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목공예제품이 눈을 즐겁게 하는
인제군 전통 목공예전시판매장
인제군 읍내에 관광안내센터와 인제 산촌민속박물관사이에
있는 인제군 전통목공예갤러리(전시판매장)이 있어 어떤 것이
전시되어 있는지 궁금하여 들어가 보았습니다.
거북이바둑판.
산이 많은 인제군은 나무가 많아 예전부터 목공예가 발달해
전라북도 남원과 함께 목공예기술이 특화된 지역으로 알려저
있습니다.
전시관 입구에 설치된 것이 있는데 무어라 생각하는지?
"물레방아!" 하고 대답하겠지요. 아니라는군요. 안에 들어가
관게자에게 문의 해보아야 하겠습니다.
목공예전시판매장은 박인환의 거리가 조성되어 있는 곳에
산촌민속박물관, 박인환문학관과 함께 위치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며 목공예에 대한 기술적인 지식과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니, 왼편에 카운터가 있고 복도처럼
생긴 통로 앙 옆에는 목기를 비롯하여 많은 목공예제품
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정교하게 다듬어진 새(독수리?)와 목조 부처, 성모 마리아상
등이 있고,
水石도 있고,
또 다른 방에는 나무의자와 Tea 테이블 종류가 있는데,
술통도 테이블로 활용이 가능하군요.
예전 어렸을 때나 볼 수 있었던 우마차 수레바퀴가 이젠 실내
테이블로 인테리어 디자인 소재로 사용하는군요. 어느 집에 갔을 때
전선 케이블을 감아 놓았던 드럼을 이용하는 것은 본 적이 있지만....
목제 쟁반, 목판,함지박,소쿠리같은 모양의 그릇 류 등 이름을 알 수 없는
것들이 갖고 싶은 욕망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이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인제는 옛날부터 산골지방으로 나무가 많아 목재 생산지
역활을 하였는데, 특히 궁궐에서 쓰여질 나무에는 황장금표
(黃腸禁標)라는 標石를 세워 벌목을 금지하며 관리하였다.
박인환의 거리에 있는 "황장금표 (黃腸禁標) "
조선중기 무렵 한계리 일대의 황장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연석에 음각으로
새긴 표석이다. 황장목은 나무중심부에 누런부분의 황심을 가진 소나무로서,
조선시대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보호하였던 수종이다. 강원도내에서 황장금표
가 발견된 곳은 북면 한계리 외에 영월군 수주면 두산2리 황장골과 법흥1리
사자산,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치악산 구룡사 입구 등이다.
황장목은 실제의 비율이 커 궁궐의 건축재,선박재,황실의 관재(棺材) 등으
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관리하였다. 1746년(영조2년)에 간
행된 "속대전(續大典) "에 의하면, 국가에서는 황장목이 있는 산에 산직(山直) 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고, 감관(監官) 이 이를 감독하였으며, 나무를 벨때는 경차관
(警差官)을 임명해 보내 황장목을 베도록 하였다.
벌목한 황장목은 합강리 앞 우소에 집적되었다가 땟목으로 엮어 춘천을 거쳐
서울까지 운반하였다.
인제군은 전통 목공예의 명품 산업화사업화 추진의 일환으로
조선시대부터 전통을 이어온 인제 목공예의 명품화를 위한 목공예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변 환경을 정비하여 관광객들에게 새롭게 단장된
목공예전시관을 준비했습니다.
군은 전국 목기 제작 경진대회 개최를 통한 상품을 개발하고 전통 목기
생산 시설을 갖추기 위해 ‘옻칠실’을 설치하고, 지역 목공예 작가들의
전국 경진대회 참여를 지원하는 등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목공예품.
향나무 이쑤시개류.
목기류.
작업장의 모습과 작업대.
인제목공예는 목공예 저변 확대를 위해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체험교실을 운영해 오는 한편 빙어축제, 황태축제, 여름축제 등
각종 행사에 홍보 체험관을 운영 관광객을 대상으로 잠자리, 솟대,
나비, 매미, 해바라기 만들기를 통해 목공예 우수성을 알려왔다.
칼, 톱, 대패 등 도구의 기초 사용법부터 짜맞춤,
음각, 양각등의 기술습득 및 바둑판, 인제전통목기,
가구, 찻상 테이블 등, 각종 목공예제품을 직접 만드는
과정의 각종 기법들.
짜맞춤기법
목공예 부조기법.
목공예 상감기법
생활 한복도 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판매용인 듯 합니다.
짧은 시간이지만, 편리함과 저렴함에 빠져들어 전통기법에
의한 우리고유의 제품들에 무지한 것이부끄럽기도 하지만,
생필품의 다양한 종류의 각종 목공예제품을 보고, 유형의 문화
유산을 유지관리,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무형의 전통 목공예
고유기법을 지키기 위한 인제군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위 치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 430번지
인제 목공예갤러리(목공예전시판매장)
문 의 : 033) 463 - 2233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 > 강원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대한민국의 얼굴이 된 추암 촛대바위 (0) | 2012.03.16 |
---|---|
(동해)1박2일 이승기가 추천한 두타산의 무릉계곡과 삼화사 (0) | 2012.03.15 |
[인제여행] 꽁꽁 숨겨진, 천년의 혼이 깃든듯한 삼층석탑과 석불 (0) | 2011.12.01 |
[인제여행] 지금 그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박인환시인의 거리 (0) | 2011.11.18 |
(인제여행) 옥빛깔 맑은못 백담계곡, 만해 한용운선사와 백담사 (0) | 201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