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제천여행) 아이들과 떠나요. 인성,지성교육의 다목적 과학관,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

선 돌 2014. 6. 1. 09:14

 

 

         아이들과 떠나요. 인성,지성교육의 다목적 과학관,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

 

                  새소리,물소리,바람소리 그리고 밤하늘의 별자리를 바라보며 마음으로

                대화를 나누는, 원시 자연의 모습 그대로를 느껴볼 수 있는 별새꽃돌 자연

                탐사과학관이 있어 많은 기대를 하며 들러봅니다.

 

                   별새꽃돌 과학관은 천문대(별),야생조류연구소(새),야생화생태학습장(꽃),

                 광물관(돌),곤충관,임관교육장으로 꾸며진, 전문과학을 통한 인성과 지성

                 교육을 지향하는 멀티플 전문과학관입니다.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

 

                    별새꽃돌 과학관은 첫째, 우주의 별이란 주제로 별자리 등 천문관찰 프로그램

                                               둘째, 공중의 새들의 걸음마 날갯짓 등 조류관찰 프로그램

                                               세째, 땅위의 꽃들을 숲속이나 계곡에서 찾아보는 체험프

                                                      로그램

                                               네째, 땅속의 돌인 광석 또는 화석류의 진실을 관찰하며 돌

                                                      속에 담긴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과학특강,

                                                      인성특강,직원연수 등의 과정을 진행합니다.

                              

                     별새꽃돌 과학관은 단순한 과학전시관이 아니고, 자연 그대로의 과학을 통한,

                  인성과 지성의 교육기관입니다. 그래서 유치원, 초.중고 학생,직장인들까지도 연

                 수교육을 하는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기관입니다.  

 

                     제천 구학산 원시의 산림속에 자리한 별새꽃돌 과학관은 길이 좁아 대형버스는

                   과학관까지 들어올 수가 없어, 소형차나 기타 작은 미니버스로 갈아타야 합니다.

                   과학관에 도착해 귓가에 들리는 소리가 있는데, 여러종류의 새들의 울음소리가

                   마치 협연을 하듯 들을 수 있습니다. 

 

 

               바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조류탐사인데, 망원경을 지급받아 과학관의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새소리, 위치 등을 찾아 망원경을 통해 꾀꼬리,뻐꾸기,되지빠귀 등을 볼 수

             있었는데, 순간적으로 앉았다 날아가는 새이기에 새박사 윤무부교수처럼많은 시간과

             장비를 동원하지 않으면 카메라에 담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는 조류인 기러기를 보면서 교훈으로 삼아야 할 진실이 있다는 걸 알아야합니다.

                  기러기가 이동할 때는 삼각편대처럼 맨 앞에 한마리가 날아가고 그 뒤를 2열로  따라가는데,

                  이 때 기러기의 운동에너지 소모량은 맨앞의 기러기가 100을 소모한다면, 뒤의 기러기들

                  그것의 30%의 운동에너지만 소모한다고 하며 또한 수시로 임무교대하여 선두에서 납니다.

                     우리도 조직내 구성원들이 각자 맡은바가 어려운 것도 있고, 쉬운것도 있는데, 어려운 일

                  을 하는 구성원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도와야 그 조직은 와해되지 않는 영원한 조직이 될

                  것 입니다. 

 

 

                 이어 현미경이 있는 광석및 화석전시,교육실로 이동하여 돌의 신비함을 듣습니다.

 

 

 

                  돌의 종류도 이암, 사암, 편무암 등 다양한데, 빛을 비추니 색깔도 다양한

                아름다운 빛을 발합니다.              

 

                 빛을 발하는 광석에서도 우리들이 삶의 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진리가 있습니다.

              빛을 발하는 모든 물체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것입니다. 에너지를 흡수만 하고, 발

              하지 않는 것은 검은색을 띄어, 어둠속에선 보이지 않는 것처럼, 우리 인간들도

              빛나는 사람들은 소외계층이나 많은 사람들에게 가진 에너지(부와 능력 등)를 나눠

              주어 후세 역사속에 길이 빛날 것이며 , 탐욕으로 뭉쳐진 욕심쟁이처럼 배타적이고

              베풀지 않는 사람은 검은색처럼 흔적없이 어둠속으로 사라질 것입니다. 

                   

                   화석관의 전시물.

                   젊은 시절 해외현장의 사막에서 주워와 집에 보관하고 있는 불가사리화석도

                보여 반가운 마음까지 듭니다.

 

 

 

                     이곳은 천체관측실로 지붕을 슬라이딩에 의해 개방이가능한 우주관입니다. 

 

                   48인치 망원경을 비롯하여 우주의 별들을 관측할 수 있는 여러종류의 망원경이

                 준비된 곳이지요.

 

 

                  망원경에도 반사,굴절 등의 종류별로 용도가 다르다는 말씀을 들을 수 있었는데,

                비가 내리는 관계로 별자리 관찰을 중단하고 천체교육실로 이동합니다. 

 

                 돔형태의 천정위에 천체관측 영상을 비춰주어 마치 밤하늘의 우주세계를 보는 듯

               합니다. 반짝이는 별들은 어릴 적 마당의 평상에 누워 하늘을 바라보며, 별하나 나

               하나 하며 별을  헤던 추억이 문득 떠오르게 하는군요. 

 

                 은하계도 여러 모양인데, 구름처럼 생긴것도 있고, 나선형처럼 아름다운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별인 토성.

 

                       우리가 사는 지구의 모습.

 

                       별새꽃돌 과학관를 보고 느낀 것은 인성교육은 자연을  벗하며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듯 합니다. 요즘 아이들은 실내에서 게임이나 즐겨, 폐쇄적이

                    고, 일방적인 이기적 사고가 몸에 밴 듯한데, 자연을 접하며 과학적인 진실과

                    원리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생기면, 남을 배려하고 함께사는 사회성

                    이 자연적으로 길러지는 인성,지성교육이 될 듯 합니다. 

                       향후에는 포장과 왜곡의 선동보다는 과학적인 진실과 원리로 백년대계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대한민국이 되길 간절히 기원해 봅니다.

 

                    위   치 :  충천북도 제천시 봉양읍 옥전4길 45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

                    문  의 :   043)653-6534

                    홈페이지 : http://www.nta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