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정선 화암여행) 스토리텔링의 마을, 2013 마을미술프로젝트, 반월에 비친 화암 그림바위마을

선 돌 2014. 5. 21. 11:12


 

        스토리텔링의 마을, 2013 마을미술프로젝트,

        반월에 비친

              화암 그림바위마을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중 ‘화표주’의

             배경이 화암이고, 마을 주변과 산이 마치 그림처럼 아름다워 화암8경이 있을 정도

             이어서, 예로부터 불려진 이름인데. 2008년 동면에서 화암(畵巖:그림바위)으로 지

             명이 변경됐습니다.

                정선아리랑 가사에도 이곳을 무릉도원으로 부르고 있는 그림바위마을은 2013년

             마을미술프로젝트에 의해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호기심" 이란 제목의 박종인 작가의 작품.

 

                  "우리동네"라는 이름의 작품으로 그림바위마을를 지도화 한 것이지요.  

                    그림바위미술마을의 지도를 들고 수수께끼를 풀어 나가듯 

                스토리텔링을 찾아 갑니다.

       

                구 변전소 마당에 설치된 빛나는 이야기.

 

               

                35인의 작가들에 의해 공공미술 작품들은 반월의 현상을 한 그림바위마을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데, 여유를 가지고 돌아보아야 할 듯 합니다. 다른 곳의 벽화마을과는

              색다름이 있어 새로운 관광상품이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구 변전소가 예술발전소란 이름으로 탈바뀜한 전시실.

 

                  화암2경 거북바위.

 

                "거북바위의 비상"

                     거북바위가 보이는 전망대에 이 작품이 설치하므로서, 거북바위를 잘 보지 못하는

              사람들도 쉽사리 인식하게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반가웁기만 합니다.

 

                   기암절벽과 수려한 산간계곡으로 둘러싸인 이곳은  주위 바위들도 어떤 형상의

                 모습을 띠고 있는 듯한 데, 이 바위는 무엇을 연상할 수 있을까요? 

                 맷돌바위의 이름과 같이 겹겹히 쌓여있는게 신기 합니다.

                         

 

                                   화약약수입구에서 화암동굴주차장에 이르는 소금강길의 그림바위마을 곳곳에

                                 설치된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작품들의 인덱스같은 전시물.

                                   이것을 미리보고 거북이 걸음으로 "반월에 비친 그림바위마을"을 산책하듯....

                                 음미하고,감상하고...

 


                 화암별곡.

                 8인치 모니터 150대에서 정선 아리랑의 할머니, 정선의 기암절벽 등 다양한 

              모습이 화면에 담겨있어 호기심을 갖게합니다. 작가는 화면을 통해 정선의 애

              환이 서린 모든 것을 나타내려한 것 같아 그 의도에 숙연해지기 조차 합니다. 

 

                 맷돌바위길의 전경.
 

                그림바위마을을 여행하는 거북이.

                사람들도 만나고, 산과 강으로 여행하는 형상을 나타내, 구경하는 사람들도 거북이가

              된듯한 느낌을 갖게 할는지........ 

 


                                   역사에서 자라는 담쟁이.

                                   금광채굴과 화암면의 역사를 성당 종탑에 황금 담쟁이 넝쿨과 엮어서,

                                 마을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함.

 

                천주교회인 동면공소.

 

               교회안에 전시된 역사의 스토리텔링.

            

                 화암팔경중 제4경인 화암동굴.

 

                용마의 꿈.

                아기장수를 찾아헤메다 용마소에 빠진 슬픈 전설 속의 용마를 슬픔이 아닌 기쁨의

              상징으로 승화하여 표현.

                산과 들을 마음껏 달리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용마의 비상을 꿈꾼다. 

 

                조약돌 하나 생각하나.

 
                "반월에 비친 그림바위마을"로 다시 태어난 화암마을은 금광의 탄광촌의 고단한 삶으로

              부터 해방 후의 가난한 시골의 농촌마을 그리고 기암괴석의 아름다운 비경속의 역사 등의

              모든 것을 스토리텔링화 한 미술마을로 이곳을 다녀간 여행객의 뇌리에 깊게 남을 것입니다.

 

                위   치  :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화암1,2리 일대

                문   의  :  정선군 문화예술과 ( 033-560-25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