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고궁탐방) 700년 향나무가 푸르름을 펼치는 조선시대 궁궐 창덕궁 - 1

선 돌 2011. 7. 27. 14:42

 

 

 

 

                       

                    조선시대의 궁궐. 창덕궁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

              

                조선왕조 3대 태종때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정궁(正宮)인

               경복궁이 소실되고 조선 말기에 복구될 때까지 300여년간 역대 임금이

              이 궁에서 정사를 봄으로써 본궁의 구실을 하였다.

 

             서울의  고궁은 경복궁,덕수궁,창경궁,창덕궁이 있으나, 수많은 외침에 따른 화재로 

               소실, 중건을 반복하는 쓰라린 역사의 조선, 특히 경복궁은 일제 36년에 거의 그

               원형을 잃었지만 20여년 전 부터 복원을 착수해 마무리 단계에 도달한 것 같다.

                   

                   그러나 창덕궁은 발빠른 중건(重建)으로 비교적 조선조 초기의 건축물은 아니나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어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있다.

              

                  창덕궁은 그 궁역(宮域)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는 데, 정전과 정문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전(外殿)과 정침(正寢) 및 주변 전각들로 구성된 내전(內殿), 그리고 후원이다.

  

 

                     창덕궁에서 가장 오랜 건물은 정문인 돈화문. 광해군 때 재건되어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건물은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과 함께 광해군 때 세워진 궁궐의 정문으로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오늘은 정조대왕 능행차길 체험 순례 행사가 있어 비교적 일찍 나왔는데도

                                 만족스런 촬영이 안됐네요. 

 

             창덕궁의 정문으로 원래는 화강석조의 하얀색 댓돌이 있었고 그 위에 이층으로 세운 중문이었다.

            이런 양식은 옛날 삼국시대로부터 궁궐의 정문으로 채택되어 왔다.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의 대문은

           광화문으로, 홍예문이 셋이 열린 육축(陸築)위에 올려 세운 구조이나, 돈화문과는 그 모습이 완연히 다르다.

           창덕궁의 모든 구성은 이궁(離宮)으로서의 조촐한 맛을 지니고 있다.

 

     

                          돈화문 왼편의 담. 끝에 보이는 문은 신하들이 다니는 문이라 하는군요. 

 

                      누마루에는 12간지의 동물이 보이네요.

 

                      돈화문을 들어서면 왼편에는 오랜 수령의 고목나무가 있고, 왼편에는 궁의

                    정전의 두번째 출입문인 진선문이 있다.         

                                                                                                                                                             

 

                     창덕궁 후원에는 100여종의 나무들이 있고, 특히 600년 된 다래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

                          700년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가 푸르름을 펼치고 있었습니다.    

                        창덕궁에는 궁 정문에서부터 정전에 이르는 주출입선에 세 개의 문이 세워져 있다.

                     세 개의 문은 돈화문, 진선문, 인정문인데, 돈화문은 제일 바깥에 위치한 창덕궁의 정문이고,

                    다음 금천교를 건너 만나게 되는 진선문은 외행각 주출입문이며, 마지막 인정문은 내행각 주출입문이다.

                    이처럼 진선문은 창덕궁 주출입 금천교 다리를 건너면 진선문을 통과해 정전으로 연결된다.

 

 

                          진선문을 들어서면 왼편에는 인정문, 오른편에는 행랑, 그리고 숙장문이 바로 보인다.

 

                      인정전으로  들어가는  인정문.

                        해피송님 무얼 담고 있을까요?... 해피송 포토존~ㅋ

                              

                   숙장문은 돈화문으로부터 인정전 외행각을 거쳐 선정전 및 내전지역(內殿地域)에 이르는

                주출입선상에 위치하는 문으로써, 외행각의 동측면이자, 어차고의 서측편에 위치한다

 

                      인정문은 인정전을 에워싼 행각의 대문으로 남쪽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나지막한 댓돌에 설치한 돌층층다리를 올라서면 좌,우,중앙 3간문을 들어서게 된다.

                  다른 곳의 대문과는 그 구조와 장식이 다르다.  인정문 사이로 만조백관이 모여 정사를

                  논하는 인정전이 보인다.

 

                      인정전 (국보 제225호)

                임금이 높이 앉아 내려다볼 수 있도록 어좌를 중앙에 두고 여러 가지 장엄을 베풀면서 권위있게

             지은 법전이 각 궁궐마다 있다. 인정전은 창덕궁의 법전으로 궁궐의 배설로는 외전의 중심이 된다.

             외전은 보통 내전의 남쪽에 있어 중요한 전각들을 자오선을 주축으로 하는 선상에서 좌향시키기 마련인데,

             창덕궁은 경복궁에서와 같은 규범에서 벗어났다. 이궁이란 점을 강조하면서 지형에 따라 적절히 배설하는

             방도를 강구한 것이다.

                건물형태는 이중의 월대 위에 중층으로 세워진 집인데, 들어가 보면 아래 위층이 트여 있다.

             20칸 크기의 다포계 공포양식을 지닌 전각으로, 조선조 말기의 양식을 보여준다.

 

                       인정전 앞 뜰에는 문무대신들이 도열하는 품계별 위치표시가 있다.

                     정일품, 종일품~ 정팔등 .......요즘 행사시 국가기관의 고위층,

                    대기업 그룹의 사장단의 좌석배치 등이 이와 비슷한 이치이지요.   

 

                       인정전 오른편으로는 선정전으로 통하는 행랑이 있어요.

 

                        전각안 천정 중앙에는 봉황 한쌍이 장식되어 있고, 북측 중앙에 닫집으로

                       장엄된 용상(어좌)이 설치 되어 있다. 

 

     

                     

                      인정전 오른편으로 나오면 선정전 앞으로 나옵니다. 

                  

                       창덕궁 가는길: 서울 종로구 와룡동 2-71

                       문의:02-762-8261

                       월요일 휴무/ 요금: 어른(19~64세):3000원

                       홈페이지: http://www.cdg.go.kr/

 

                     외전에 속하는 선정전은 2편으로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