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곡성) 절집다운 고즈녘한 모습을 간직한 구산선문 동리산파의 태안사

선 돌 2012. 4. 23. 05:04

 

 

                 구산선문 동리산파의 태안사

                         불교 구산선문중 하나인 동리산파의 본산지로서 통일신라

                      시대부터 고려초까지 헤철선사,도선국사가 득도한 정량수도

                      입니다. 태안사로 들어가는 2km 의 계곡은 봄에는 신록, 여름

                      에는 울창한 녹음, 가을에는 짙게 물든 단풍이 아름답습니다.

                         특히 비포장도로인 길을 버스로 올라갔기 때문에, 계곡

                      흙길을 걸어보는 여유를 즐길 수 없어 아쉬운 곳입니다. 

 

                          일주문 좌우에 늘어선 고목과 광자대사의 부도탑은 이 절이 구산선문의

                        천년고찰모습이 보이는 듯 합니다.

                        

                         일주문 (도유형문화재 제 83호)

                         능파각에서 약 200m 쯤 지나 높직한 돌계단에 설치되었으며,앞뒤로 팔각기둥을

                      세우고 창방과 평방을 겹쳐서 일주문 전후에는 3,측면에는 1구의 공간포가 받치고

                      있다.3출목, 4출목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앙설로 살미첨차들과 화려한 단청

                      과 기둥 상부의 용머리 장식이 있으며, 전면에는 동리산 태안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태안사 3층석탑(진신사리 3층석탑:도지정 지방문화재, 자료170)

                          광자대사 부도 바로 옆에 있었으며 당시의 상태는 기단부 면석 1매와 탑신부

                        일부에서 유실된 부재가 있었으나, 현 위치로 옮겨 보수하면서 현싱태로 복원

                        하였다. 탑의 구조는 당초 2층 기단인 3층석탑 이었으나 연못으로 옮기면서

                        기단부 지대석을 높여 탑이 전체적으로 높게 보인다. 탑신부의 각 옥개석 층급

                        받침은 4단이며 옥개석 상면에는 2단으로 고였다. 상륜부는 유실되어 새로

                        복원하였고, 고려 초기의 탑으로 추정됩니다.

 

 

                       대웅전(극락보전)

                       태안사 대웅전은 6·25 전쟁 때 불타버렸다. 현재의 대웅전은 1969년에 옛 모습을

                    본 따서 새로 지었다. 새로 중수된 대웅전(극락보전)4벌 대의 장대석을 쌓아 기단을

                    삼고 원형 초석 위에 원형기둥을 세우고 창방과 기둥 위에서 결구한 다포 양식의

                    겹처마 팔작지붕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단아한 느낌을 주는 태안사 대웅전은

                    전면의 중앙 칸에는 4분합 솟을 빗살문을나머지 4칸에는 2분합 솟을 빗살문이 있다.

 

                          대웅전안에 있었던 동종은1457년(세조3년)에 주조한 것을 종이 깨져 금 400근을

                        넣어1581(선조14년)에 다시 만들었다는 문귀가 새겨져 있는데,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동종양식을 엿볼수 있는 귀중한 것이라 하나, 요즘은 별도로 수장되어

                        모형품이 있다합니다. 대웅전에서 기도를 드리는 염불소리가 계속들려 그마저도 못

                        보고 모형도만으로 만족해야 하는군요.                        

 

 

                          약사전.

 

                          약사전에 모셔진 부처님.

 

 

                         바닥에 떨어진 동백꽃의 모습도 예사롭지 않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합니다.

 

 

                            적인선사 부도탑비 입구.

 

                           적인선사조륜청정탑(혜철선사탑)

                           보물 제 273호인 적인선사조륜청탑은 경문왕 원년인 816년에 세월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은 태안사를 창건한 혜철선사의 부도탑이다

 

 

                          대웅전을 비롯한 절집들의 아름다운 모습.

 

                           태안사의 축대와 돌담은 곳곳에 이런 유형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이 곳은

                         적인선사조룬청정탑이 있는 곳입니다.

 

                         어는 절에 가도 산신각엔 호랑이를 옆에 둔 산신님이 계셔, 약간은 어떤 위압감도

                       느끼는 곳이기도 하지만 귀여운 모습의 호랑이는 무섭다는 느낌은 들지 않으니, 절

                       에 올 때마다 꼭 들러보고 가는 곳입니다. 

 

                         4월 초파일이 얼마 남지 않았는 지, 연등이 많이 결려 있습니다.  

 

                          다른 절과 달리 해후소가 아직도 재래식이며, 그 깊이도 공포심을 느낄정도라는

                        해설이 기억납니다.

 

                           태안사 절 옆으로 천불전 가는 길의 돌축대와 돌담의 모습이 너무도 아름다워

                        잠시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군요.

 

                           천불전.

 

                          천불전에 모셔진 부처님은 개급불사를 한 듯 하며, 가까이 다가가 보니,

                        그 표정들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보재루 뒤에 있는 소각장의 모습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기와와 흙으로

                        만들어진 모습이 경복궁의 그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광자대사 윤비의 탑비 부도군.

 

                          광자대사 탑비.                         

                          비문이 새겨진 몸돌이 파괴되어 일부 조각만이 남아 있으며, 거북받침 위에

                       머릿돌만 얹혀져 있는 상태이다. 거북은 목이 짧아보이기는 하지만, 머리의

                       표현이나 몸 앞쪽의 조각이 사실적이고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다. 등 위로는

                       비를 얹기 위한 받침대가 새겨져 있는데, 옆면에 보이는 무늬가 어떤 것을

                       표현한 것인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머릿돌에는 네 귀퉁이마다 이무기의 머리

                       조각이 돌출되어 있고, 앞면에는 극락조로 보이는 새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이러한 새 종류의 조각은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에서 잘 나타나 있다.

 

                         

                         위  치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71

                                             태안사

                               전  화 :  061) 363 - 6622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