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제주도여행

(우도)우도의 자랑거리 서빈백사(西濱白沙) 홍조단괴 해빈 해수욕장

선 돌 2012. 1. 26. 16:50

 

 

                   우도의 자랑거리 서빈백사(西濱白沙)

                   홍조단괴 해빈 해수욕장

 

                               하고수동 해수욕장에서 버스를 타고 마지막으로 내린 곳이

                     홍조단괴 해빈 해수욕장인데, 아마도 우도8경 중 우도가 가장

                     자랑하는 우도 제8경으로 서빈백사가 정말 신기하고 아름답습니다. 

 

                                우도면 배왓동산 서쪽 해안의 만입부에 형성된 백색의 홍조단괴로

                     이루어진 자갈해안이며, 해안 도처에 현무암 암반이 노출하고 있어 비

                     치의 연속성은 떨어지나,현재 해수욕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서빈백

                     사로 불립니다.

 

                               서빈백사는 흔히 산호사해수욕장으로 알려져 있으나 해수욕장의 퇴

                     적물은 산호 파편이 아니라 이 일대 바다 속에서 자라고 있는 홍조단괴

                     가 해안으로 밀려와 쌓인 것이다. 홍조류는 덮개 상 홍조류의 일종인

                     Lithophyllum sp.로 분류된다. 이곳의 해역은 수온이 18℃ 정도로 연중

                     따뜻하고 하천에 의한 토사 유입이 없어 바닷물이 맑은 상태로 유지되

                     므로 홍조류의 서식에 유리하다. < 출처 : 백과사전 >

 

                         우도의 제8경인 서빈백사(西濱白沙)로, 서쪽의 흰 모래톱이라는 뜻입니다.

                      섬 서쪽에는 산호 백사장이 하얀 빛으로 반짝이는데, 이 곳에서 바라보는

                      지미봉의 경치도 유명하다고 하는데 비가오고 날씨가 흐려, 볼 수가 없습니다.

 

                               홍조단괴 해빈은 우도면 연평리 해역 95만6256㎡의 면적에 펼쳐져 있다.

                     평상시 바닷물에 잠기지 않는 폭 29~33.2m, 길이 397m 부분은 우도 8경의

                     하나인 '서빈백사(西濱白沙)'로 불리며 주민과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홍조단괴 해빈은 당초 죽은 산호가 쌓여 생성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산호사

                     해수욕장으로 불렸다. 하지만 정밀조사 결과 홍조류가 퇴적돼 생성된 것으로

                     확인된 뒤 세계적인 희귀성과 학술적 가치가 인정돼 2004년 천연기념물 제438

                    호로 지정됐다.

  

 

                                하얀 백사장과 검은 화산암 그리고 주변의 건물과 어우러진 해변의

                       풍경은 빼어난 절경입니다.

 

                                 백사장에 카메라를 가까이 대고 본 모습.

 

                             백사장의 모래(홍조단괴)를 한 웅큼 쥐고 다시 카메라에 담아  봅니다.

                       직경 4~5cm 정도는 되는군요. 제가 젊었을 적 홍해바다에서 산호를 많이

                       따 보고 훼손도 시켜보았지만 산호하고는 형태가 다릅니다.

 

                                 우도의 자랑거리인 홍조단괴(紅藻團塊) 해빈(海濱·바닷가)의 모래가

                        유실되고 있다는 신문보도가 있군요. 그런데 원인은 어설픈 개발이 빚

                        어낸 인재(人災)라 합니다.

                           조사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천연기념물 제438호인 홍조단괴 해빈

                        지역에 호안벽과 해안도로가 건설된 뒤 높은 파도에 의해 호안벽을 넘어

                        해안도로와 서천진동 쪽으로 이동한 모래가 다시는 바다로 돌아가지 못해

                        해빈의 순환구조가 깨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하루 속히 방지책을 강구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잘 보존하였으면 합니다.


 

                               해변 곳곳에 있는 검은 화산암도 하얀 백사장과는 또다른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군요.                              

 

 

 

                                 부슬부슬 비는 내리고 있지만 서빈백사 위에서 바라보는 에메랄드빛 넓은 바다는

                       가슴을 펑 뚫어내리는 듯 시원한 청량감을 줍니다.

 

                              성산항으로 돌아오는 배위에서 본 성산일출봉.

 

                          전 이번 우도여행에서 우도 8경중 제4경과 제8경만을 보고 가지만 청명한

                        날씨와 시간을 갖고 우도 8경을 전부 보시길 권유합니다. 

 

                         우도 8경

                         우도팔경은 우도의 경승을 알리기 위해 1983년 애월읍 연평중학교에

                      재직하던 김찬흡(金粲洽)이 발굴하여 명명한 것이다.

 

                        제1경은 주간명월(晝間明月)로, 한낮에 굴 속에서 달을 본다는 뜻이다. 섬 남쪽

                     어귀의 '광대코지[岬]'로 불리는 암벽 주위에 여러 개의 해식동굴이 있는데, 맑고

                     바람이 잔잔한 날이면 한낮의 태양이 수면에 반사되면서 동굴 천정에 비쳐 마치

                     둥근 달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제2경은 야항어범(夜航漁帆)으로, 밤 고깃배의 풍경을 일컫는다. 6~7월이 되면

                     섬 전 지역에서 집어등을 켠 채 조업을 하는 수많은 멸치잡이 어선들의 휘황찬란한

                     광경을 볼 수 있다. 특히 섬 북동쪽 모래톱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압권이다.

 

                        제3경은 천진관산(天津觀山)으로, 동천진동에서 한라산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우도의 관문에 해당하는 동천진동에서는 성산 일출봉과 수산봉(水山峰)·지미봉(地尾峰)

                     을 비롯해 각종 기생화산을 품고 있는 한라산의 빼어난 절경을 볼 수 있다.

 

                       제4경은 지두청사(指頭靑沙)로, 지두의 푸른 모래를 뜻한다. 등대가 있는 우두봉 꼭대기

                    에서 바라본 우도 전경과 맑고 푸른 바다,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와 눈부시게 빛나는 백사장

                    의 풍경을 통틀어 일컫는다.

 

                       제5경은 전포망도(前浦望島)로, 우도를 바라본다는 뜻이다. 구좌읍 종달리(終達里)와

                    하도리(下道里) 사이의 앞바다에서 본 우도의 모습이다.

 

                       제6경은 후해석벽(後海石壁)으로, 바다를 등지고 솟아 있는 바위 절벽을 뜻한다.

                    동천진동 포구에서 바라본 동쪽의 웅혼한 수직절벽인 '광대코지'를 일컫는다.

 

                      제7경은 동안경굴(東岸鯨窟)로, 동쪽 해안의 고래굴이라는 뜻이다. 우도봉 뒷마을의

                    '검멀레' 해변에 '콧구멍'이라는 2개의 해식동굴이 있는데, 예전에 거인고래가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제8경은 서빈백사(西濱白沙)로, 서쪽의 흰 모래톱이라는 뜻이다. 섬 서쪽에는 산호

                    백사장이 하얀 빛으로 반짝이는데, 이 곳에서 바라보는 지미봉의 경치도 유명하다.

                           [출처] 우도팔경 [牛島八景 ] | 네이버 백과사전

                   

 

                                          위  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 선돌의 또 다른 우도 여행기를 보시려면

                  (우도) 소의 형상을 닮은 우도8경 올레1-1코스 우도봉의 등대 :  http://blog.daum.net/ykp702/279 

               (우도)제주여성의 강인함과 순박함의 상징인 해녀/하고수동 해수욕장 : http://blog.daum.net/ykp702/280

                       (우도)보말를 아시나요? 우도해광식당의 보말칼국수 :  http://blog.daum.net/ykp702/281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