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영천여행) 호남의 원림구성의 정원을 구성하여 자연을 품에 안은 귀애정/귀애고택

선 돌 2012. 11. 4. 17:34

 

 

                 호남의 원림구성의 정원을 구성하여 자연을 품에 안은 귀애정

                 (龜厓亭`경북도 문화재자료 339)

 

                         2011년 11월 영천 미술마을이 별별미술마을로 문을 연 뒤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

                       귀애정을 찾는 도시인들의 발길이 부쩍 늘었다고 합니다. 선돌도 미술마을의 작품

                       을 감상하며 찾아다니다. 귀애고택까지 오게 되었는데, 귀애정은 귀애고택 안쪽의

                       나지막한 우목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귀애고택 주위에 '저 하늘 별을 찾아'

                       '휴식과 기다림' '거북아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고추잠자리의 여정' 등의 작품이

                       설치돼 있어 한옥의 정취와 함께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귀애고택 마당에 이르니 소슬대문이 있는 문간채는 복원된 건물인 듯 합니다.                     

                     귀애고택의 전체 규모는 귀애정, 사당, 별묘, 육각정 등을 포함해 47칸의 큰 집

                     이었다고 하는데, 1988년 화재로 사랑채, 아랫사랑채 등 15칸이 소실된 뒤 1991

                     현재의 사랑채를 복원하였습니다.

                         

                         소슬대문에 <귀애고택>이란 현판의 모습.

 

                                   2011년 행복프로젝트에 의해 별별미술마을의 작풍들이 설치되었는데 그 중 하나인

                                 <저 하늘 별을 찾아....>라는 작풍이 귀애고택 문 옆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현산을

                                 바라보며 높은 사다리위에서 별을 찾는 모습과 아래의 강아지가 함께 바라보는 모습

                                 이 귀엽기도 하지요.

  

 

                          귀애고택의 안채와 사랑채에는 사람이 기거하는 듯 살림살이 모습도 보이는데,

                        알아보니 한옥체험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필요하신 분은 귀애고택 사이트에서

                        자세한 것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귀애고택옆에 있는 또다른 작품 <거북아 거북아>입니다.

 

                        사당의 담을끼고 귀애정으로 갑니다.

 

                         귀애정 앞의 연못에 있는 육각정은 나무다리를 연결하여 건널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귀애정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공조참의를 지낸 조극승(18031877)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정자이며, 마루방 상부에 있는 병진년 청명절에 쓴 귀애정 기문으로 1916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1978년 기둥과 마루 부분을 중수했습니다. 연못에 비친 달을 볼

                     있어 수월루(水月樓)라 이름 붙인 누마루 3면의 들문은 일부 도둑맞아 따로 보관하고 있습

                     니.

 

 

 

                                  나무다리로 연결된 육각정은 고풍스런 모습 그대로 입니다.

 

                         연못위의 육각정 안에 계신 분을 무얼 하고 계실까요. 아름다운 경치에 매료되어

                       사색에 잠겨 있을 듯....

 

                         연못 내에 둥근 섬을 조성하고 섬에 육각정을 설치한 뒤 나무다리로 정자와 연결해

                      한옥의 고풍스런 아름다움을 더했다. 육각정은 30여 년 전 붕괴돼  다시 복원됐습니다.

 

                         귀애정 뒤로 나가면 또하나의 작품 <고추잠자리의 여정>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변 논과 밭에 가을이면 많은 잠자리들이 날아다닐 것 같은 모습이 그려집니다.

 

                            우리조상들은 배산임수(背山臨水) 형의 택지를 많이 고른 것을 느낄 수 있는데,

                       귀애정도 앞에 연못을 파 배산임수의 구색을 맞춘 것 같은 추측은 억측일런지...

                       귀애고택은 맑은 날 보현산 정상을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귀애의 증조부인

                       조명직이 조선 영조 43(1767) 화남면 귀호리로 이주하여 세거지의 기반을 마련

                       했습니다. 연못은 3면이 담장없이 터져있는데, 일반적인 영남의 별서정원의 수법은

                       주위의 담장을 둘러 폐쇠적인 형태를 띠고 있으나, 이곳은 오히려 개방적으로 처리

                       하여 호남의 원림구성 수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곳의 장면은 사계절별로 연못에서 비치는 반영을 비롯하여 귀애정과 우묵산을

                       담으면 멋진 장면이 나올 것같은 느낌이 들어 아쉬운 곳입니다.

 

                        위  치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귀호1리 644번지(귀호1길 37-17)

                                   귀애고택, 귀애정                     

                        전  화 : 054) 331 - 8043.\, 010-2514-8043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