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구례가볼만한곳 남도 꽃축제따라 간 보물들이 가득한 지리산 자락 화엄사

선 돌 2015. 3. 15. 06:15



 

                                 남도 꽃축제따라 간 보물들이 가득한

                 지리산 자락 화엄사

                          구례8경인 천년고찰 화엄사는 삼보사찰에 속하지 않지만, 국보와

                       보물 등 많은 문화재가 있는 사찰로서, 예로부터 지리산을 불교문화

                       의 요람이라 부르는 이유도 화엄사를 중심으로한 천은사와 연곡사가

                       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선돌이 화엄사를 처음 와 본건  40여년 훨씬 이전인 고등학생이었을 때로,

                       천은사에서 노고단에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길에 들렀는데, 당시 첫눈에 들

                       어오는 건물이 단청을 안한 각황전으로, 그 전각이 국보임을 알고 감명 깊게

                       보았던 기억이 나게합니다.


                           화엄사 일주문.

                           화엄사는 타 사찰과 달리 많은 국보와 보물 등 문화재가 많아 웬만한

                        전각이나 건물은 문화재나 성보유물에 해당합니다.


                          벽암국일도대선사비.

                          성보박물관앞에 있는 이비는 임진왜란시 전소한 화엄사 중창의 주역인

                       벽암각성의 탑비입니다.


                                 사천왕상이 모셔진 금강문.


                            천왕문.


                           범종각


                                     화엄사 운고각(법고)



                           보제루 왼편 계단을 올라서면 국보 제67호인 각황전과 국보 제12호인

                       각황전앞 석등이 눈에 들어 옵니다.


                                      보불 제133호 화엄사 서오층석탑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제132호)


                           대웅전앞 마당에 동오층석탑과 서오층석탑이 좌우에 있습니다.


                            대웅전 ( 보물제299호)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탄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중 절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화엄사의 건물 중 각황전

                         (국보 제67호) 다음으로 큰 건물이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인조 8년(1630)에 벽암대사가 다시 세운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의 목조비로자나 삼신불좌상(보물(제1548호)


                          각황전(국보제67호)

                          임진왜란때 소실된 각황전은 숙종25년 ~ 28년(1699 ~1703) 4년에 걸쳐 중건

                      되었으며 정면 7칸,측면 5칸의 2층 팔작지붕으로, 그 건축 수법이 웅장하고, 타

                      전각과 달리,단청을 하지 않은 것이 이색적으로 느껴집니다.

                          부처님을 깨달은 왕(성인중에 성인)이라는 뜻과 숙종 임금에게 불교 사상을

                      일깨워 주었다는 뜻으로 각황전이라고 합니다.


                           법당안에는 3불 4보살인 관세음보살,아미타불,보현보살,석가모니불,문수보살,

                        다보여래,지적보살이 모셔져 있습니다.


                                       원통전앞사자탑(사자감로탑:보물300호)


                                    원통전앞 홍매화(천연기념물 제485호)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국보제35호)

                                      공사중인 석탑은 외부의 비바람으로 부터 훼손이 되는 것을 방지키 위해

                                    건물안으로 모시는 듯한데, 외관은 별로 좋아보이진 않을 것같은 안타까운

                                    마음이 앞서는군요.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인 사사자삼층석탑.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天人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암수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

                      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있는 스님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

                      라고 전합니다.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합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보살상을 조각해 두었다. 평평한 경사를 보이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고,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엎어놓

                      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 있습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위층 기단

                      의 사자조각은 탑 구성의 한 역할을 하고 있어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호)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異形)석탑의 쌍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신라 선덕여왕14년(645)에 자장율사께서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사리탑과 공양탑을 세웠다고 합니다.



                         구충암 가는 길


                           대웅전 뒤로 5분여를 오르면, 구충암에 올 수 있는데, 스님들의 수행장소입니다.




                            화엄사 구충암 석등(전남유형문화재 제32호)


                            이외에도 많은 문화재가 있는 화엄사이지만 짧은 시간의 사찰탐방으로

                         인해  지니친 곳도 있어 아쉬움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풍경의 화엄

                         사와 많은 국보,보물,문화재 탐방은 멋진 여행이 되었습니다.


                           위  치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1(황전리 산20-1)

                           전  화 : 061) 783 - 7600

 

                            ※본 포스팅은 구례군 초청 팸투어로 작성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