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기도여행

용인여행 농촌체험 고소하고 찰진 인절미 만들기 체험 학일마을

선 돌 2015. 5. 18. 15:22





 

       용인여행

     농촌체험 고소하고 찰진 인절미 만들기 체험

                        학일마을

 

 

                         용인시는 서울에서 가까운 서북쪽은 도시화한 지역이고, 남동쪽은

                     농촌지역으로 남아 있어, 수도권지역에서 농촌의 여유로움과 엣 정서

                     를 느껴볼 수 있는 용인시 학일마을에서의 인절미 만들기 체험을 해

                     봅니다.   



                         용인시 원삼면에 위치하고 있는 용인 학일마을은 ‘학’과 ‘백로’ 등이 서식하여

                      ’"학일" 또는 "학동"이라 하였으며, 추담 ‘오달제’가 태어난 후부터 ‘학일리’라 전

                      해지는데,  마을에 고려 말 묘소가 있는 것으로 보아 500년이 훨씬 넘는 장구한

                      역사를 가진 씨족 부락으로,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한 3학사 중 한

                      사람이었던 오달제가 태어난 출생지와 서당터, 활터, 글방터 등이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요즘은 농촌마을도 농촌진흥공사에서 추진하는 행복만들기 프로젝트에 따라

       전국 각지역의 여러 마을들이 6차산업(1차+2차+3차)산업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 정도로 농작물생산과 그 농작물을 이용한 제품을 만들어 직접 판매하거나,

       마을에 휴식공간을 만들어 관광객들이 농촌체험을 하며 휴가를 즐기게 하며

       농가소득을 올리는 곳을 인터넷 등을 통해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학일마을의 다양한 농촌마을 체험중 인절미 만들기 체험을 보는데, 인절미를

                      만들려면, 쌀을 쪄서 떡을 만드느데 필요한 재료를 준비하고.......떡메로 쳐서

                      떡을 찰지게 하기위한 떡판을 준비하고.......


                         인절미의 고소함을 맛보려면 콩가루가 반드시 필요하겠지요. 


                           인절미에 대한 어원을 설명해 주시는 마을이장님.

                           인절미는 잡아당기고(引), 끊어서(絶) 만드는 떡(米:쌀로 만드는)을 말합니다.



                          인절미를 만드는 필수적인 코스는 잘 쪄진 떡을 치는 일인데, 찰지게 함이

                        목적인 듯 합니다. 그리고 보자기안에 싸서 떡을 치는 것은 떡편이 밖으로 튀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듯 하구요.



                          어릴 적 동네마당에서 떡을 칠때는 힘이 좋은 장정들이 힘차게 내려치면,

                      어머니들이 넓게 펴진 떡을 다시 접어주곤 하는 것을 보았던 기억을 떠오르

                      게 합니다.


                              골고루 찰지게 잘 쳐진 떡을 콩고물(콩가루)에 올려 먹기 좋고, 보기좋은

                      두께로 눌러준 다음에........



                         콩고물을 골고루 잘 발라주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주면 인절미는 완성되는군요.



                          이렇게 체험을 하며 만들어진 인절미를 입안에 넣어 씹어보니, 찰지고

                       고소함이 입안에 가득퍼지는 것이, 동네 떡집에서 사먹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은 품질좋은 학일마을의 쌀과

                       정성스레 잘 쳐진 떡으로 만들어진 결과가 그 요인인 듯 합니다.


                         상품화할려면 용기를 멋지게 만들어 담으면 되겠지요.



                                 생태가 온전히 살아 숨 쉬는 청정마을로 반딧불과 가재 등이 서식하는 전형적인

                      산골 마을인 학일마을은 깨끗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마을로, 마을전체가 단결해

                     오염의 원인이 되는 축산농가와 마을 저수지의 낚시터 사용을 금하고, 유기농법을

                     통한 우수한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모내기, 벼 베기, 메주 만들기 등 사계절 체험거리가 다양하며,  
                       특히 마을의 주요 특산물인 메주, 간장, 고추장 등은 이러한 유기농 농산물을

                       원료로 사용해 품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간장,된장 등을 도심지 사시는 분들이

                       이 곳에서 직접 만들어 보관하고, 필요할 때 마다 떠다 먹는 시스템이 있어,

                       그것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항아리 표시를 해 둔것은 그에 대한

                       표식이라 합니다.


                        위   치  :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913-1

                                       학일마을

                        문   의  :   031- 334 - 7991

                       홈페이지  :   http://hakil.invi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