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청송여행 99칸의 조선 말기 만석꾼 심부자댁 한옥체험 송소고택

선 돌 2017. 12. 15. 00:00

     청송여행 99칸의 조선 말기 만석꾼 심부자댁 한옥체험 송소고택

 

                          전국에는 우리의 전통가옥이 각 지방마다 있어 이를 찾아 다니며

                       관람하는 것도 재미있는 관광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얼마 전에는 봉화의 안동 권씨 집성촌인 닭실(달실)마을에 다녀왔는데,

                        청송에서는 청송심씨 고택인 송소고택을 찾아봅니다.





                          전통가옥을 탐방할 때마다 느끼는 것은 가옥에 사람이 살고 있는지? 그리고

                        전통가옥을 어떻게 유지.관리하는지에 따라 보는 눈이 즐겁고, 옛 조상들의 삶

                        을 관찰하는 재미를 느끼지만, 어느지방의 집성촌은 거의 빈집으로 문이 굳게

                        잠겨있어, 크게 실망을 하고 돌아서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랑채와 함께있는 송소고택의 소슬대문의 규모는 만석꾼 부자집의 위용을

                        짐작하게 합니다. 송소고택은 국가지정중요민속자료 250호로 지정되어, 2002년

                        부터 전통 한옥체험을 시작하여 2011년에는 숙박형 체험시설로서 대한민국 관광

                        의 최고상인 ‘2011 한국관광의 별’ 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송소고택 소슬대문을 들어서면, 야트막한 "ㄱ"자의 담장이 앞을 가로막고 있어,

                       집안인 사람채,별채 그리고 안채 등을 바로 쳐다볼 수는 없습니다. 이는 사랑채에

                       서 담소를 나누거나,머무는 사람들과 대문을 드나드는 사람들의 시선을 마주치는

                       것을 막아 사람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배려의 담장(헛담)인 듯 합니다.



                                     사랑채는 큰 사랑채와 작은사랑채로 이어저 안채와 외부인과의 차단(?)을

                           완전하게 한 듯 합니다.



                         



                          별당으로 보이는 별채의 출입문



                          작은 사랑채 출입문을 통해 돌어오면, 살림을 하는 공간인 안채가 있으며,

                        마당에는 우물도 있어, 요즘처럼 수도시설이 없었던 예전 삶의 편의성를

                        최대한 배려한 듯 합니다.



                                    여인들이 살림을 위한 안채.
                            고택의 살림을 책임지던 넓은 안채는 사랑채 뒤쪽과 어울려 口자 구조를 띠고

                          있으며, 주인 부부가 기거하는 안방과 숙박이 가능한 안사랑방, 중간방, 찬모방

                          그리고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채 마당 좌우로 커다란 고방이 자리잡고

                          있으며, 디딜방아가 있는 방앗간채가 남아 있습니다.



                         사랑채 뒤로 돌아 바라본 안채의 모습.




                                 방앗간채 뒤쪽으로는 텃밭이 있는데 본래 이 자리는 곡식을 널어놓는 자리

                       였다고 합니다. 고택 내에서 곡식을 말리고 방아를 찧어 보관하는 과정이 한꺼

                      번에 이루어졌다고 하니, 고택의 살림살이가 얼마나 컸던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양반가의 여인들이 머물렀을 것으로 보이는 별채로 살림살이를 하는 안채와

                       사랑채와는 격리된 공간입니다.                               




                                   사랑채 마당의 우물.


                           송소고택은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청송심씨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경 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하면서 건축되었습니다.

                          ‘청송 심부자집’ 으로 더 많이 알려진 송소고택은 전국에서 흔치 않는 99칸 집으로

                       공간구성이 특이하고 조선 시대 상류주택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습니다.




                        송정고택은 1914년 지어진 송정 심삼광의 살림집으로, 심삼광은  송소 심호택의

                     차남입니다. 그러므로 송정고택은 송소고택의 작은 집입니다.




                          넓은마당의 송정고택도 상류사회 양반가 고택으로, 송소고택의 별채와 연결되는

                       쪽문이 보입니다.



                                     송정고택의 사랑채.




                                   송정고택의 주인들은 예술분야에 재능이 많으시거나, 또는 그 분야에서

                          일을 하거나 취미가 많을 것으로 보이는 데, 집안 곳곳에 예술작품들이

                          전시된 듯 합니다.




                          곶감을 말리는 정경.


                          송정고택 왼편으로 마당을 지나, 산으로 올라가면 철기장군 명상길이 있으며,

                       오르막길을 가다가 뒤를 돌아보면 덕천마을 청송심씨 집성촌이 한 눈에 내려다

                       보여 멋진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갈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 500년 간 정승 열 셋, 왕비 셋, 부마 넷을 배출한 명문가의 권력과

                        재력을 가진 청송 심부자댁은 한 때는 20,000석 부자 였다고 합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이 있다면, 청송 심부자도 경주 최부자나 대한민국 이시영 부통령

                        집안처럼 노블리즈 오블리제의 삶을 살았다는 이야기는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만석꾼 집안이 노블리즈 오를리제의 정신으로 주변에  베풀었다면 도적떼의

                        침입으로 가세가 기우는 일이 생겼을까? 하는 생각을 문득 하게되고, 요즘 재벌

                        들의 삶은 어떨까 생각하게 됩니다.


                            고택에서는 음악회도 열고, 넓은 마당에서는 다양한 전통체험도 가능하다

                        하니 전통한옥에서 숙박체험을 해보는 것도 멋진 여행이 될 것 입니다.



                                         송소고택.  

                         위     치  :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 176                       

                         전     화  :   054) 874 - 6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