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의 넓고도 깊은 시공(時空)을 건너,악성 우륵을 만나다. 고령의 우륵박물관
1,500년의 넓고도 깊은 시간의 바다를 건너/
가야금에 뜨거운 열정을 다 바쳤던
악성 우륵을 만나다.
우륵박물관은 일반인들에게는 우리의 고유 악기인 가야금과
창시자인 우륵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살아 있는 교육의 장소이며,
잊혀져 가는 전통 음악의 향기를 간직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곳을 가야금의 고장에 설치한 것입니다..
우륵 박물관의 전경.
가야금을 연상할 수 있는 건축물입니다.
우리나라 3대 악성 중의 하나인 우륵은 가야국 嘉實王(가실왕) 때 악사로 활약한
가야금의 명인이자 시조로, 가야국 省熱縣(성열현)에 살다가 가실왕의 부름을 받아
대가야(경북 고령 정정골)로 옮겨 궁중 악사로서 가야금을 창제하고 가야의 음악과
춤 노래 등을 통합 발전시켰습니다.
우륵은 당시 전해지고 있던 여러 형태의 현악기를 오늘날과 같은 가야금으로
만들었으며 가야 각 지역의 향토성 짙은 음악을 고급예술로 승화시킨 樂聖(악성)입니다.
입구에 입는 우륵의 가야금 연주하는 모습
전시실에는 우륵의 초상화, 악성 우륵을 찾아서, 악성 우륵, 가야의 혼을 지킨 우륵, 민족의 악기 가야금,
우륵의 후예들 등 다섯 가지 주제로 꾸며져 있습니다.
우륵이 살았던 대가야의 주변 정세와 문화를 소개한 "악성 우륵을 찾아서" 란 테마의 전시물로
당시의 연대표로 우리의 음악역사, 고령의 역사 그리고 대가야의 음악적 뿌리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신라시대의 토우들이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
우륵은 신라로 망명하였으나, 가야의 혼을 지킨 삶이
그의 제자들의 활약으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가야금의 명인들의 모습인데, 제가 알 수 있는 분은 박 귀희, 안숙선 등 비교적 근세에
활동하셨던 분입니다.
박물관 내 가야금 공방에서 직접 가야금을 제작해 보는
가족 단위 가야금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야금의 재료들.
광주 신창동에서 발굴된 가야금 유물인데 현재 복원중 입니다.
.
전통의 장악가야금에서 현대의 실용화된 가야금까지 가야금의 변천과정을 알 수있는 전시물.
가야금의 제작과 가야금 12곡을 만들게 되기까지의 가야금에 얽힌 흥미로운내용으로 우륵과
가야금의 가치를 재발견 할 수 있는 고대 가야금의 체계를 알 수 있는 전시물.
(불행히도 가야금 12곡은 이름만 전해온다 하는군요)
악보와 함께 전시된 변천과정.
박물관에선 각종 전통악기를 연주해볼 수 있는
쳬험 프로그램이 있다하니 이용해 보는 것도 아이들에게는
아주 유용할 것 같군요.
전통 악기는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등 모두 18점이 있습니다.
조선조 성종 당시의 실용음악 이론서인 악학궤범은 아악,당악, 향악을 체계화한 기술적인 음악도서이며,
가야금의 제작, 연원,구조 등을 포함아여 7권으로 소개되어 있다 합니다.
원평동 백제산성에서 발굴된 유물
우륵국악기연구원(가야금공방)입니다.
악성 우륵의 얼을 이어 받아 국악의 고장인 정정골에서 가야금,거문고,등의
국악기를 연구 제작 보급하기 위해 우륵국악기연구원을 설립하여 우리의 고유문화를
널리 알리고 전통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야금 제작용 재료인 나무들.
관람안내 :
하절기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동절기 :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매주 월요일은 휴관.
위 치 :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쾌빈리 162
전 화 : 054) 950 - 6789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