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통영 연화도여행 2) 보덕암과 5층석탑을 지나 환상의 비경 용머리해안을 바라보며

선 돌 2014. 6. 12. 09:51

 

 

                      보덕암과 5층석탑을 지나 환상의 비경

            용머리해안을 바라보며

 

                   많은 등산객들은 뱃시간 등을 고려하여 연화봉에서 5층 석탑을 거쳐

                 연화사로 내려가는 분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용머리해안을 보고 환상

                 적인 풍경에 반해 용머리해안을 향해 트레킹을 계속합니다. 선돌도

                 등산객들의 발길을 따라 용머리해안으로 향합니다.                         


    

                         연화도의 토굴에서 도를 닦았다는 연화도인의 토굴.

                    전설에 조선시대 연산군의 억불정책으로 이 섬을 찾아 은신한 연화도사가 비구니

                 3명과 함께 연화봉에 암지를 짓고 수도를 하였는데, 연화도사가 죽으면서 수장을 해

                 달라는 유언에 따라 수장을 하자, 그의 시신이 한 송이 연꽃처럼 승화했다고 합니다.


                 유리창으로 막혀진 창안에 부처처럼 좌정한 모습의 연화도인인데, 불연의 섬

               연화도에선 사명대사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으며, 후일 임진왜란때는 사명대사

               와 자운선사가 순신장군에게 왜군과의 전쟁을 대비한 여러가지 도움을 주었

               다 합니다. 

              


                 연화봉에서 연화도인 토굴로 내려오는 데크 길.



                     할미꽃


                보덕암 법당.

                

                    법당에 모셔진 부처님.


               연화도의 통영8경 용머리해안은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므로 보는 각도가

              변할 때마다 셧더를 눌러보는데, 이곳에도 해수관음보살이 조성되어 있어 속초 낙

             산사와 남해 보리암의 해수관음보살을 떠올리게 합니다. 


                 보덕암의 해수관음보살        


                  해수관음보살이 바라보는 다도해와 망망대해,  좌편의 용머리 해안, 그리고 멀리 보이는

                 섬들은 점.점.점....옥빛바다물에 점을 찍은 듯 합니다.


                 보덕암 절집은 단층 법당으로 작은 암자인 줄 알았는데, 이곳에서 바라보니 5층

              건물로 해안절벽에  붙여 지은 듯 합니다. 섬에 있는 암지이지만 절의 규모는 상당

              히 커 보이는군요.


                보덕암에서 바라보는 용머리해안.


                       5층석탑.

                      연화도 섬의 중간쯤의 능선에 있는 5층석탑은 능선 좌우에 보덕암과 연화사,

                   그리고 멀리 연화봉 정상이 보입니다. 


                5층석탑을 지나 또다른 연화도의 볼거리인 출렁다리를 향해 가는 섬속의 바닷길은 

              능선을 걷는 길이지만 바다를 옆에 끼고 걷는 코스이기에 탁 트인사야 만큼 가슴속도

              시원하게 터진 듯 발걸음은 가볍습니다.


                    나무 숲사이로 빼꼼하게 내민 해변가의 경치는 놓치기 싫은 아름다운 풍광이기에

                 발걸음을 멈추고 카메라를 들이댑니다.



                  오던길을 뒤돌아 보며,연화봉 정상, 보덕암,그리고 그 아래의 해안 절벽의 기암

               은 흡사 다양한 모습의 만물상 같기도 합니다. 


                 이 부근 어느 곳 해변의 기암절벽이 만물상이라는 이름을 붙여진 곳이 없는지

              궁금해집니다. 시야가 좀더 널어진 곳으로 옮겨 다시 본 정경은 더욱 멋져 망원렌

              지로 당기면 보먹암이 절벽위의 제비집같이 보일 것 같기도 합니다.



                다양한 기암절벽의 바위들은 절벽으로 줄을 지어 오르는 형상으로 보이는 데,

             보는 사람마다, 방향에 따라 느낌이 다르겠지요. 

 

               위   치  :   경남 통영시 욕지면 연화

                               연화도 보덕암, 연화도인 토굴 



                  다른 글 보기

           (통영연화도여행) 연꽃처럼 생긴 작은섬의 수채화같은 환상의 비경, 통영 연화도 연화봉 

                    http://blog.daum.net/ykp702/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