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남원여행 계곡 작은 폭포들이 흐르는 뱀사골 트레킹코스 와운마을 지리산 천년송

선 돌 2015. 7. 27. 06:56

 

 

                     남원여행

                 계곡 작은 폭포들이 흐르는 뱀사골 트레킹코스

                 와운마을 지리산 천년송

                        

                           지리산 뱀사골계곡은 반야봉부터 남원시 산내면까지 이어지는

                      약 14여 km 가 이어지는 계곡으로 빼어난 경치와 청정지역의 오염

                      되지 않은 계곡을 따라 많은 등산객들이 즐겨찾는 곳이기도 합니다.

 

 

                               뱀사골은 ‘이무기가 죽은 골짜기’라는 뜻인데, 오래 전부터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1300여년 전 송림사에서는 해마다 칠월칠석이면 법력이 높은 승려를 뽑아

                           불공을 드리면 신선이 되는 행사가 있었는데, 매년 이어지는 이 행사를 이상하게

                           여긴 고승이 그 해에 뽑힌 승려의 옷자락에 독을 묻혀 보냈더니, 다음날 마을사람

                           들이 발견한 것은 죽어 있는 이무기였다고 합니다. 송림사는 매해 승려 한명씩을

                           이무기의 제물로 바쳐 온 것입니다.  

 

                           지리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를 지나면서 바라보기만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뱀사골계곡을 따라 화개재까지 약 9.2 km 정도를 오른 후, 노고단이나 반

                        야봉을 향해 등반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계곡길을 따라 오르다보니 묘한 모습의 바위가 바위위에 올라 앉아 있는

                              형국을 보여 카메라에 담아 봅니다.

 

 

                           뱀사골 반선을 따라 3㎞정도 들어가면 해발 800m고지의 산골 ‘와운(臥雲)마을’에

                      갈 수 있는데, 체력도 안되고 시간도 없는 선돌은 와운마을의 천년송을 만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구름도 누워간다는 의미로 ‘와운’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눈골’ 또는 ‘누운골’로

                     불리기도 합니다.

 

 

                         와운마을에 들어서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천년송으로 통하는 ‘할머니 소나무’입니다.

 

 

 

                            와운마을 천년송은 천연기념물 제424호로 실제 수령은 500년 정도이고,

                     할머니 소나무 뒤에는 할아버지 소나무’가 있습니다. 주민들은 와운마을의

                    안녕과 풍년 등을 기원하는 당산제를 음력 1월10일이면 할아버지 소나무에

                    지냅니다.

 

 

                        오지 중의 오지인 와운마을은 찻길이 생기기 전 생필품을 구하러 꼬박 하루를

                     걸어 함양, 남원, 구례 등지로 나가야 했을 정도로 외진 곳이며, 험준한 산길을

                    걸어야 하기에 바깥과 쉽게 통할 수 없는 주민들의 안타까운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트레킹코스마다 쉽게 볼 수 있는 느린 우체통이 이곳에도 나무로 만들어져

                        예쁘고 앙승스런 모습으로 눈길을 끕니다. 실제로 편지를 넣어 100일 후에

                        도착하는 통신수단을 이용할 분들은 별로 없겠지요.

 

                        지리산 천년송 (일명 할머니 소나무).

                       소나무에서는 20여m 아래쪽의 와운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 소나무.

 

 

                          천년송의 풍채는 역시 볼만하여 와운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역활도

                        할 것 같아요.

 

 

                                    와운마을 사람들은 현대사의 아픈 상처인 여순 사건과 6·25전쟁의 비극도

                               겪어내야 했습니다. 여순사건을 일으킨 14연대 50여명이 여수와 순천을 점령

                               한 후 와운마을로 들어왔고 그 과정에서 이데올로기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마을

                               사람들이 수없이 희생당했다고 합니다.  6.25 전쟁 당시 밤에는 빨치산에게, 낮에

                               는 공비 토벌대에게 시달리며, 동족상잔의 비극은 지리산 주변 마을에서 같은 날

                               여러 집 제사가 한꺼번에 겹치는 데에서도 드러나는데, 서민들에게는 등 따스고 

                               배만 부르게 해주면 되는데, 이런 이념전쟁으로 피해를 당하는 것은 힘없는 서민

                               들이 대부분이지요. 다시는 이런 슬픈 이념전쟁이 일러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천년송에서 내려다 본 와운마을.

 

                         와운마을에서는 계곡물에 발을 담글 수도 있어 쉬어가기에 적당한 곳이기도

                       합니다.

 

                                                       와운마을의 쉼터에서는 입을 즐겁게 하는 것도 중요한 것이기에

                                    파전과 도토리묵시켜 먹으며 땀을 식혀봅니다. 

 

                          와운마을 주민들의 생계수단이 옛날에는 양봉이나, 산나물채취, 약초채취를

                       하여 팔았다는 데, 요즘은 관광객들이 오기 때문에 민박, 식당 등을 하고 있습니다.

                       식당주인이 이 곳에서 채취하여 판매한다는 와운마을 특산물을 보여주기에 카메라

                       에 담아 봅니다. 

 

 

 

                      위   치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373

                              지리산 천년송 와운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