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고궁탐방) 뱃놀이 즐기던 한폭의 오색 아롱진 그림자 부용지와 주합루

선 돌 2011. 7. 31. 02:30

 

 

                 

 

 

                 정조대왕의 국립도서관 기능과 개혁의 중심

                 규장각이 있는 부용지와 주합루 일대

 

                            후원의 대표적인 4개 권역중의 하나인 부용지를 중심으로

                         부용정·주합루·영화당(暎花堂)·사정기비각·서향각(書香閣)·

                        희우정·제월광풍관(薺月光風觀)  등의 건물들이 있는 지역이다

 

                           

 

 

                             터널같은 숲길사이로 멀리 영화당이 보인다.

 

 

                             숲길을 빠져 나오니 부용지와 주변의 영화당,주합루,어수문 등이 보인다.

                     이 곳엔 조선시대의 나라의 인재를 키우고 개혁정치의 산실인 규장각도 있다.

                        

                      부용정.

                 영화당에서 과거를 보고 급제를 하면 주합루에 올라가 왕실도서관의 수만 권의 서책을 읽으면서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그때 그 일을 축수해 주는 자리가 부용정이다. 부용정의 평면은 亞자형이면서

              변화를 주어서, 작은 건물이지만 그 구성이 복잡해 보인다. 한쪽의 두 기둥의 주춧돌이 연못 속에 있다.

              연꽃에서 아름답게 피어난 한송이 꽃과 같은 정자를 꾸민 것이다. 정조 때 다시 지었는데, 구조로 보아

             특이한 정자이다.

 

                 동쪽에 열린 문을 열고 들어서면 불발기창이 달린 창과 외짝의 문이 있다. 그 안에 들어서면 단문이다.

              필요할 때 문짝을 열어 걸면 온 천지가 한꺼번에 정자 안으로 빨려드는 듯하다.

 

                         주합루(1층은 규장각,2층은 주합루)와 어수문, 그리고 어수문 뒤로 서향각(書香閣)이 보인다.

                      해설사의 말씀이 이 곳에서 " 향(香)  자가 들어간 이름의 건물은 책과 관련있는 곳 " 이라 한다.  

 

                    취병은 조경시설의 공법으로 대나무로 담장을 만드는 등 시야를 가리게 하는 것이다. 

                     

                부용지는 장방형 연못으로 못 가운데에는 직경 9미터의 원형 섬이 조성되어 있다.

             원래 이곳에는 숙종 때부터 연못이 있었으며, 1707년 지금의 부용정 터에 택수제가 건립되었던 것을

             1792년에 정조가 택수제를 헐고 부용정을 개건한 것이다. 부용정 옆에는 석분위에 아름다운

             괴석(怪石)이 심어져 선산을 상징하고 있다. 부용지에는 수련(睡蓮)이 심어져 있고 북쪽의 주합루와

             동쪽의 영화당, 남쪽의 부용정이 수면에 오색아롱진 그림자를 드리우면 한폭의 아름다운 반영(反影)이

             그려진다고 한다.

 

                부용지의 수원(水源)은 지하에서 솟아오르며, 비가 올 때는 서쪽 계곡의 물이 용두의 입을 통하여

             입수하게 되어 있다. 못 속에는 잉어나 붕어 등의 물고기를 길러 임금이 낚시나 뱃놀이를 했던 곳이다.

             동남쪽 호안(護岸)에는 이채롭게 물고기 한 마리가 조각되어 있다.

 

                            부용지앞에서 맑은 미소을 짓고 있는 해피송. 부용이로 바꾸는 것이 어떠신지?                              

 

 

                     주합루

                     정조가 즉위하던 해에 주합루가 완성된다. 실학의 분위기가 팽배하던 시절에 정조는 등극하여

                 유능한 문신들과 더불어 문치에 노력한다. 임금 자신이 박식하여 많은 저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서책들을 많이 출판하였다.

                   

                     주합루를 짓고 아래층을 규장각이라하여 수만 권의 책을 보존하는 서고로 꾸몄다.

                여기에서 나라에 진출할 동량들을 육성시켰다. 또한 주합루 주변을 아름답게 가꾸어서 영화당에서

                뽑은 인재들 양성에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다.

 

                     주합루 남쪽에 어수문을 짓고 그 앞에 방지(부용지)를 팠다. 방지의 중앙엔 당주(當洲)를 만들고

                잘 생긴 소나무를 심었다. 연못에 당주가 있어야 재록(財祿)을 누린다는 설에 따른 것이다.

               방지의 서편엔 누각이 있고 지변(池邊)에 입수하는 물을 토하는 이무기 머리상이 있다.

               동쪽엔 영화당이, 남쪽엔 부용정이 있다.

 

 

 

                          사정기비각 

 

                              우물

 

                        영화당(暎花堂) 

                        조선왕조에선 옛 제도에 따라 국가의 동량(棟梁)을 뽑는 일을 과거제도에 의존하였다.

                    공개시험으로 우수한 인재를 발탁하는 방법이었다. 지방에서 초시에 합격한 사람들만 골라

                    임금이 친히 참석한 자리에서 시험을 치게 하였다. 이를 전시(殿試)라 하는데, 영화당은

                    그런 과거를 보는 장소였다.

 

                        원래 이곳은 임금이 신하들과 꽃구경을 하고 시를 지으며 놀던 곳이다. 정조 때부터 이곳을

                    과거장으로 사용하여, 영화당에는 시관이, 그 앞 춘당대(창경궁 내)에는 응시자들이 자리잡고

                    과거를 보았다.

 

                             영화당

 

                                 영화당의  편액은 영조의 친필.

                          

                           다음은  효명세자와 연관이 깊은 의두합,기오헌이 있는 애련지,애련정에 대한 후기를

                       올리겠습니다.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