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원주여행 천년사찰터 천년 느티나무 거돈사지 원공국사승묘탑비

선 돌 2016. 12. 13. 01:00

       원주여행 천년사찰터 천년 느티나무 거돈사지 원공국사승묘탑비


                               야트막한 야산이 삼면으로 병풍처럼 절터를 감싸안은 신라후기인 9세기에

                  조성되어 고려 초기에 약 7,500여 평의 절터에 20여 칸의 법당과 요사채를 두었을만큼

                  대사찰 사적 제168호 '거돈사지' 천년사찰 터입니다
      

                                  도로를 따라 신라시대의 절터 거돈사(居頓寺) 터와 함께 역사를 함께 해온

                     천년 수령에 7.2m의 몸둘레를 자랑하는 보호수  '느티나무'가 절터의 석축을 뚫고

                     웅장하게 찾는이들을 맞고 있습니다.
           

                                          금당앞에 자리잡은 통일신라시대 후기 석탑양식으로 고려 1025년

                        (현종 16)에 조성된 보물 제750호,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높이가 5.4m)은 별다른 장식 없이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는 네모난 받침돌만 남아 있고, 그 위에 놓여진 연꽃 모양의

                        보주는 최근에 얹어 놓은 것입니다.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거돈사지 중심에 자리잡은 금당터 중앙에는 국가 사적 제168호로 지정된 부처님을

                        모셨던 2m높이의 화강석으로 조성된 '불좌대'가 남아있습니다.
          


                             거돈사지와 역사를 함께 말끔하게 정돈 된 절터에는 중문터, 탑, 금당터,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있었던것으로 짐작되고 있습니다. 
           


                                     절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보물 제78호 거돈사 원공국사승묘탑비는 원공국사의

                     생전 행적을 기록되어 있으며 해동공자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을 써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 초기에 활동했던 천태학승이었던 원공국사(930∼1018)의 법명은 지종이고,

                     세속에서 쓰던 성은 전주 이씨이며 8세에 사나사에서 인도승 홍범삼장에게 출가하여 955년에

                     오월국으로 유학한 뒤 그 곳에서 불교를 강의 하였으며 귀국한 후 역대 왕들이 그를 숭상하여

                     대선사. 1012년(고려 현종 3년) 왕사로 모셔졌다.

                  


                            거돈사는 신라시대로 창건시기를 전해지고 있지만 연혁을 밝힐 만한 자료가 없으며,

             고려 시대 왕의 스승인 국사들이 머물며 전성기를 누렸던 빈터에는 국보, 보물급 문화재로

             국사나 왕사의 탑이나 탑비가 역사를 증언하고 있으며, 옛 정산분교에 당간지주가 있어 거돈사 사찰의

             영역을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게 만든다.
                 


                                   거돈사지 금당터 뒤편 언덕에 자리잡은 보물 제190호로 지정된 부도탑인

                        원공국사승묘탑은 고려시대 양식의 조성된 부도탑은 고려초의 고승으로 거돈사에서

                       입적한 원공국사의 유골을 모셨던 원공국사승묘탑이며 원형은 일본인이 반출했던것을

                       1948년 용산 국립박물관에 보관하였고 2007년 재현품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남한강 자락의 흥법사지, 거돈사지, 법천사지가 대표적인 세 사찰은

                        대략 신라 시대에 지어져 임진왜란 때 불타 폐사지로 남아있는 천년 고찰입니다.

                        한계산 기슭의 작은 골짜기를 끼고 있는 원주 거돈사지 우물터가 있습니다.
        


                               법천사지와 풍점고개로 이어지는 원주역사문화순례길로 거돈사지와

                        법천사를 이어주는 수양길은 '원주사랑길'이라 불리고 있다.
                       


                                     절터 왼쪽에는 쓰임새를 알 수 없는 절터에서 나온 각종 석재들이 

                         한쪽에 모아져 있어 사라진 절터를 상상으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던 그시대를

                         그려보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위치: 원주 거돈사지  /  원공국사승묘탑비

                         주소: 강원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41-1

                         “상기 포스팅은 동서남북 어디서나 즐거운 도시 원주시 문화 관광 맛집을 알리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청에서 초청하여 진행한 공공 팸투어에 참가 한 후 후기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