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서울성곽길) 서울 한양도성 백악산 코스의 산책로(혜화동~창의문)

선 돌 2013. 5. 21. 15:00

 

           서울 한양도성 백악산 코스의 산책로(혜화동~창의문)

 

                  오래 전부터 서울성곽길 산책을 해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게, 몇년전

                부터인데,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몇년이 흘러갔습니다. 1968년 1.21사태

                이후 군부대가 상주하면서 일반인은 출입이 금지된 후 몇십년만에 해제

                됐음에도....... 

                  5월17일(사월초파일 부처님 오시날)을 맞아 길상사에서 연등불사를 한 후,

               점심공양으로 공짜 점심을 떼우려 하였으나, 사람도 많고 시간도 많이 기

               다려야 할 것 같아, 절을 나와 성북동의 왕돈까스로 점심식사를 하였습니다.

                  식사후 성북동의 서울성곽으로 부터 창의문(자하문:부암동)까지의 서울

               성곽길을 걸어 보았습니다.            

 

                어릴 적에 인왕산성곽길(당시는 현재처럼 복원되지 않은 상태)은 가끔 갔지만,

              1968년 김신조의 1.21 사태이후 군사지역으로 정해져 민간인 출입금지가 되어

              40여년이 훌쩍 지나간 시점에 다시 걸어보는 성곽길이 옛추억에 감회가 새로워

              지는군요.

 

                통상 혜화동에서 출발하여 성곽길 걷기를 하는데, 이곳은 성복동에서 성곽길로 들어

              가는 입구입니다. 

 

              

                이곳에서 창의문(자하문)까지의 성곽길은 비교적 높은 산에 위치해 원형이 비교적

             잘 남아있지만, 다른 곳은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성곽 너머로 바라본 성북동의 주택가.

 

 

               성곽길 한 켠에는 애기똥풀이 노란 꽃을 이쁘게 피워 아름다운 모습를 보여줍니다.

 

  

                  얼마간 성곽 안쪽으로 걷던길은 몇백미터를 올라가니 성밖으로 걸어가게 되어

               자연스레 밖에서 성벽의 축성 모양을 자세히 볼 수 있었습니다.

 

 

                                   한 눈에도 축성에 사용한 돌의 모습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가장 적은 돌을

                                 사용한 것은 이씨조선 건국 후 축성시 사용한 것이고, 그 후 세종 때와 숙종때

                                 보완하였는데, 시대마다 돌의 크기가 다릅니다.

 

 

               멀리는 돈암동, 월곡동 등의 아파트 단지들이 보입니다.

 

               삼청각.

 

                성곽길을 걷다가 만나는 전망대, 이곳에서 멀리는 월계동 그리고 돈암동을 전망할 수

              있고, 종로쪽의 시내도 볼 수있는데, 우뚝 솟은 남산타워가 유난히도 높게 보입니다. 

 

 

                말바위휴게소.

 

               이곳은 군사지역이기에, 신분증과 출입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출입증을 교부해 주는데

             창의문에서 반납하면 됩니다.

 

                이곳에선 사진촬영도 제한을 받기에 허용되는 방향만 촬영이 가능한데, 경복궁 방향은

              이 장소가 허용되는 유일한 장소입니다.

 

 

                숙정문의 옆모습.

 

                숙정문의 유래.

                흥인지문(興仁之門), 돈의문(敦義門), 숭례문(崇禮門) 등. 서울의 사대문은 각각 인의예지에서

              한 글자씩을 넣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래는 홍지문(弘智門)이라 했지만 한양의 북대문인

              '숙정문(肅靖門)'에는 '지(智)'자를 넣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사대문의 이름을 정할 때 문 이름에

              지혜로움을 의미하는 '지(智)'가 들어가면 백성이 지혜로워져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智)'자 대신에 '청(淸)'자를 넣었다고 합니다. 비록 북대문이라 해도 궁궐 바로뒤 산속

              에 있는 문이라 사람들의 왕래를 허용하던 건 아니었고, 궁에서 필요시에만 사용했다고 합니다.

              숙정문은 문루가 없이 월단만 남아 있었는데 성곽복원공사시 문루를 복원하였습니다. 

 

 

                                  성벽의 축조상황을 시대별로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곳입니다.

 

  

 

                얼마전 수원화성을 걸어본 적이 있는데, 성벽 축조방법이 확연이 다른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원화성은 비교적 축성기술적으로 거중기 등 장비를 사용하여 건설하였기에 비교적 깔끔하고

              날렵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이곳은 투박하지만 남성적인 멋을 풍기는 것 같습니다.

 

                멀리 보이는 북한산 자락의 산봉우리도 이곳에서 보니, 푸른 하늘의 스카이라인이

              더욱 멋지고 보입니다.

 

                                                                                                                

 

                                    1.21 사태 소나무.

                                    1968년 1월21일 북한 124군부대 김신조 등 31명은 청화대습격을 목적으로

                                 현 청운실버타운(청운동) 앞에서 경찰과 교전 후 북악산 및 인왕산으로 도주

                                 하였고, 당시 우리 군경과 치열한 교전 중 이 소나무에 15발의 총탄 흔적이

                                 남게 되었는데, 이 후 이나무를 "1.21 사태 소나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무장공비 일당은 당시 청화대 및 주변시설을 완벽하게 숙지하고, 침투간 아군

                                 복장과 민간복 착용, 취객으로 위장하는 등 치밀하고 철저하게 준비하여 도발을

                                 자행하였고, 이후 14일간 작전결과 침투한 31명 중 1명도주, 29명 사살, 1명생포

                                 (김신조)의 전과가 있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향토예비군이 창설(68.4.1)되었

                                 습니다.

 

 

                 우리들이 북악산으로 부르는 산인데, 원래 조선조에는 백악산이라 불러 원래의 이름인

               백악산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백악산를 지나면서 부암동 방면으로의 길은 데크로 된 가파른 계단길을 내려가게

              됩니다. 창의문에서 올라오는 분들은 숨깨나 깔닥거릴 것 같습니다.

                    

                    창의문(彰義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으로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나 창의문은 북소문이라 불린 적은 없었고, 이곳 계곡의 이름을 빌어 자하문(紫

              霞門)이란 별칭으로 불려왔습니다.

                 태종 13년(1413)에는 풍수학자 최양선이 "창의문과 숙정문은 경복궁의 양팔과 같

              으므로 길을 내어 지맥을 상하게 해선 안된다" 고 건의한 것을 받아들여 두문을 닫고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종4년 (1422)에는 군이들의 출입통로로 이용할 수있게 했고, 광해군9년

              (1671)에는 궁궐 보수작업때 석재의 운반을 위하여 열어주도록 하였다는 조선왕조

              실록의 기록이 있어 길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1506년(중종 1)에 다시 열어놓았는데, 1623년 인조반정 때는 능양군(인조)을 비롯

              한 의군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한 유서 깊은 곳이기도 합니다.

              문루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740년(영조 16) 다시 세우고 다락 안에 인조

              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판에 새겨 걸었고, 1958년 크게 보수하였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의 우진각 기와지붕으로 서울 사소문 중에서 유일하게 완전히 남아 있는 문입니다.

 

              위   치 :  숙정문 ( 서울 종로구 삼청동 산25-22 )           

                           창의문 ( 서울 종로구 청운동 )

                           서울한양도성 백악산코스(1코스:서울 종로구 혜화동)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