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조선왕조 건국의 시조,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모셔진 경기전
조선왕조 건국의 시조,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모셔진 경기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소실되었으나 영정은 묘향산 보현사
(普賢寺)에 옮기어 보존할 수 있어, 조선건국의 시조인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볼 수 있도록 600 년의 명맥을 이어온 경기전
을 둘러 봅니다..
현재의 건물은 1614년(광해군 6) 관찰사 이경동(李慶仝)이 다시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중건한 것이다. 건물의 구성을 보면 본전은 정면 3칸, 옆면 3칸으로 되어 있고,
본전 외 창고를 위시하여 여고(輿庫)와 조선왕조실록를 보관하는 실록각(實錄閣)이
라고 하는 문고(文庫)가 있다.
찬바람에 쌀쌀한 기온으로 몸을 움츠리게 하는 이른 아침은 경기전의 입구도
스산하게 보입니다.
하마비(下馬碑)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던지 이 곳을 지날 때는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뜻을 새긴 표석입니다.
본전의 서편에 있는 부속채 건물들입니다.
경기전 [慶基殿]은 사적 제339호.로 1410년(태종 10) 어용전(御容殿)이라는
이름으로 완산(完山)·계림(鷄林)·평양 등 3곳에 창건하여 태조의 영정을 봉안했고,
1442년(세종 24) 그 소재지마다 이름을 달리하여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
(集慶殿), 평양은 영종전이라 합니다.
태조 이셩계의 어진이 모셔진 경기전의 정전(본전).
본전은 남향의 다포식(多包式) 맞배집 건물로 높게 돋우어 쌓은 석축 위에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세웠는데 건물 안의 3번째 기둥렬에 고주(高柱)를 세우고
그 가운데에 단(壇)을 놓았다. 이 단의 양옆에는 일산(日傘)과 천개(天蓋)를 세웠다.
본전 앞의 헌(軒)은 본전보다 1단 낮게 쌓은 석축기단 위에 4개의 기둥을 세우고
2익공식(二翼工式) 포작(包作)을 짜올린 맞배지붕 건물이다. 본전과 헌의 구성은
정자각(丁字閣) 구성과 같다.
조선건국의 시조인 태조 이성계의 어진으로 경주와 평양에 모셔졌던 어진은
임진왜란 불타고, 이 곳 경기전의 어진만 유일하게 남아 있었으며. 고종 9년에
낡은 어진을 불에 태우고, 새로 그린 것입니다.
향로와 향합을 싣고가는 가마로 태조 어진을 봉안할 때 사용했던 것이나,
지금은 치워져 박물관으로 간 듯 합니다.(예전에 찍어 두었던 사진임)
전주사고로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였던 문서고입니다.
부속채에서는 전통기능 보유자의 삼베짜는 모습을 볼 수있고 체험도 할 수
있다 합니다.
짚신 등을 삼는 모습.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어진 제각인 서재.
제향(제사)때 각종 그릇이나 제사를 지내는 기구를 보관하는 제기고.
어정(御井)
전사청 (典祀廳)
국가의 제사에 쓸 제수준비와 제사상 차리는 일을 담당하는
전사관이 사무를 보면서 제사준비를 하는 곳입니다.
위 치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102
전 화 : 063 - 281 - 2790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