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홍천여행) 절이름도 없는 물걸리 사지의 진귀한 보물들

선 돌 2013. 5. 8. 12:00

 

 

 

 

 

 

 

 

 

                       절이름도 없는 물걸리 사지의 진귀한 보물들

 

                                   통일신라시대에는 불교문화가 성행하여 전국각지에 많은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홍천의 물걸리에도 통일

                                 신라시대의 절터와 그로 부터 발굴된 불교문화유적이 있어

                                 찾아 봅니다.

 

                                    인제의 상동리 삼층석탑이나, 한계리 석탑을 찾아 보았을 때 안내문이

                                  제대로 없어 산길 같은, 군부대 근처을 한참 헤메였던 것을 예상하며 깊

                                  숙한 산속이려니 생각했는데 비교적 찾기쉬운 기미만세공원 뒤쪽이 물

                                  걸리 사지(物榤里 寺址) 였습니다.  

 

                                     보물 제545호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洪川 物傑里 三層石塔)

 

 

                                    물걸리 절터에 남아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탑으로, 절터에 남아있는 많은 유물들로 보아

                               이전에는 이곳이 상당히 큰 규모의 사찰이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습니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세운 모습이고, 위·아래층 기단의 각 면

                               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하나씩의 기둥 모양을 새겨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

                               면의 받침이 1·2층은 5단이나, 3층은 4단으로 줄어들었다. 경사면은 평평하고 얇으며, 모서

                               리선이 뚜렷하여 끄트머리에서의 들림도 날카롭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없어지고 이를 받

                               쳐주는 노반만 남아있다.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탑이나, 기단 각 면의 가운데기둥이 하나로 줄어든 것

                               이라든지, 3층에서의 지붕돌 받침이 4단으로 줄어 아래층과의 조화를 이뤄내지 못한 점 등

                               으로 보아 시대가 조금 떨어지는 9세기 후반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서 발굴된 주춧돌,장대석 등의 유적을 한 곳에 모아 두었는데, 아마도 복원시에

             필요하겠지요.

 

                 홍천 물걸리 사지( 洪川 物榤里 寺址 )   

                 이 절터는 절이름을 알 수 없으나,전해오는 말에, 홍양사(洪陽寺) 터라고 합니다.

               1967년 4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구를 비롯하여 철불조각,청자편,수막

               새와 암막새기와 암키와 조각,청자조가,토기조가,조선시대 백자조각 등이 발견 되

               었다. 이로 미루어 보면,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절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절터에는 석조여래좌상,석조비로자나불좌상,불대좌,불대좌와 광배,삼층석탑

               등 보물 5점이 보관되어 있어, 강원도내에선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이 보관된 유적

               지입니다. 그중 불상대좌의 사자상은 정교하고 거대합니다. 

 

 

                4구의 불상(보물)이 전각안에 모셔져 있는데, 전각앞에는 안내용 비문인 듯한  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보물 제544호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

                                   불상은 없어졌지만, 몸에서 나온 빛을 표현한 광배와 부처가 않은 자리인 대

                                 좌가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보물 제541호 홍천물걸리 석조여래좌상(洪川物傑里石造如來坐像)

                                    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광배는 없어졌고,오랜 풍화에 얼굴은 

                                  마모되었지만, 부처가 앉은 자리는 잘 남아있고, 둥근 얼굴에 눈,코,

                                  입이 작고 신체가 두텁고 투박하며,부처가 앉은자리에 징식이 많고,

                                  화려한 것으로 보아 통일 신라후기의 불좌상으로 보여집니다. 

 

                                   보물 제542호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洪川 物傑里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옆의 석조여래불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이 불상은 광배는 잃어버렸고,코는 깨지고,

                                얼굴은 마모되었지만, 나머지 부분은 잘 남아있습니다.

 

                                     보물 제543호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통일신라 후기 9세기 경 만들어진 석조대좌는 불상은 없어지고,

                                  광배와 대좌만 남아 있는데, 광배는 깨어졌으나 대좌는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네개의 보물이 모셔진 전각의 뒷모습.

 

 

                 물걸리 사지에 들어가기 전, 기미만세공원안에 세워진 기미만세상(己未萬歲像).

 

 

                여러 기념비석이 공원 주변에 세워져 있는 모습.

 

                순국 八열사의 기념비각.

 

 

                               위  치 :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589-1 

                                          홍천 물걸리 사지, 기미만세공원

                               전  화 : 033) 430 - 2323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