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봉화여행) <춘향전> 이도령의 실존인물인 성이성(成以性)의 생가인 계서당(溪西堂)

선 돌 2012. 12. 15. 22:00

 

 

              춘향전  이도령의 실존인물인 성이성(成以性)의 생가인

          계서당(溪西堂)

 

               춘향전은 고전소설로서 등장인물들은 가상의 인물들로 생각해왔고,

             남원의 육묘정 근처의 춘향묘(春香墓)1962서옥녀지묘라고 새

            겨진 지석이 발견되어 이후 묘역을 새로 단장하였다고 하니, 봉화의

            계서당에 와 이도령이 실존인물이라는 말을 듣고 그것을 믿게 하는 것

            같습니다. 

 

               계서당이 있는 마을은 마침 눈이 내려 어릴 적 정겹게 보았던 풍경으로, 농촌마을에 눈이

             내려 평온한 시골 한옥마을의 정경을 보여줍니다. 

 

               들녘에 쌓아 논 볏짚단에도 눈이 내렸는데, 요즘에는 흔히 볼 수있는 풍경이

             아니기에 궁금하기도 하지만 정겨운 옛모습이기도 합니다.

 

              계서당(溪西堂)은 <춘향전>에서 이몽룡의 실제인물로 알려진 성이성(成以性) 선생이

           1610(또 다른 문헌에는 1613)에 건립하여 문중 자제들의 훈학과 후학 배양에 힘쓴

           곳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그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합니다. 성이성은 창녕성씨로서 남원

           부사를 지낸 성안의(成安義)의 아들로,인조 5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삼사의 요직과 4차

           례의 암행어사로 파견되었다고 합니다. 

                

               <溪西堂>이란 현판이 븥은 사랑채를 포함하여 정면 7칸 측면 6칸의 입구자()형으로

            되어있고, 팔작지붕의 사랑채(정면3, 측면 3)와 중간 문으로 연이어져있습니다. 현재

            는 정자 1동과 방앗간 1, 강당 1동과 일부 담장 등은 허물어지고 그 터만이 남아있고,

            국가지정 중요 민속자료 제171호로 지정(1984.1.10.)관리되고 있습니다.

 

 

                    계서당 성이성이 호남 암행어사 출두시 지은 시인데,

                  준중미주 천인혈(中美酒 千人血) : 술통의 미주는 천사람의 고혈이며 

               반상가효 만성고(盤上佳肴 萬姓膏) : 술상위의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고, 

               촉루락시 민루락(燭淚落時 民淚落) : 촛불의 촛물이 떨어질 때 백성의 눈물이 떨어지고,

               가성고처 원성고(歌聲高處 怨聲高) : 노래소리가 크게 날때, 백성들의 원성은 높도다.

 

                  탐관오리들이 백성들의 고혈을 빨아 주지육림속에 빠져 있는 행태를 비난하는 내용이지요. 

                                               

               계서당의 안채는 집정리를 위해 많은 짐이 나와 있어 사진촬영이 불가능하고

              옆에있는 사당으로 갑니다.

     

  

              오래된 담은 한 편이 무너진 것 같이 있어, 사당옆면의 모습은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습니다. 

 

               봉화군 보호수로 지정된 소나무인데 수령은 500년이며, 높이10m,둘레는 1.7m로서

             춘향전의 주인공인 이몽룡의 실존인물인 성이성이 유년시절부터 이 보호수와 함께

             보냈다 하며 그모습은 사당을 향해 절을 하는 듯 합니다.

 

 

              위  치 : 경북 봉화군 물야면 가평리 301

                         계서당(이몽룡의 실존인물인 성이성의 생가)

              전  화 : 054) 679 - 6114

                                679 - 6341(문화관광과)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