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김제)임진년의 용, 벽골제 쌍룡으로 부활하다!

선 돌 2012. 1. 31. 15:37

 

 

 

 

          임진년의 용, 벽골제 쌍룡으로 부활하다!

 

                  김제에 들어서니, 지평선이란 단어가 자주 눈에 띈다.

              김제는 만경강유역에 속한 농경지로서 우리가 말하는 곡

             창지대에 속하는 지역으로 농업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만경평야을 빼고 말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 같다.

 

                  그래서 지평선이란 말이 김제와 딱 어울리는 단어란

              느낌이 바로 온다. 

             

                         김제 벽골제가 5000년 농경사의 역사상 중요한 문화유산이란 것은

                    밀양 수산제, 제천 의림지와 함께 역사가 오랜 저수지로, 삼국사기에 남

                   아 있는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나, 일제 치하의 36년 동안 그 원형이

                   많이 훼손되어 안타까움이 많이 남는 문화유산입니다..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저수지인 사적 제111호 벽골제는 약 3㎞에 이

                   르는 제방(두 개의 수문 장생거와 경장거 포함)과 1415년 건립된 벽골제

                   중수비를 포함하여 1963년 1월 21일에 국가사적 제111호로 지정 관리

                   되고 있습니다.

 

                          벽골제 정문을 들어서니, 체험의 장으로 활용되는 많은 시설이 있는데,

                       이 곳은 장터로 사용하는 곳입니다.

 

                          물레방아.

 

                          연자방아.

                          말이나, 소를 이용하여 곡식의 알곡을 내거나,빻는 기구.

 

                          멀리서도 보이는 벽골재의 랜드마크 쌍용.

                          문화재청에서 선정한 김제지방의 축제 프로그램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지만,

                      벽골제쌍룡놀이는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扶梁面) 용성리(龍成里)에 전하는

                      민속놀이입니다..

 

                           백룡·청룡의 싸움 등이 연출되는 이 놀이는 현지의 전설과 놀이 등을 토대로

                      재현시켜 1975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한 바 있습니다.

                          

 

                          제방아래의 저수지 흔적이 경작지로 변한 모습.

 

 

                          장생거.

                         전장(全長) 약 3㎞에 수여거, 장생거, 중심거, 경장거, 유통거 총 5개의 수문을

                    품은 평지에 구축된 거대산업구조물인 벽골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경사회에서

                    치수(治水)의 중요성을 생각해야 한다. 전통농경사회에서 치수는 식량생산에 절대적

                    요소로 생존의 문제이자 국가존속의 문제였고, 대규모 수리시설은 국가기간시설이

                    었습니다.

 

 

                         벽골제의 수문을 재현한 모습.

 

                             벽골제 제방

 

                            벽골제는 백제 비류왕 27년(330)에처음 쌓았는데, 대규모의 제방으로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의 하나이다. 통일신라 원성왕 6년(790)에 늘려

                        쌓았고,고려와 조선시대 여러차례 수리하였으나, 세종2년(1420) 심한 폭우로

                        부분 유실된 후 점차 기능이 상실되었고 현재 신용리에서 월승리에 이르는 약

                        3km 의 제방과 장생거와 경장거로 추정되는 두 곳의 수문지가 남아있다.

                           일제 강점기에 제방을 관개수로로 이용하여 원형을 상실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 태종 15년(1415) 신털미산에 세워졌던 벽골제 중수비는 이후 사적비를

                        조성하며 이 곳으로 옮겨졌다. 중수비는 마모가 심하나 신동국여지승람 김제군조에

                        중수비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벽골제 중수비(사적 111호)

 

 

                          슬픈사랑의 이야기가 있는 단야각

 

                          전북 민속자료 제 7호인 月村立石.(남근석처럼 보임)

                          월촌입석은 마을의 입구에 세워져 재앙을 막아주는 수문신이자,

                        마을의 풍농과 평안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섬겨진 큰돌 문화입니다.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저 매년 지평선축제때 벽골제에서 입석

                        줄달리기를 시연하고 있습니다.

 

                          벽골제 농경문화 박물관                            

                          박물관은 농경문화를 주제로한 1전시실(207.3㎡) 과  생활민속을 주제로

                       2전시실(210.4㎡), 전통농경사회에서 치수 및 치국의 전략이었던 벽골제의

                       정치, 문화, 경제적 위상을 우리 지역 김제의 문화적 맥락속에서 조망하여 보

                       는 3전시실(201.3㎡), 그리고 水神, 龍벽골제에 좌정하다란 주제의  4전시실

                       (213.8㎡)로 구성되었습니다.

 

 

 

                          벽골제의 기록도서인 문화유산.

 

 

 

                             벽골제 주변에는 김제를 발원지로 일제강점기를 다룬 소설 아리랑(조정래)의

                  자료를 전시하는 아리랑문학관, 그리고 전북미술계의 거목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

                  친 나상목선생의 벽천미술관과 김제 우도농악관 등 문화시설과 각종 야외전시가

                  있어 볼거리가 많은 지역입니다.

 

                                    위  치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

                                    전  화  :  063) 540 - 4986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