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정월 대보름날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선 돌 2012. 2. 7. 23:14

 

 

 

 

                   정월 대보름날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오랫만에 서울에 머물시간이 많아졌습니다. 어제(2/4일)

                      회사의 워크샵을 마치고 아무런 계획없이 남산골 한옥마을

                      를 찾아 봅니다.

 

                          마침  내일이 정월 대보름이라 각종 행사가 열려 달집에 소원지를

                     붙이는 분들이 많이 보입니다.  

 

                          한옥마을 정문에는 "입춘대길/달맞이 축제" 라는 플랭카드가 걸려있고,

  

 

                          각 방송국의 기자들도 달집앞에서 바삐 취재하느라 열기가 대단합니다.

 

                         소원지를 높은 곳에 달기위해 사다리를 타고 올라 가시는 분.

                     "조심하세요."  여러색깔의 색종이에 소원을 정성스레 써서 매어 놓았습니다.

                     달집은 대보름날인 내일(2/6일) 태운다 합니다.

                        

                             윷놀이도 하며,

 

                         한 연인커플은 새해의  운세를 윷점보기로 알아보려는 지

                     윷을 던집니다.

 

                           " 農者天下之大本" 란 글이 쓰인 볏가리대.

                           정월대보름에 짚이나 헝겊등에 벼,보리,조,기장,콩,팥 등 갖가지

                      곡식을 싸서 장대에 매단다음, 우물이나 마당 또는 외양간에 높다랗게

                      세워놓고 풍요를 기원하는 풍속, 곡식을 매달아 놓은 장대를 볏가리대

                      또는 禾竿(화간)이라고 합니다.

 

                           한옥 지붕 넘어로 보이는 남산타워가 높이 서 있어 흡사 풍요를 기원하는

                       볏가리대를 세워논 듯 합니다.

                      

 

                한옥으로 가려는 데 마당앞에는 나무에 걸린 연(방패연)도 있고,

 

                          "솟대"

                      솟대는 민속신앙에서 새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세우거나 마을입구에

                        마을의 수호신의 상징으로 세운 긴 나무 장대이다. 지방에 따라 '소줏대'

                        '솔대' '별신대' 등으로 불린다.  삼한시대의 소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

                        이며 주로 긴 장대 끝에  나무로 만든 새조각이 있는 모습이다. 

 

                         굴렁쇠를 굴리는 아이들의 모습이 진지하게 보이죠.                     

 

                          이번에는 국악공연이 열리는군요.

                       퓨전국악그룹인 5인조 "단비"라는 보컬밴드의 공연입니다.                       

 

                         진행아나운서의 공연시작 멘트가 있었고,

 

                          개량가야금(25현),아쟁,바이올린, 전자올갠 그리고 보컬의 5인조 그룹이군요.

 

                          아리랑,도라지, 그리고 비틀즈 헤이 쥬드, 항가리 무곡 등 다양한 레퍼토리로

                     진행합니다.

 

                         이어서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3호인 "송파다리밟기" 가 진행됩니다.

 

                         날라리, 호적의 연주로 멋드러진 행진이 시작되고, 

 

                         무등을 탄 꼬마들의 모습은 귀엽기만 한데 해학기 넘치는 동작은 미소를

                      짓게 합니다.

 

 

                           달집태우기는 2/6일 대구 금호강변 안심교 옆에서 찍은 것입니다.

 

 

                               달집에 매단 소원지의 소원은 이루게 해 주시고, 타오른 저 불처럼 우리의

                          경제는 물론 온국민의 삶과 생활도 윤택하게 하여 일년내내 평안하게 하여 주시기

                          기원합니다.

 

                                        위   치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2가 84-1

                                                     남산골 한옥마을

                                        전   화 :   02) 2264  - 4412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