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제주도여행

작품성과 예술 혼을 볼 수있는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선 돌 2012. 2. 6. 13:18

 

 

                       김영갑 작가의 작품성과 예술 혼을

                 볼 수있는 김영갑갤러리 두모악 

 

                          제주에서의 3일째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어보니 어제(1월18일)

                      우도에서 그랬던 것처럼 비가 부슬부슬 내렸었지요. 그래도 숙소에서

                      죽치고 기다릴 수 만은 없어 우산을 준비하고 나서서 실내에서 관럄할 수

                      있는 것을 찾은 곳이 두모악 김영갑갤러리 입니다. 사진을 하시는 분들은

                      이 분을 잘 안다고 하지만, 저는 사진에는 문외한이라 모르는 게 당연하지요.

 

 

                          두모악은 한라산의 옛이름이라 하니 궁금증하나는 덜었구요.

                      김영갑이라는 인물에 대한 궁금증을 덜어야 합니다.

 

 

                        김영갑(1957년 - 2005년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사진 작가.

                       《충청남도 부여에서 태어나서, 서울 한양공업고등학교를 좋업했다.

                    제주의 평안한 수평 구도에 매혹되어 1985년 섬에 들어왔다가, 이후

                    가난과 고독속에서도 제주도의 들과 구름,산과 바다,나무과 억새 등의

                    자연풍경을 소재로 한 수많은 사진 작품을 남겼다.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루 게릭 병)에 걸려 6년간 투병하는 동안에도 제주도에서 작품활동을

                    계속하였고 "영혼과 열정을 다 바쳤다"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자신의 전시장인 김영갑갤러리 두모악를 직접 꾸며 운영하다가

                    2005년 5월 29일 숨졌다. 유골은 갤러리 앞마당 감나무 아래에 뿌려졌으

                    며 유언은 남기지 않았다.》 《출처 : 백과사전》

                         

 

                          잘 가꿔진 정원수 사이를 지나니, 학교건물 같은 갤러리가 나타납니다.

                       이 작가의 프로필을 알아보니 고생을 무지하게 한 게 눈에 선하게 나타날 것

                       같아요. 철저한 장인정신(맞는 용어인지 모르지만... 기술자들이 사용)으로 

                       무장되어 있어야 만 이런 결과를 후세에 남길 수 있겠지요.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겨야 잘 살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분은 열악한 주변 환경속에서 백수공권으로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고 잘 사셨으니 찬사를 받아도 될 것 같아요.

                    

                         전시장에 들어가니, 여러 작품들이 있었으며

                         오직 멋진 사진에 감탄만 표시할 뿐 입니다.

 

 

                         전시된 작품들. 

                         제주의 오름, 한라산, 섬 등 이 분은 주로 풍경을 많이 남겼는데 30만 컷를

                     남겼다고 하고, 전시장에는 이를 돌아가며 전시한다고 하니 한 번 가서는 다 감상

                     할 수가 없겠어요.                   

 

 

 

                          전시장 뒷 편에는 이런 무인찻집이 있더군요. 다양한 차종류와 커피가

                     비치되어 선호에 따라 차를 마시고 차값을 통에 집어넣으면 된답니다.

 

                         잠시 시간을 멈추고 차한잔을 마셨습니다.

                         다 마시고 나면 컵도 씻어 원상복귀해야 하겠지요.

 

                         폐교가 된 곳이라 학교 운동장이었을 마당이 널찍한 곳에,

                      제주 특유의 모습을 보여주는 갖가지 조경을 하였습니다.

 

 

                          화산암석의 검은색 돌담위로 동백나무도 보이고,

 

 

                          활짝핀 동백꽃 이쁘죠?

 

                            국기 게양대에 남아 있는 국민교육헌장의 흔적.

                      고등학교 시절 국어시간에 열심히 외웠던, 못 외우면 선생님한테 혼났던

                      기억이 떠오르는 국민교육헌장, 비민주적이긴 했어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과 국가의 힘이 약해서는 안된다는 걸 역사시간에 많이 배운 것 같아요. 

 

                          김영갑갤러리에 들러 작품감상을 하며 한 편으론 숙연해집니다.

                      배고프던 시절, 가난한 집안에 태어나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없이 자신이

                      모든 걸 헤쳐나가던 시절이지만, 이분은 더욱더 어려운 여건의 주변

                      환경에서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며 자신의 업적과 이름을 남겨 더욱

                      존경스럽습니다. 

 

                          요즘의 젊은이들도 이 분의 작품뿐만이 아니고, 김영갑의 삶도 조명

                      하며 장인정신과 굳굳함을 본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위   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 437-5   

                                       김영갑갤러리 두모악

                          문   의  :  064-784-9907.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