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600년 역사가 숨쉬는 충복 정경손의 장수향교.

선 돌 2012. 2. 10. 23:28

 

 

                   600년 역사가 숨쉬는 충복 정경손의 장수향교. 

 

                            예전에 무진장하면 무주,진안,장수를 일컬는 전라북도의 산골

                         오지 지방을 말함이었다. 하지만 공해에 시달리고, 현대문명의

                          편안함을 생활화 하다보니, 현대문화병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리하여 요즘에는 비교적 덜 개발되고 자연 그대로의

                         지역이 도시인의 휴가지및 관광지로 변했는데, 그 대표적인 지역

                         이 무진장이다.

 

 

                        지방마다 지금의 지방 국립대 격인 향교가 있지만 대부분 한국전쟁 이

                      후 복원한 건물이 많다. 그러나 장수 향교는 긴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

                      하고 있는 곳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화마를 피해갔기 때문이다.

                       향교가 원형 그대로 보존될 수 있었던 것에는 특별한 이야기가 있다.       

                      임진왜란 때 향교지킴이 정경손은 향교를 떠나지 않았다. 왜적의 장수가

                      목을 치려했을 때 당당하게 "여기는 성전이니 함부로 들어갈 수 없다""

                      꼭 들어가려거든 나를 죽이고 들어가라"고 소리를 질렀다. 그의 의기에

                      감복한 왜장은 "이 성역을 침범하지 말라"는 신표를 써주고 물러갔다고

                      전해진다. 향교에는 이 분을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장수 향교는 1407년 태종 때 창건돼 가장 오래된 향교중 하나이다.

                                 이를 기념하는 600주년 기념비입니다. 

 

                          정경손 정충복의 비

 

 

                              

 

 

                                다른 방향에서 본 비각

 

                          충효당,

 

                     향교로 들어가는 부강문인데 들어갈 땐 오른 쪽, 나롤 때는 왼쪽으로 

                   나오는 규칙이 있다 합니다. 

 

  

 

                        선돌이 그 동안  몇군데 향교를 다녀보았지만, 오늘처럼 개방된 곳은

                      한 번도 본적이 없어 담 넘어로 사진 몇장을 찍어가는 것이 고작이었다.

 

 

 

 

                         

 

 

                         명륜당은 당시의 유생들을 가르치던 강학공간입니다.

 

 

                         1963121일 보물 제272호로 지정된 대성전.

                       정면 3,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지붕이며, 전면은 중앙에 띠살문의

                       분합문을 달았고 좌우간에는 같은 형식의 문짝 한 개씩과 그 옆에

                       정()자 창을 만들었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판벽(板壁)을 붙였다.

                       기둥은 곧고 비교적 가는 원주(圓柱)를 사용하였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배치하였으나 그 짜임은 다포(多包)

                       계통의 포작(包作)이며 이출목(三出目) 구성이다. 쇠서에는 연꽃이

                       복잡하게 새겨졌고 상부에는 봉두(鳳頭)를 만들었다. 이 곳에는 대

                       성전 외에 사마재(司馬齋동재(東齋서재(西齋) 등이 있다.

        

 

                          대성전에 모셔진 위패.

 

 

                           사마재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에 문묘에서 공자를 비롯하여 신위를 모시고 있는

                      4성 10철 18현을 제사지내는 의식인 성균관 석전대제(중요 무형 문화재 제85호)

                      와 유고문화의 전통을 게승하는 형교도 길이 보존하여야 할 우리 문화유산입니다.

 

                         이 곳 장수(長水)향교도 오래오래 보존하여 후세에 잘 물려주어야 할 것입니다.

 

                           위   치 :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254-1

                           전   화 :  063 - 350 - 2540

 

                         ▶장수의 다른 여행지를 보시려면

                        (장수) 충절의 상징, 겨레의 여인/논개정신을 기리는 의암사  :  http://blog.daum.net/ykp702/287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