2 석굴암 (삼존석굴)

                           연락처  : 054) 380 - 6062

 

                                 

 

           ◎ 군위의 또 다른 여행기

(군위여행) 삼국유사의 고장 군위로 떠난 1박2일 여정: http://blog.daum.net/ykp702/209 

[군위여행] 김수환추기경 체취가 흠씬 느껴지는 소박한 생가: http://blog.daum.net/ykp702/211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 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