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서울시여행

(고궁탐방) 조선의 상류사회 주택 후원의 연경당

선 돌 2011. 8. 2. 01:30

 

 

 

               조선의 상류사회 주택 연경당             

                          

                           제2 권역의 대표적인  볼거리 연경당입니다.

 

                     조선 후기 상류주택이 궁궐의 후원(後苑) 안에 지어졌으면서도

                사랑채·안채·안행랑채··후원·정자 및 연못을 완벽하게 갖춘 주택건축이며,

                국법으로  사가의 집은 99칸을 넘기지 못하였나, 이 집은 109칸 반이고,

                연경당은 사랑채의 당호(堂號)이며 집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연경당의 대문인 장락문 앞에 다달았습니다.       

 

                           연경당의 사랑채로 통하는 장양문.

 

 

                      안채로 바로 통하는 수인문  앞에서 본 안채.

 

                                 안채.                       

 

                            안채 마당에 들어서니 행랑채가 울타리처럼 둘러서 있고, 통벽문을 통하여 또 다른

                   별채가  있습니다.                          

 

                     연경당과 선향재.

                  

                       연경당에 공부해야 할 아들이 살고 있다면 그 아이를 위하여 교육에 소용되는 모든걸 준비하려고

               어른들은 노력할 것이고, 서당의 구비도 그 중의 한 요소가 되겠지요. 수천 권의 책을 쌓아 두고

               유능한 스승을 모셔다 열심히 가르치려는 건 요즘 부모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선향재는 독서와 서고를 겸한 건물이다.

               특히 이 집은 서향하여 여름철이면 석양의 뙤약볕이 따가우므로, 건물 바깥으로 사랑(斜廊)을 설비하여

               차양하도록 했는데, 유지(油紙) 바른 차양막을 고패에 걸린 끈으로 잡아당겨 개폐하도록 마련하였다.

               또 사랑지붕엔 청동판을 인갑(鱗甲)처럼 박아서 비바람에 견디게 하였다.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담장과 문.

 

       

                       순조 28년 당시의 사대부집을 모방하여 창덕궁 안에 지은 유일한 사가형식의 건물 연경당입니다.

               사랑채엔 안채가 이어져 있고 사방에 행각들이 지어져 있고, 이른바 아흔아홉간 집의 구성이 되어

               있어 조선조의 사대부 주택을 잘 보여주며 한국 주택사나 생활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합니다. 섬돌 아래 세벌대 댓돌이 있고, 그 앞에 초헌이나 말을 타고 내릴 때 딛는 노둣돌이

               있으며, 대청은 4칸이고 툇마루를 놓았습니다. 동쪽에 2칸의 내루(內樓)가 있어 마루방이 되고,

               서편에 4칸의 방이 사랑방이며, 사랑방 머리맡엔 벽장이 있고 다시 다락이 있습니다.

 

 

                                노둣돌 : 말을 타고 내릴 때 디딤돌                    

 

 

                                    뒷 뜰에서 본 선향재와 연경당.

 

                                안채의 뒤 마당에 들어선다. 

 

 

 

                             안채 툇마루와 사랑채를 연결하는 문이 있습니다.

 

                                 수정 (農繡亭) : 사당.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일대 

                                                       

  

                                                    

연경당 배치도.jpg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