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대통령상을 수상한 팜스테이 농촌마을 고령의 개실마을

선 돌 2011. 12. 27. 17:00

 

 

 

 

 

        대통령상을 수상한 팜스테이 농촌마을 개실마을

        

          12월24일(토) 성탄절을 하루 앞두고 고령의 개실마을을 찾았다.

          그 동안 몇 군 데의 한옥으로 구성된 전통마을을 찾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은 무언가 통할 것 같은 잡을 수 있는 끈이 존재하는 것

          같다.   

 

 

       마을 입구에 도착하니 언제 보아도 정겨운 한옥집들이 나를 맞는 것 같다.

 

 

 

            개실마을은 조선 중엽 무오사화 때 화를 입은 영남사림학파의 종조 점필재

        김종직(선산 김씨)후손의 세거지로써 본래 고령군 하동면 지역이며, 선산 김씨

        들의 집성촌 마을입니다.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의 5대손이 1650년경에 이 마을로 피신와서 은거하며 살 때,

        꽃이 피고 골이 아름다워 아름다울 가(佳) 골 곡(谷)을 써서 가곡이라 하였으며.

        또 꽃이 피는 아름다운 골이라 하였는데, 음이 변하여 걔애실이 되고 개애실마을

        중 아랫마을이라 하여 아릇개실 하가 또는 하가곡이라 하였다 합니다.

         

         마을 입구에 들어서니 이마을의 대표적인 한옥이며, 사실상의 개실마을 하면

       점필재 종택이라 할 만한 종가집이 보입니다.

 

          점필재 종택 대문앞.

 

        전통찻집과 체험장의 울타리가 황토빛의 돌담으로 되어 보기가 참 좋습니다.

 

        행사가 없어 조용한 전통찻집.

 

           밭 건너 편은 싸움소 사육장이 있습니다.

 

           전통 체험놀이를 할 수 민속놀이마당에 있는 외줄타기. 

 

 

          개실각(체험장) 옆에 짚으로 만든 생소한 것이 진열되어 있어 궁금하기도 하여 문을 열어보니

      한과를  만들고 계시더군요.  집사람은 신을 벗고 안으로 들어가 한과 한 상자를 사면서 사진도 몇장

      찍었습니다

  

          연자방아는 곡식을 탈곡 또는 제분하는  방아로 연자매라고도 한다.

        발동기가 없는 시절에 한꺼번에 많은 쌀을 찧거나, 밀을 빻을 때 소나

        말의 힘을 빌려 이용한 방아이다.

           둥글고 판판한 돌판위에 그보다 적은 둥근돌을 옆으로 세워 얹어,

        아래 위를 잘 맞도록 하고, 말이나 소가 끌고 돌린다. 정미소에 밀려

        강원도 산간일부 지방을 제외하고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나,  옛날에는

        마을마다 하나씩 있어 공동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곳을 연자 방아간 또는

        연자맷간이라 하였다.

 

        별자리 체험장.

        실내에서 하늘을 쳐다볼 수 있도록 천정이 유리로 설치된 건물입니다.

 

 

       물레방아. 

 

  

       김씨 세거비.

 

        도예공방인 랑.

        도자기를 만들어 볼 수 있는 도예체험 프로그램이 있어 신청하면 가능하다 함. 

 

          그 외의 마을의 체험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있는데. 

      첫째, 전통음식체험으로 엿, 유과,국수,두부 만들기

      둘째, 옛날 물건만들기로 대나무물총,소리통,연,짚공예,비누,압화(꽃으로 그림그리기),야생화화분

      세째, 전통예절교육체험으로 예절교육, 전통차다도,칠첩반상계(밥상)받아보기

      네째, 농사체험으로 딸기수확,고무마수확,옥수수,모내기

      다섯째, 전통민속놀이체험으로 그네뛰기,디딜방아,굴렁쇠,윷놀이,짱치기.제기차기,외줄타기

      여섯째, 자연체험으로 미꾸라지잡기,얼음썰매타기,야생화관찰,싸움소관람,동물농장,야생화화분만들기,

                옛날전설지구경 등이 있습니다.

 

           '강정'이라고도 불리웠던 유과와 다식등 한과류 전통과자를

                 만들어 판매하기도 하더군요.

             한과류를 좋아하기에 한상자 사가지고 다니면서

                   차안에서 먹으며 여행을 즐겼습니다.

          

        한산한 개실마을 앞의 논과 밭은 추운 겨울을 지나고 파릇파릇한 색깔의 봄이 올 때까지

     동면의 상태이지만 풍경만은 엄마품처럼 포근합니다.

 

        이 마을의 구경거리는 점필재 종택을 비롯하여, 재실(도연재,화산재,추우재), 전통혼례예식장

      그리고 시간의 여유가 있으신 분은 화개산 전망대에 올라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 도시생활의

     스트레스를 날려보내기 위한 재충전과 마을을 굽어보며 여유로운 마을의 풍경을 담아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위    치 :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합가 1리 84

                                          개실마을 영농조합

                            전    화 :  054)  952 -  4022

                            홈페이지: http://www.gaesil.net/main/ 

 

                              찾아오시는길 :

                             *  서울→대구 (기차 이용시)

                              서울역→동대구역, KTX :약1시간 40분 소요, 새마을호:약 3시간 소요, 무궁화호:약 3시간 50분 소요

                             *  서울→고령 (버스 이용시)

                              남부터미널 1일 5회(10:08, 12:00, 14:00, 15:00, 16:45) 4시간 10분 소요

                             *  대구→고령 (버스 이용시)

                              서부정류장 시외버스(배차 5~10분간격, 30분소요)

 

                             *  대구→고령→개실마을 (버스 이용시)

                              서부정류장 시외버스(합천방면) (배차 30분간격, 40분소요)

                              고령→개실마을 택시이용 10분 소요

 

                             * 고속도로이용

                              ㆍ중부내륙→동고령IC→ 88고속도로→고령IC

                              ㆍ대진→88 88고속도로 고령IC(쌍림면) → 좌회전(고령읍방면, 1km) → 고곡삼거리 좌회전(합천방면, 3km)

                                 → 귀원삼거리 직진(합천방면, 다리건너기) 1km → 합가1리 개실마을 도착

 

                             * 국도이용

                              ㆍ국도26 ↔ 국도33 대구 ↔ 국도26호선(고령) ↔ 쌍림 귀원삼거리 ↔ 국도33호선(합천방면) ↔

                                합가1리 개실마을 ↔ 합천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