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창녕가볼만한곳 억새 트레킹 화왕산 단풍속에 관룡사 창녕관광명소

선 돌 2017. 11. 24. 13:00

          창녕가볼만한곳 억새 트레킹 화왕산 단풍속에 관룡사 창녕관광명소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 어느때나 아름다운 풍경을 안겨 줄것 같은

                          사찰 관룡사를 찾았습니다.

                         화왕산, 관룡산이 포근히 감싼듯한 관룡사는 금빛 억새가 한창이라서 많은 등산인들이

                         찾고 있었다.

                        

                                     화왕산군립공원 내 관룡산 병풍바위 아래에 위치한 "관룡사(觀龍寺)"는 신라 8대

                       사찰의 하나로, 신라 진평왕 5년(583)에 증법국사가 창건하여 748년(경덕왕 7년) 추담(秋潭)이

                      중건하고 조선시대에 들어 1401년(태종 1년)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당우(堂宇)가 소실되어,1617년(광해군 9년)에 영운(靈雲)이 재건하고, 1749년(영조 25)에 보수를

                      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범종루

 

                                      "보물  제212호 대웅전"은 원래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이하게 이 관룡사 대웅전엔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아미타여래 세 부처님을 모시고 있다.

                        조선 태종 1년(1401)에 창건하여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 9년(1617)에 중창하였다.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 보물 제1730호", 본존 석가여래불좌상은

                        본존불의 대좌 밑쪽에 묵서를 통해 불상의 완성도는 1630년(인조 8)에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며 높이가 150cm로 비교적 큰상에 속하며 양쪽의 불상들은 본존보다 크기가 작게

                       120cm정도의 크기이다.

 

                                                대웅전 후불벽 뒷면에 있는 "보물  제1816호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는

                                  보타락가산에서 설법하는 관음보살을 선재동재가 방문하여 법을 청하는 장면을

                                  그린것으로 벽면 전체에 관음보살을 채워 크게 부각시켜 그렸다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관룡사는 관룡산(739m) 산중턱 수십길 낭떠러지

                           용선대 위에 홀로 앉아 있는 석조석가여래좌상을 찾아야 후회가 남지 않을것 같다.
                           대웅전에서 약 500여m 산길을 걸어 올라야만 만날수 있는 용선대로 향합니다
              

                                                  용선대 오르는길에 바라다 보이는 관룡사 전경

  

 

 

                                           돌계단과 나무계단으로 이어지는 산길은 몸을 편하게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을 만날수 없나 봅니다.
                               산비탈을 약15분~20분쯤 오르니 숲으로 둘러쌓인 용선대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관룡사 근처의 용선대에 있는 석불좌상으로 "보물 제295호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은

                    산 꼭대기 높은 바위 위에 모셔졌으며 높은 대좌위에 전체높이 3m, 광배(光背)는 없어지고,얼굴은

                   원만하고 단아한 인상이며 미소를 띤 표정에서는 자비로운 불심(佛心)이 느껴지는 가운데, 

                   반구형의 상대석은 연꽃을 새겼고, 8각 중대석은 각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두었으며, 하대석은 4각의

                   받침 위에 겹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구비구비 이어지는 관룡산과 화왕산,

  

                                        수능이 가까워서인지 정성을 다하여 절을 올리고 계시는 참배객들이 있다.

                               이곳에서 정성을 다한다면 한가지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전해지는 이야기에 많은

                               이들이 높고 힘든 용선대로 오르나봅니다.
     

 

       

                                  불교에서 반야용선은 사바세계에서 피안의 극락정토로 건너갈 때 타고 가는

                     배를 말하며, 용은 극락으로 향해가는 뱃머리를 상징하고 반야(般若)는 진리를 깨달은

                     지혜를 의미한다.
          

 

        

                                            사바세계를 내려다 보고 계시는 부처님,
                             석조석가여래 좌상을 둘러싼 바위는 배를 형상화하고 "반야용선"의 선두에 앉으신

                            부처님의 모습, 용선대 석조석가여래 좌상의 전체모습입니다.  
                            용머리와 꼬리를 갖춘 배(용선) 모양의 용선대의 부처님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바로 건너편에

                            있는 다른 바위위를 올라야 한다.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진 시각,

                              일몰을 볼수있는 시각에 다시 찾고하는 마음을 안고 다시 관룡사

                              전각들이 있는 사찰 마당으로 내려 왔다.

              

                                               "보물 제146호, 약사전"은 임진왜란때 관룡사의 모든 건물이 불에 타

                                     사라졌어도 오직 약사전만이 화를 면했다고 한다.
                                     이를 기이하게 여겨 약사전을 살펴보니 들보 끝의 나무가 겹쳐진 곳에서

                                    '永和5年己酉(영화5년기유, 349)'라는 글자를 발견하였으며, '한가지 소원은 꼭

                                     이루어 진다'는 설이 널이 퍼져 많은 참배객들이 찾고 있다고합니다.
             

 

       

                                      "보물 제519호, 약사전 석조여래좌상"은 오른손은 왼발 위에, 왼손은 오른발 위에

                        놓여 있는 독특한 손모양이며 왼손 위에는 약그릇이 놓여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상·중·하대를 모두 갖추고 있는데, 연속된 거북이 등모양으로 연꽃을 표현하고

                        있는 상대가 특이하다.
 

                                    바위를 바닥돌 삼아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약사전 삼층석탑" 입니다.
     

 

     

                                         창녕 관룡사 명부전에는 주존불인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576호,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상과 무독귀왕상이 서 있으며

                          시왕상, 판관상, 귀왕상, 인왕상 2구 등 모두 17구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봉안되어 있다.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관룡사는 신라시대에 지었으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0호, 원음각"은

                     대성전을 중심축으로 약간 서쪽으로 기울여 세운 것이 특색이며, 조선 인조 12년(1634)에

                     세웠고, 그 이후 역사는 알 수 없지만 건물에서 발견한 기록을 보면 영조 39년(1763)에

                     다시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관룡산은 화왕산의 동쪽으로 이어진 산봉우리로, ‘창녕의 금강산’으로 불릴만큼

                      수려한 산세와 기암괴석의 배경으로 자리 잡은 관룡사는 창건 당시 화왕산 꼭대기에 있는 연못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것을 보고 신비롭게 여겨 절의 이름을 관룡사(觀龍寺)라

                      하였다고 합니다.

                      ‘신라 8대 사찰’ 명성답게 보물과 문화재가 즐비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지녀 관룡사의 일주문 역할을

                      하고 있는 산문으로 나오며 만추의 풍경을 봅니다.

           

                                    관룡사
                      위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관룡사길 171 (옥천리 292)
                      전화: 055-521-1747

 
                           “상기 포스팅은 경남 창녕군 문화 관광 맛집을 알리기 위하여 경남창녕군청에서 초청하여
                           진행한 공공 팸투어에 참가 한 후 후기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