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고창) 거석문화의 상징으로 세계문화유산인 고창고인돌

선 돌 2012. 2. 1. 10:30

 

 

                         거석문화의 상징으로 세계문화유산인

                  고창고인돌

 

                         고창에는 그 동안 몇번 와 본적이 있지만, 선입감이

                         선운사와 법당 뒤의 동백꽃의 아름다움을 즐길 정도의

                         단순한 여행이었으나. 이번에는 거석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고인돌을 찾았다. 

 

                           200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창 고인돌 유적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죽음의 세계 등 당시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유적인데,

                      특히 죽림리·상갑리 일대 1,764m 범위 내에 447기의 고인돌이 있다.

                      파괴된 것까지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고인돌이 세계에

                      서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임을 알 수 있으며, 그 형식은 탁자식·바둑판식·

                      개석식·지상석곽식 등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박물관

 

                          야외 전시장.

                          청동기 시대의 생활상과 함께 주거상황, 도구사용 등을 형상화하여

                        알기 쉽게 전시됨.

 

                          고분군 탐방코스는 6개 코스로 나뉘어져 있는 데 각 코스별로 다양한

                       고분군 형식을 관람할 수 있다.

 

 

                         선돌이 돌아본 고인돌 유적지 탐방코스는 한정된 시간 관계상 제

                      3코스를 돌아보기로 하였습니다.

                         고창고인돌 유적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탁자형과 바둑판형의

                      중간형태인 지상석곽형의 고인돌이 집중 분포된 특징을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다. 이 곳에서는 매장부가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는

                      고인돌과 무덤방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3코스 지역으로 고창고인돌이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

                        고인돌의 형식은 탁자식, 바둑판식(기반식), 개석식, 지상석곽식

                        이 있는데  이 중 지상석곽식은 주로 고창 지역에서 나타나 있어

                        고창식 고인돌이라고도 부른다. 지상석곽식에는 바둑판식 고인돌

                        에서 나타나는 기둥 모양의 굄돌을 함께 고인 형태도 있다.

 

 

                          개석식등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

 

                          고인돌은 보통 무덤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무덤 이외에도 묘표석,

                       제단, 신앙의 대상 등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지상석곽식은 탁자식 고인돌의 일종으로 판돌 여러 장을 이용해서 무덤방을

                    만들었으며, 바둑판식 고인돌에서 나타나는 기둥 모양의 굄돌을 함께 고인

                    형태도 있다.

 

 

                          개석식 고인돌인데 선돌에 가깝지요.

 

                         지상석곽식 고인돌

 

 

                           3코스에는 지상석곽식 고인돌이 주를 이루는 것 같은데

                      이 것이 고창식고인돌이라는 별칭이 있는 것 같습니다. 

                           궁금한 것은 당시, "기중기가 없을 시대인데도 이런 거대한

                      돌을 운반하였던 것은 무슨 방법으로 하였을까?" 인데 아마도

                      권력을 가진(힘센) 자가 많은 사람을 동원하여 이루어 논 것이라는

                      상상을 하니 약간은 씁쓸한 기분도 스쳐가는군요. 

 

                          시간에 여유가 있으신 분은 오베이골과 운곡고인돌코스를 탐방해봄직도

                       바람직할 것 같아요. 

 

                         고창 고인돌유적지 중심의 위치인 3코스 고인돌의 전경.

 

 

                         선사인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선사마을

 

                                 야외 전시장에 조성된 선사인의 움집모습.

 

                           박물관외부의 넓은 야외공간에는 선사시대의 생활모습,고인돌끌기 체험마당,

                        청동기시대의 묘제,전시마당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위  치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275-3(고인돌공원길 74)

                                                  고인돌군

                                     문  의 :  063) 563 - 2224

                                     박물관 : http://www.gcdolmen.go.kr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