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단양팔경) 남한강이 흐르는 第一景 도담삼봉과 第二景 석문

선 돌 2011. 8. 6. 01:00

 

 

              단양팔경 중 第도담삼봉,   

                                   景  석 문         

         

                단양하면 치산치수(治山治水)라는 말을 중시해야 하는 지역으로

          생각됩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 쌓이고, 남한강이 흐르는 강변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산과 물을 관리하지 않을 수 없는 도시입니다. 

        어쩌면 대한민국의 스위스가 되어 관광산업을 주도하는 도시가 되어야

        할 지도 모른다고 생각드는군요.

            좋은 공기, 맑은 물, 아름다운 주변 경치 등의 여건은 충분하니 자연상태를

        잘 보존하고 ,또한 주어진 천혜환경에 걸맞는 인프라를 구성하면 가능하겠지요. 

                                   

               그래서 단양이 자랑하는 팔경(八景)도 강과 산에 있어 가능했던 것이니, 이를 둘러보고 있습니다

 

                                도담삼봉 주차장에 도착하니, 벌써 많은 차들과 사람들이 단양팔경중 일경인 도담삼봉과

                      이경인 석문을 구경하기 위해  왔습니다.

 

                         석문으로 올라가는 곳에 음악분수가 설치되어 많은

                                관광객을 환영하듯 분수쇼가 펼쳐 졌습니다.

 

                               시원한 물줄기가 다양한 모양으로 솟구쳐 올라 더위를 식혀 주더군요.

 

                                   해피송은 벌써 도담삼봉을 내려다 보며 열심히 셧터를 눌러대고 있네요.

 .

                                뒷 쪽에서 보는 도담삼봉은 또다른 모습으로 마치 두개의 섬처럼 보인답니다.

 

                             더욱 각도를 돌리니 이번엔 한개의 섬처럼 보이구요.

 

                              약간의 숨을 몰아쉬며, 올라오니 어느 덧 석문 앞에 도달했습니다

 

                    "단양 석문(丹陽 石門)" 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 낸 자연유산으로 석회동굴이 붕괴되고

                  남은 동굴 천장의 일부가 마치 구름다리처럼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석문 자체의 형태도 특이하고

                  아름답지만, 석문을 통해 바라보는 남한강과 건너편 농가의 전경이 마치 사진 프레임을 보는 듯이

                  아름답습니다.

 

                    구름다리 모양의 돌기둥 자연경관자원 중 동양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으며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 학술적 가치도 클 뿐만 아니라, 석문 안에 살았다는 마고할미의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 등 희귀하고 아름다운 경승지입니다.

 

                          석문에서 내려오며 찍은 또다른 방향의 삼봉입니다.

                  이번에는 거북이 같기도하고...여러가지가 상상이 되지요?  참으로 묘하군요.

 

 

 

                             드디어 삼봉이 뚜렷이 보이는 방향에 서 있습니다.

 

                              도담삼봉(島潭三峯)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명승지입니다.

                    남한강의 맑고 푸른 물이 유유히 흐르는 강 한가운데 높이 6m의

                    늠름한 장군봉(남편봉)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첩봉(딸봉)과 오른쪽의

                    얌전하게 돌아앉은 처봉(아들봉) 등 세 봉우리가 물 위에 솟아있습니다.

 

 

                       이곳은 조선 개국공신 정도전이 자신의 호를 삼봉이라 할 만큼 젊은

                  시절을 이곳에서 머물렀다 한다. 삼봉은 원래 강원도 정선군의 삼봉산이

                  홍수 때 떠내려와 지금의 도담삼봉이 되었으며, 그 이후 매년 단양에서는

                  정선군에 세금을 내고 있었는데 어린 소년 정도전이 '우리가 삼봉을 정선에서

                  떠 내려오라 한 것도 아니요, 오히려 물길을 막아 피해를 보고 있어 아무

                  소용이 없는 봉우리에 세금을 낼 이유가 없으니 필요하면 도로 가져가라'고

                  한 뒤부터 세금을 내지 않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도담삼봉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만들어낸 원추 모양의 봉우리로

                                남한강이 휘돌아 이룬 깊은 못에 크고 높은 장군봉을 중심으로 세 개의

                               봉우리가 우뚝 솟아 그 형상이 기이하고 아름다우며 남한강과 어우러져

                               뛰어난 절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군봉위의 정자는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풍류를 멋지게 즐겼는지 상상이 되지요.

                                 (물론 너무 놀기만하면 나라가 망해, 적당히 놀아야 하겠지요.)

 

 

                            모타 보트의 스피드를 즐기며,도담삼봉 주위를 돌고 있는 분들. 참 시원하겠어요.

 

                              또 한 편에선 유람선을 타고 강바람의 시원함과  강 兩岸의 아름다운

                       정경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삼봉 정도전의 동상입니다.

                            

                            " 정도전(鄭道傳, 1342년[4] ~ 1398년 8월 26일)은 고려 말기, 조선 초의 문신,

                          유학자이자 시인이며, 외교관, 정치가, 사상가, 교육자이다. 한국의 초기 성리학자의 한사람이며,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峯), 시호는 문헌(文憲)이고, 본관은 봉화(奉化)입니다.

 

                               1383년 이성계를 만나 정사를 논하다가 열성혁명론자가 되어,

                           1392년 조선 건국을 주도하여 개국공신이 되었고,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자 최고 권력자였던

                          그는 조선의 이념적 바탕을 마련하고 모든 체제를 정비하여 조선왕조 500년의 기틀을 다져놓았으며,

                              

                               그뒤 신덕왕후 강씨 소생 방석 등을 세자로 추대하였으나,  이방원이 정변을 일으킨 뒤

                           1398년 8월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의 군사들에게 살해되었습니다." 

                                 

                                                                            충북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산20-35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