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된 달성 도동서원 대구 달성군 여행

선 돌 2019. 8. 11. 07:3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된 달성 도동서원 대구 달성군 여행

                           대구광역시 달성군 진등산자락 낙동강변에 자리잡은 달성 12경중 10경에 손꼽히는

                명승지 도동서원은 도학의 창시자인 한훤당 김굉필 선생을 배향한 서원으로 고종 2년(1865년)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철폐되지 않은 전국 47개 주요 서원중의 하나이다.


                                             도동서원에서 맨 처음 만나게 되는 한낮의 뜨거운 햇빛을 고스란히 받아

                             그늘을 만들어주는 은행나무가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보호수로 지정된, 김굉필나무라 불리는 수령이 약 400년 된 은행나무로 1607년(선조40년)에

                             안동부사로 재직 중이던 한훤당 김굉필선생의 외증손이며 예학자 정구(鄭逑, 1543~1620)

                             선생이 그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도동서원을 세우고 서원 앞에 은행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곳의 서원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자리잡은 도동서원과 함께 소수서원(경북 영주) 도산서원(경북 안동), 병산서원(경북 안동),

                       옥산서원(경북 경주), 남계서원(경남 함양), 필암서원(전남 장성), 무성서원(전북 정읍),

                       돈암서원(충남 논산) 으로 2019년 7월 6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소수서원, 병산서원, 도산서원, 옥산서원과 함께 도동서원은 고종 8년(1871)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제외된 전국 47개 주요 서원 중의 하나로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된 우리나라 5대 서원입니다.
          


                                            아름드리 은행나무를 뒤로하고 도동서원 입구인 수월루를 지나 환주문을

                              들어서면 강학영역인 거인재 거의재 중정당이 나오고 중정당 좌우로 장판각과 전사청이

                              자리잡고 있고 중정당 뒤편 내삼문을 지나면 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국가지정 사적 제488로 지정된 달성 도동서원은 선조 원년(1568)에

                                     비슬산 동북자락에 쌍계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소실되었고

                                     선조 37년(1604)에 보로동서원이란 이름으로 현 장소인 대니산 자락에 중건

                                     되었으며 광해군 2년(1610년)에 '도동'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도동서원 중정단 돌기단 앞에 조성된 두곳의 돌계단옆에는 다람쥐 모양의

                          조형물이 새겨져 있는데 왼편의 다람쥐는 위를보고 있고 오른편의 다람쥐는 아래를

                          보고 새겨져 있어서 올라가는 계단과 내려가는 계단을 표시하고 있다.
    


                                         조선중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형식과 강당과 사당의

                          공포양식 및 담장 구성수법  등에서 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동서원 강학영역인 거인재 거의재 중정당 뒤편 내삼문을 지나면 사당이

                                   자리잡고 있고 사당은 한훤당 김굉필 선생과,한강 정구선생의 위패가 모셔진 공간이다.

       

         

                                                대니산 자락 앞에 도동서원은 앞으로는 낙동강이 흘러  ‘배산임수’의 입지의

                                  한눈에 펼쳐지는 풍경이 고즈녁하게 아름다운 서원으로 남향이 아닌 남서향에 건물을

                                  배치한 것도 특별합니다.
                          


                                              도동서원 강학영역 중심에 자리잡은 중정당은 주심포 기둥에 맞배지붕아래

                              정면 5칸, 측면 2칸반으로 조성된 대청과 방으로 구성된 건물입니다.

                              도동서원 중정당과 강학영역을 둘러싼 기와를 올린 흙담장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50호로 지정된 특별한 조형물로 외부세계와 강학영역을 가르면서 예술적인 조형미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서원 도동서원에 100일간 피고 지는 백일홍 (배롱나무)이 피어 있어

                               찾는이들의 마음을 사로 잡습니다.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를 미리 상상해 보면서 도동서원을 나서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알리는 알림판과 함께 대구광역시 신청사 최적지는

                                 달성군 화원이라는 안내가 함께 보여져 달성군민들의 염원을 알리고 있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여행
세계문화유산 - 도동서원
대구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도동리 35번지)

 
“상기 포스팅은 대구의 미래 달성 꽃피다 달성군에서 대구시 신청사 유치를홍보하고 문화 관광 여행지를
알리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청에서 초청하여 진행한 공공 팸투어에 참가 한 후 후기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