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공주) 백제 중흥의 역사가 숨쉬는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선 돌 2012. 2. 28. 21:51

 

 

 

 

 

                  백제 중흥의 역사가 숨쉬는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백제의 역사를 재조명한 송산리 고분군은 25대 무령왕을

                          비롯하여 6개의 고분이 함께 있습니다

 

                      송산리 고분군에 자리 잡고 있는 고분들은 바로 웅진 도읍시대인

                       서기 475년부터 538년까지 64년 동안 재위하였던 5대 백제왕들과

                       왕족들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동쪽으로 수려한 공산성이 건너다 보이고, 서쪽으로는 곰나루의

                       금강이 아늑하게 감싸 돌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충청남도의 명산

                       계룡산이 눈앞에 펼쳐져 풍광이 뛰어난 명당임을 알 수 있는데,

                       당시에 이미 사신사상에 따라 묘지를 선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송산리 고분군 앞에서는 "무령임금 작은마당" 이라는 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6호 고분군의 북벽 벽화의 모습.

 

 

                          이곳에는 벽돌무덤 2기와 할석으로 만든 돌방무덤 5기가 있다.

                      이 가운데 6호분과 무령왕릉은 터널형 천장의 벽돌무덤으로,

                      6호분은 벽 네 면의 일부에 사신도를 그려 넣은 벽화 고분이다.

                     무령왕릉은 전축분인 6호분과 석실분인 5호분의 가운데 뒷면에

                     자리하고 있는데, 백제 제25대 무령왕(501~523 재위)과 왕비가 합장된

                     능으로, 19717, 5호 석실분과 6호 전축분에 물이 새서 배수로 작업

                     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송산리 고분군 모형관.

 

 

                      5호분 (1~4호분도 같은 구조임)

                    ◦  굴식 돌방무덤 : 돌로 널을 안치하는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봉토를 만든 무덤. 널길이 달려있고 천장구조가 다양하다.

                    ◦ 재료 : 자연 할석

                    ◦ 천장의 형태 : () 모양

                    ◦ 벽면 : 강회를 바름

                    ◦ 관대 : 벽돌로 두 개의 독립관대를 만듬(1~4호분은 냇자갈로 관대 만듬)

 

   

 

 

 

                                         6호분

                                      ◦  터널식 벽돌무덤 : 백제시대 벽돌로 만든 무덤으로, 이는 중국 양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 재료 : 벽돌 (오수전 문양, 사격자 문양)

                                      ◦ 천장의 형태 : 터널형 천장 (아치형)

                                      ◦ 벽면 : 회를 바르고 사신도(청룡, 백호, 주작, 현무)와 해와 달의 벽화를

                                                그림.

                                      ◦ 등감 : 7(동벽 3, 서벽 3, 북벽 1)

                                      ◦ : 등감 위에 설치

                                      ◦ 관대 : 널방 동쪽에 하나 (단독 관대)

   

 

                          무령왕릉

                     ◦ 축조시기 : 붕어 후 안치 시기까지-일설에는 512년부터라고 한다.

                     ◦ 붕어 : 52357

                     ◦ 안치 : 525812

                     ◦ 재료 : 벽돌

                     ◦ 형태 : 직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아치) 28가지

                     ◦ 문양 : 인동연꽃무늬, 연꽃무늬, 연꽃격자무늬 등

                                (바닥벽돌, 등감벽돌, 가창벽돌에는 무늬가 없음)

                     ◦ 명문전 : 벽돌을 용도에 따라 글자를 둠

                                  (, 복재, 급사, 중방, 대방, 사 임진년작)

                     ◦ 구조 : 널길, 현실, 바닥

                     ◦ 벽면

                     ◦ 등감 : 주칠과 화염문으로 그린 보주형, 5(동벽 2, 서벽 2, 북벽 1)

                               백자 등잔 배치- 식물성 기름으로 불붙인 흔적 있음.

                     ◦ : 등감 아래 설치- 모두 5

                     ◦ 천장의 형태 : 터널형 천장 (아치형)

                     ◦ 관대 : 전면관대

                     ◦ 출토유물 : 1084,600여점의 유물

 

 

 

 

 

  

 

                   송산리 벽화 고분 모형관은 현재는 공사중이므로 관람이 불가하며,

               4월 경이면 공사가 완료되어 개관예정이라함.

 

                             위   치  :   충남 공주시 웅진동 57

                             전   화   :   041) 856 - 0331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