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임실여행) 삶의 애환을 그린 임실필봉농악 웰컴투중벵이골4 춤추는 상쇠이야기

선 돌 2015. 9. 18. 04:41

 

 

                   (임실여행) 삶의 애환을 그린 임실필봉농악 웰컴투중벵이골4

                                   춤추는 상쇠이야기

          

                             임실 여행중 우리의 전통문화인 농악을 소재로 한 전통연희극인

                          임실필봉농악 "웰컴투 중벵이골 4 춤추는 상쇠"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임실필봉농악은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2014.11.27. 등재 되어,

                         우리 농악의 우수성을 세계만방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웰컴 중벵이골 4 춤추는 상쇠" 의 내용은 대를 이어 상쇠의 역할을 하며,

                       모진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한 상쇠의 이야기를

                       코믹한 해학과 코끝이 시끈하도록 가슴저린 이야기 그리고 신나는 우리의

                       굿거리(농악)를 연주하며, 관객들을 감동시키는 내용입니다.                              

 

                          굿이라면 우린 무당들의 살풀이나, 진혼제로 영혼을 달래는 등의 우리의

                       전통적인 무속신앙의 행위를 뜻하는 줄 아는데, 우리 선조들은 농부들이 두

                       레를 짜서 김매러 갈 때나,맬때 그리고 돌아올 때 또는 호미걸이와 같은 축제

                       를 벌일 때 치는 농악을 두레굿이라고 하며, 농악을 굿이라 불러왔습니다.                      

 

 

 

                         농악에서의 상쇠는 꽹과리재비 중 우두머리이며 농악대 전체의 음악을 지휘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을 이어 상쇠의 역할을 하며 농악을 계승 발전시키는 스토리 전개

                       를 따라가 봅니다.  

 

                         1940년대  일제강점기로 부터 시작되는 극의 이야기는, 서막과 함께 멋진

                    춤사위와 경쾌한 북소리가 어두어진 밤하늘아래 울려 퍼집니다.(두두두둥,두두두.....)

 

 

 

                         농악(두레굿)대의 무대 등장과 김을 매는 모습으로 신나는 농악이 벌어집니다.                        

 

                          신나는 굿거리 중에 일본 순사들이 들이닥쳐, 쇠붙이인 농악기를 전쟁 군수품으로

                       강탈해가는 소동이 벌어지는 데, 이 과정에서 상쇠(박상쇠)가 심한 푹행을 당하고,

                       그로인해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데, 아기상쇠(양상쇠)에게 유언을 남기게 됩니다.

 

 

 

                         꽹과리 등의 쇠붙이 악기를 빼앗기고, 소리없는 농악을 벌이고 있는 모습.

 

                                 세월이 흘러 1960년의 농촌 모습이 전개되고, 아기상쇠는 유언대로 열심히

                        연습하여 기량을 길러 주변에 이름을 날리는 상쇠가 되었습니다. 

 

 

 

                         상쇠의 역할을 훌륭하게 하며 동리사람들의 신망을 얻게 되고, 장가를 들게 되는데....

 

 

 

                           극중에 함 들어오는 장면......(함값받고, 술 한잔 미시고.....ㅋㅋㅋ)

 

                           양상쇠 결혼식 장면! (신랑, 각시 맞절? ㅋㅋㅋ)

 

                          신혼 초야를 보내는 신방을 동네아낙들이 기웃거리며 들여다 봅니다. 

                        (중략...) 이리하여 양상쇠는 아들을 낳고 행복한 생활을 합니다.                  

 

 

 

                                가을의 수확기에는 벼이삭을 거둬들이며....

 

 

 

                            두레굿의 농악은 신나게 전개됩니다.

 

                                양상쇠의 아들 봉필도 신나게 수확을 기뻐하며, 굿판을 벌립니다. 

 

 

 

                         또다시 세월이 흘러 1970년대는 우리나라가 산업기에 접어들기 시작하며,

                      많은 젊은이들은 대처로 나가고, 양상쇠의 아들 봉필은 생활의 변화에 따른

                      회의를 느끼기도 하는데.....       

 

 

 

                            양상쇠는 굿을 전승시키기 위해 홀로 지키다가 병이들어 죽게 되고,

                         아들 봉필에게 필봉농악의 전승을 부탁하는 유언을 남기는데.....

 

 

 

                           이제가면 언재오나, 어이야~ 어야, 사나운 저승길에 노자돈 없어 못 가겠네,

                        어야~어야~ 이렇게 양상쇠의 상여는 저승길을 갑니다.

 

                          봉필이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른 삶을 어머니와 이야기하며 불편해 하지만,

                       봉필엄마도 굿의 계승을 아들에게 완곡하게 전합니다.   

 

 

 

                          저승으로 가신 아버지의 유언도 있고.....심경의 변화를 일으킨 봉필은

                       상쇠의 길을 전승하며,.....

 

 

 

                           봉필은   오늘날 국가중요무형문화재 11-5호 필봉농악 예능 보유자로

                       지정 되었으며, 2014년11월 27일에는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재로 등재되는

                       기쁨을 맛볼 수 있게 됩니다.(이 이야기는 실제 삶의 여정을 그린 내용이라

                        합니다.)

                           극중 마을 아낙네 역할로 깨소금 같은 코믹연기로 많은 사람들을 웃게

                        만든 명연기의 장본인들! 짝.짝.짝 박수를 보냅니다.

 

 

 

                         이 공연의 상설공연장은 필봉한옥 취락원으로, 전통양식의 조상들의 생활방식과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가족단위 체류여행을 즐기는 분들을 위해 야간상설공연과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야간상설공연은 5월부터시작하여 9월에 끝난다 하니,

                       이젠 내년에 관람이 가능할 듯 합니다.

 

 

 

                                    관람료

                                    공연관람 : 5천원, 전통문화체험+공연관람 : 만원, /1인기준

                                     한옥숙박 및 공연관람 : 7만원/2인 기준

 

 

 

                         공연을 마치며.....

                         많은 출연진 및 스태프들의 열정에 의해 보존되는 임실필봉농악은 정말 재미있고,

                       멋진 공연입니다. 인기연예인들처럼 대우를 받는지 모르지만, 이들의 끈질긴 집념과

                       노력에 다시한번 박수를 보냅니다.

 

                          공연을 마친 출연자들과 멋진 농악을 즐기며, 한밤의 시간을 보낸 관람객

                        들은 서로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그리고 관람전, 채굿관에서 북과 장구,징의 두두림! 덩덩 덩더쿵! 하는 리듬에

                        맞춰 북과 장구를 쳐보았는데(체험), 정말 재미 있었습니다.

 

                         위   치 : 전북 임실군 강진면 강운로 272

                                      필봉문화촌 / 필봉농악전수관

                         전   화 : 063) 643 -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