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여행 조선 왕릉을 찾아서 영릉 세종대왕과 효종왕릉 그리고 영릉 재실 여주도자기축제
여주여행
조선 왕릉을 찾아서 영릉 세종대왕과 효종왕릉
그리고 영릉 재실/ 여주도자기축제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조선왕릉은 조선왕조 500여년간
1대 태조로 부터 27대 고종까지, 왕릉이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또한
그 문화의 독창성 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길이 보존할 가치가 충분히 있습
니다.
영릉(여주:세종,효종)은 대부분의 왕릉이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으나, 장릉(영월:단종),
제릉(개성:태조의 인의왕비),후릉(개성:정조)와 함께 수도권 밖에 위치한 왕릉입니다.
서울 노원구에 있는 태능과 강릉도 붙어 있는 듯 하지만 두개 왕릉을 탐방
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할 만큼 떨어져 있는데, 영릉도 세종대왕릉과 효종
왕릉이 멀리 떨어져 있어 입구가 별도로 있습니다.
효종왕릉으로 홍살문과 정자각이 있고, 뒷편과 릉과 묘소가 보입니다.
효종왕릉 재실.
왕릉의 재실에는 능참봉이란 벼슬아치가 근무하였는데, 요즘으로 비교하면
승진이 빠른 코스의 직책인 듯 합니다.
재실앞에 있는 회양목( 천연기념물 제459 호)
회양목은 키가 아주 작은 나무로 정원수로 많이 사용하는 데, 영릉 재실의
회양목은 350여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렇게 커다란 나무는 보기가 드물
어 보존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효종왕릉 영릉 재실은 보물 제1532호로 지정되었는데, 왕릉의 모든 재실 중
독창적인 희소가치가 있고, 규모도 상당히 크다는 느낌이 듭니다.
효종왕릉 홍살문.
정자각과 비각.
효종왕 영릉은 효종과 인선왕후 장씨의 봉분이 상하로 있는 동원상하릉
(同原上下陵)의 쌍릉입니다.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 영릉의 입구인 혼의문.
세종대왕 영릉의 정자각.
세종대왕 영릉에는 봉분 주변의 병풍석을 두르지 않고 난간석만 설치하였으며,
기존의 왕릉과 달리, 난간석의 십이지신상 대신에 십이지를 문자로 조각하여 방위를
표시하여 이를 간소화하였습니다.
세종대왕 영릉은 조선 제4대 임금 세종과 비 소헌왕후의 합장릉인데, 조선왕릉 중
최초로 한 봉우리에 다른 방을 갖춘 합장릉입니다.
상석, 망주석,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등을 자세히 볼 수 있는 곳 중에
하나가 영릉인데, 다른 왕릉은 왕릉위에 올라갈 수 없게 되어 사진 촬영을
쉽게 할 수 없습니다.
위 치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
영릉( 사적 제195호 )
문 의 : 031 - 885 - 3123
이용시간 : 월요일 휴무, 09:00~18:00시
(상기 팸투어는 여주시청 초청으로 도자천년 물길따라 제27회 여주도자기축제와
문화 관광 먹거리를 알리기 위해 진행한 팸투어에 참가한후 작성한 후기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