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삼척여행) 시 한수를 읊어보는 관동팔경의 으뜸이며 제1루로 손꼽히는 죽서루

선 돌 2012. 10. 13. 03:35

 

 

 

               시 한수를 읊어보는 관동팔경의 으뜸이며 제1루로 손히는

               죽서루

                        

                         주변 두타산의 푸른 숲, 삼척시의 서쪽을 흐르는 오십천이 내려다 보이는

                       깍아지른 듯한 절벽 위에 있어, 예로부터 관동팔경의 으뜸이며 제1루로 손

                       꼽히는 죽서루는 보물 제213호입니다.

 

                         오십천의 시리도록 푸른빛을 띤 맑은 물이 감싸는 오래된 누각의 반영이 아름다울 것

                       같아 담아보려 했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란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여 지은 다락형식의 집으로, 이 건물은 고려

                    충렬왕 1(1275)에 대학자 이승휴 선생이 세웠다. 그 뒤 조선 태종 3(1403)

                    삼척부의 수령인 김효손이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름은 누의 동쪽으로

                    죽장사라는 절과 이름난 기생 죽죽선녀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합니다.

  

 

                          빼어난 경치로 "외출"의 촬영지 이기도 합니다.

 

                          한글날이 다가와, 삼척문인협회에서는 제왕운기의 대서사시인인 이승휴 대학자의

                        이름으로 백일장을 개최하고 있었습니다. 시제는 죽서루,오솔길,꿈,편지로 많은 학생

                        들이 참여하여 아름다운 글를 남기겠지요.

  

                                      우람한 고목 은행나무는 죽서루와 세월을 함께한 듯....

 

                         주변의 많은 기암괴석 중 용문바위라는 이름를 가진 이 바위의 구멍을 지나면 

                        소원을 이룬다고 많은 여자분들이 통과하더군요. 소원성취하세요!.... 

 

 

                         용문바위위에 여성생식기를 상징하는 성혈 암각화의 구멍이 있는데, 이는 선사시대 풍요,

                      생산, 다산을 상징하는 것으로 원시신앙의 형태로 발전하여,조선시대에는 칠월칠석 자정

                      성혈터를 찾아 일곱구멍에 좁쌀을 담아놓고 치성을 드린 후, 그 좁쌀을 한지에 싸서 치마폭

                      에 싸 가면 아들을 낳는다는 민간신앙이 있었다고 합니다.

 

 

                        죽서루는 앞면 7·옆면 2칸이지만 원래 앞면이 5칸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도 천장의 구조로 보아

                     원래 다른 형태의 지붕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지만 재료 형태는 다른 양식을 응용한 부분이 있다.

 

 

                          누각위에서도 백일장에 참석한 많은 학생들이 글짓기에 열심입니다.

 

                         

 

                        누각에는 율곡 이이 선생을 비롯한 여러 유명한 학자들의 글이 걸려 있는데, 그 중

                     제일계정(第一溪亭)’은 현종 3(1662)에 허목이 쓴 것이고,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

                     는 숙종 37(1711)에 이성조가 썼으며 해선유희지소(海仙遊戱之所)’는 헌종 3(1837)

                     에 이규헌이 쓴 것입니다.

 

 

  

 

                         이 누각의 특징중에 하나로 자연적인 암반위에 기둥을을 세워 기둥의 길이가 각각

                       다른 것입니다.

 

 

                         죽서루 주변의 은행나무들이 단풍이 들어 노랗게 물들 때쯤이면 그 경치도 멋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위 치 : 강원도 삼척시 죽서루길 44 (성내동9-3)

                         전 화 : 033) 570 - 3670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