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영주여행) 배흘림 기둥 무량수전 영주 부석사

선 돌 2016. 10. 30. 14:13



             (영주여행) 배흘림 기둥 무량수전 영주 부석사

       

                          "부석사" 하면 어릴 때 국사시간에 배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 무량수전이 있는 절로 알고 있는 것이 선입관입니다.

                           작년에도 영주여행을 왔을 때 들러 본 부석사이지만 올 때마다 느끼

                       는 건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작년에는 승용차로 와 뒤편의 주차장에서 차를 내리면 중간의 매표소에서

                        들어가기 때문에 일주문이나 천왕문을 거치지 않고 바로 무량수전 가까이

                        갈 수 있었는데 이번엔 2016년 영주사과축제가 열리고 있는 주차장에서 부터

                        올라가 봅니다. 



                          올라가는 길에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들어 마치 단풍여행을 온 듯한 착각을

                       할 정도로 온통 노란색 물결입니다. 



                           太白山 浮石寺 현판글씨가 선명한 일주문도 은행잎에 물들 듯......

                         파란하늘과 대조를 이루는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 줍니다.



                                  당간지주(보물 제 255)

                                  높이 4.2m의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

                               당간은 절에서 불교의식이 있을 때 불, 보살의 공덕을 기리거나

                               마귀를 물리칠 목적으로 달았던 ''이라는 깃발의 깃대를 말하며

                               이 깃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세우는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합니다.   



                          천왕문과 사천왕상


                          천왕문을 통해 바라본 범종각.



                           삼층석탑.

                           통일신라시대 후기 3층 석탑으로 탑 윗부분은 없어졌으나 후에 복원함    


                                봉황산 부석사란 현판이 붙어있는  범종각.

                          종각에는 목어와 법고만 있고 범종은 아래의 종각에 있습니다.



                          무량수전앞의 안양문앞에서 해피송의 인증샷 한 컷.


                           안양문.


                         무량수전(국보 18호)



                          사찰명이 부석사로 정해진 근원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돌로 浮石(뜬돌)

                        이라 새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

                        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 고대 건축물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부석사 무량수전안에 모셔진 소조여래좌상(국보 45호)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조성한  불상인데,

                        이 부처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소조불상으로 작품으로서도 가

                        치가 크다함.



                                        3층 석탑(보물249호)

                                       높이 5.26m로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이중기단위에 3층 몸돌을

                                    쌓은 전형적인 석탑으로 보통 법당 앞에 건립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석탑은 법당 동쪽에 세워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

                            정3,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며, 1916년 수리 중에 발견된 묵서명

                        에 의하면, 정확하진 않으나, 고려 우왕3(1377)에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부석사 제2 목조건물로 고려시대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함.

    


                                    선비화.



                          선비화(禪扉花)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이곳 조사당 처마

                       밑에 꽂았더니 가지가 돋아나고 잎이 피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비와 이슬을 맞지 않고서도 항상 푸르게 자라고 있으나, 귀한 나무이기에

                       보호를 위한 쇠창살과 유리창을 덮어 사진 촬영하기에는 불편하군요.



                          석불 좌상.






                              주차장 위의 분수대앞으로 내려오니 일곱가지 색이 선명한 무지개가

                           서려있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부석사는 경치도 아름답고 국보와 보물이

                           많은 사찰로서 영주의 대표적인 관광지이기도해 많은 관광객을 즐겁게

                           하는 곳입니다.

                       

                           위   치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복지리 148

                                         부석사


                           전   화 :  054) 633 - 3464

                           “상기 포스팅은 경북 영주시 콩세계과학관 및 문화 관광 농촌관광 특산물 먹거리를 알리기 위한

                                       영주시청 초청 진행한 팸투어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