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기도여행

용인여행 충절과 효의 고려시대 충신 포은 정몽주선생묘 용인가볼만한곳

선 돌 2015. 5. 14. 15:16




 

 

                     용인여행

              충절과 효의 고려시대 충신 포은 정몽주선생묘

              용인가볼만한곳

                         얼마전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여주의 세종대왕 영릉과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을 다녀온 적이 있는 데, 용인에는 포은 정몽주의 묘소가 있어, 왕릉

                     과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궁금하여 찾아봅니다.


                               고려 말 충신 정몽주 선생의 묘소는 본래 개성의 풍덕에 있었다. 그가 선죽교에서

                      타살된 뒤, 태종 6년(1406) 3월, 풍덕에 초장 하였던 묘소를 현재 위치인 모현면 능원

                      리 문수산 기슭으로 옮겨, 부인 경주이씨와 합장했습니다.


                          연안이씨 비각공원.


                           1980년에는 묘역의 민가 3채를 이전하고, 신도비각·재실 등 대대적으로

                       정화 사업을 실시하여 설치된 비각공원.


                            재실 뒤로 왼편에는 포은 정몽주 선생, 오른편에는 저헌 이석형선생

                        묘지가 언덕위에 나란이 있습니다.   

                         


                         재실인 영모제



                                 연일(延日) 정씨(鄭氏)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과 연안(延安)

                     이씨(李氏)인 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 선생의 묘가 나란히 있는데, 선산

                     (先山)에 조상을 같이 모시는 우리에게는 비록 이석형이 정몽주의 증손녀

                     (曾孫女) 사위라고는 하지만 가문(家門)이 다른 두 사람의 묘가 한 곳에 있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인데, 그에 사연이 궁금합니다.


                           저헌 이석형의 묘소(경기도 지방문화재 제171호)

                           전하는 바에 의하면, 포은이 순절한 뒤 풍덕에 묘를 썼다가 후에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천묘할 때 면례행렬이 수지구 경계에 이르자 앞에 세웠던

                       명정이 바람에 날아가 현재 묘소의 위치에 떨어져 이곳에 안장하려 했는데,

                       정몽주의 증손녀가 꾀를 부려, 이곳이 명당이라는 말을 듣고 친정집 보다는

                       시댁과 자신의 자손들을 위해서 자리에 욕심을 내고, 포은묘역을 옆자리에 

                       언덕에 모시고, 그 후에 남편인 이석형선생이 돌아가자, 명정이 떨어진 그

                       자리에다 장사 지냈고 자신도 그 자리에 들어갔다 합니다.

                            그래서 인지 연일(延日) 정씨(鄭氏)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의

                       후손보다는 연안(延安) 이씨(李氏)인 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 선생의 후손

                       들이 더 번창하였다 합니다.


                          정몽주 선생 묘(경기도기념물 제1호)


                          포은 선생의 묘소는 단분으로, 상석·혼유석·향로석·망주석·문인석 등이 있었으며,

                      곡담·호석·난간석 등은 1970년에 추가 설치했으며, 1972년에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1호

                      로 지정되었습니다.  



                          요즘에도 묘역의 규모는 후손들의 부유함(富)에 따라 달라지듯이, 번창한 연안

                       이씨의 후손들에 의해, (왕릉처럼 꾸밀 수 없지만,) 거대환 묘역이 꾸며진 듯 합니다.                          

                        

                            왕릉주변에서도 연지(蓮池)를 볼 수 있듯이 이 곳에도 연지를 조성하였습니다.



                          위   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곡로 45,

                                       정몽주 묘소  

                          전   화 :  031 - 324 - 2147
                          (상기 팸투어는 용인시청 초청으로 여행의情답 투어용인 문화 관광 먹거리를

                                       알리기 위해 진행한 팸투어에 참가한후 작성한 후기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