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경주) 과거에 급제한 생원과 진사가 유학을 가르치는 사마소

선 돌 2012. 4. 7. 00:00

 

                  과거에 급제한 생원과 진사가 유학을 가르치는

                  사마소

 

                          지난해 최부자고택을 찾았을 때도 문이 잠겨있어 자세히 볼 수

                        없었는데, 이번에도 문이 잠겨 담 넘어로 본 사마소를 소개합니다.

                        

                          사마소는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한 그 지방의 생원과 진사들이

                        유학을 가르치거나 정치를 토론하던 곳입니다. 지위가 높은 사람도

                        자기 수양을 위해 이 곳을 찾아 왔다고 합니다. 조선조에는 교육기관

                        으로 향교,서원,성균관으로 요즘의 초등,중고등,대학교로 가름하면

                        되겠지요. 이곳도 교육기관의 일종이긴한데...

 

                             경주 사마소는 이곳으로부터 동쪽으로 300m 거리에 있는 경주향교 부근에

                       신라시대 월정교터의 북쪽 교대 위에 세워져 있던 것을 1984년에 이곳으로 옮겨

                  왔다고 한다. 건물의 구조는 전면에 유생들이 모여서 토론을 하던 사마소 건물이

                  있으며,그 옆에 작은 정자인 병촉헌이 있고, 뒷편에는 부엌이 있는 살림집이 있다.

 

                         하마비(下馬碑) ,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하마소 인

                       줄 알았는데 사마소이군요.)

 

                                                  

                         司馬所(사마소), 風詠亭(풍영정)]이 나란히 있습니다.

                      風詠亭(풍영정)은 갓 사마시에 합격한 젊은 사류가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풍영정의 서쪽 炳燭軒(병촉헌)에는 원로 선비들이 머물렀다고 한다.

 

 

                              司馬所(사마소)라는 현판은 영조 38년(1762) 당시의

                          府尹(부윤) 洪良漢(홍양한)이 쓴 것이다.

                     風詠亭(풍영정) 언제 처음 세웠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宣祖(선조 25년, 1592)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뒤

                    英祖(영조 17년, 1741)에 다시 지어 風詠亭(풍영정)이라 불렀다.

 

                         사마소는 조선 중기 지방의 생원.진사들이 설립한 자치기구로

                      원래는 고려시대 사심관제도에서 시작하여 지방의 유력인사들이

                      조직한 유향소라는 자치조직이 있었으나 주로 중앙에서 고위관직을

                      지내다 낙향한 인사들 위추로 구성되어 지방 수령보다 그 직위가

                      높아서 수령을 능멸하는 일이 잦아서 오랜기간동안 혁파되었다가

                      다시 생겨나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들 노소의 선비들은 엄격한 자리

                     구별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시로 합석하여 글을 읽고 시문을

                     논했다고 합니다.

                           

 

                        담옆으로 덩그러니 놓여있는 영광대(影光臺)는 1860년 가을에 경주 선비들이

                     무너진 월정교 석재를 운반하여 대(臺)를 쌓은 것이라고 한다. '영광(影光)'은

                     송나라 주희(朱熹)의 시(詩) '천광운영공배회(天光雲影共徘徊)'에 나온 글로서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가 함께 배회한다'는 뜻이며, 책을 읽으면 그 속의 성현의

                     아름다운 말과 권계(勸戒)가 되는 글귀가 담겨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대석

                     (臺石) 또한 원래 사마소(司馬所)에 세워져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위  치 :  경북 경주시 교동 89-1

                                     사마소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