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공주) 1500년전 백제왕국의 숨결를 느껴볼 수 있는 공산성

선 돌 2012. 2. 29. 23:46

 

                 1500년전 백제왕국의 숨결를 가슴으로 느껴볼 수

                 있는 아름다운 공산성

 

                          1,500년 전 백제의 중흥을 위해 세워진 성곽 웅진성, 망국 백제로

                       부터 일제치하의 36년간 치욕스런 역사까지, 다시는 당하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공산성을 관람하며 잔잔히 끓어 오르는

                       울분을 나만 느끼는 것인지?

                               

                          역사는 승자의 독식에 의해 그 전유물이 되고, 패자의 역사와 문화유산은 훼손과

                       왜곡으로 인해 자취와 흔적이 없어지는 현상은 우리민족이 유난히 많이 당했던

                       일이지요. 오늘 보는 공산성도 원형은 거의 볼 수 없고 거의 복원된 것이라는

                       사실에 우리도 국력을 강하게 키워 다시는 이런 수모를 당하지 읺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금서루 아래 매표소를 지나면 볼 수 있는 비석군.         

 

 

                          망국의 백제왕국의 한이 서려있을 공산성(웅진성)이지만 경치는 참 좋습니다. 

 

 

 

 

                         금서루는 공산성의 서쪽에  위치한 문루이다. 1859년에 편찬된 공산지 등의

                      문헌기록과 동문 조사자료 및 지형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1993년에 복원하였다.

                      금서루는 비록 새롭게 복원하였지만  조선시대 성문의 문루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금서류 주변의 성곽 모습

 

                          공산성에서 보이는 금강철교(등록문화재 제 232호).

                     기차가 다닐 것 같은 철교는 자동차와 사람이 다니는 다리입니다. 좀더 멋지게

                     촬영할 수 있을 것 같은데.....(쩝쩝)

                   

                          멀리 보이는 공북루        

                

                         공북루(충남 유형문화제 제37호)는 공산성의 북문으로 강남과 강북을 오가는

                      남북통로의 길이다. 조선 선조 36년(1603)에 관찰사 유근이 쌍수산성을 고쳐 세

                     우면서 이 자리에 있었던 망북루를 다시지어  공북루로 고쳐 부르고 현종 4년

                      (1663) 관찰사 오정위가 낡은 것을  다시 지었으며 기록은 송시열이 하였다.

 

                                           공산성곽 위를 산책하는 이 길은 강변의 시원한 바람과

                                         종종 만나는 고목들의 아름다움에 지루함이나 힘든 것을

                                         잊고 걸을 수 있습니다.  

 

 

                           만하루와 연지.

                          공산성에는 우물이 3개 있었다고 전해지나 2개소 만 확인되었다.

                       발굴전까지는 흙으로 덮혀 있었으나, 1982~3년 발굴 정비하였습니다.

                       금강 가까이의 물을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지형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만하루와 연지에 숨어서 통행이 가능한 토끼굴(?) 같은 통로.

 

                          연지(충청남도 기념물 제 42호)

 

                          만하루는 조선 영조때 건립된 누각으로 연못과 금강사이에 위치해 공산성을

                       방어하는 군사적 기능과 경치를 관람하는 역활을 하였다. 홍수로 붕괴되어 땅속

                       에 묻혔다가, 1982년 발굴하고 1984년 발굴조사결과에 의하여 복원하였다.

                       8각으로 다듬어진 기둥 받침돌과 기단석 디딤돌 등을 원형 그대로 사용하였다. 

 

                          영은사

 

                            진남루(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 48호) : 공산성의 남문

 

                           공산성은 백제시대에는 웅진성이라 하였고 고려시대 이후에는 공산성,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성곽 안의 유적은 1980

                      부터 1993년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그 결과를 토대로 정비복원되었다.

                      성의 구조는 능선과 계곡을 따라 쌓은 포곡형으로 원래는 토성이었으나

                      조선 선조, 인조시대에 대부분 현재와 같은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광개토왕과 장수왕의 고구려에 밀려, 백제문주왕 원년(475)한성 위례성

                      으로부터 이곳으로 도읍을 옮겨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을 거쳐 성왕 16

                      (538)에 부여로 옮길 때까지 564년간 왕도를 지킨 이 산성은 북으로

                      금강이 흐르는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하는 천혜의 요새로서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약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성곽의 총 길이는

                      2,660m이다.

 

                     (1) 축조시기 : 475년 전후한 백제 웅진 천도기

                     (2) 성내 유적

                            1) 성곽시설

                              ◦ 성문-영동루, 금서루, 진남루, 공북루

                              ◦ 암문

                              ◦ 치성

                              ◦ 여장

                            2) 광복루, 임류각지, 복원 임류각, 명국삼장비, 추정왕궁지, 공산정, 영은사,

                              쌍수정, 쌍수정 사적비, 만하루, 연지 2, 성안마을터, 잠종고 등

 

                           공산성 추정왕궁지.

                           삼국사기에 의하면 임류각은 궁의 동쪽에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1980년에 조사된 임류각지에서 서쪽으로 왕궁이 입지할 수 있는 위치는 이

                        곳 밖에 없다는 논거로 1985~6년에 걸쳐 조사됨.

  

                         쌍수정 남쪽에 있는 또 하나의 연지.

 

                          쌍수정은 조선 영조 10년(1734) 에  처음 세운 정자이며, 인조가

                     이괄의 난(1624)을 피하여 공주로 잠시 피난 왔을 때 이 곳에 머물렀던

                     일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 후 여러차례 보수되어 오다

                     1970년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야간에 불을 밝힌 성곽의 야경을 담아보려 했으나, 준비를 하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 장면이었습니다.

 

                                   "공산성의 혈투"란 영화는 1960년대 영화라는데 오랜 세월이 지나,

                         스토리는 기억이 나지 않고, 당시의 스타들도 고인이 되신 분이 많은가

                         봅니다.

 

                              우리는 옛 문화유산을  보며, 지난 시절의 과오를 반성하고 새로운

                          시대에는 우리의 모든 역량을 다해 부국강병의 국가로 발돋음하며,

                          주변 국가와 협력 또는 경쟁체제의 외교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을 모색

                          하여 위대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을 찾아야 하겠지요. 

 

                           위   치 :   충남 공주시 금성동 65-3 번지

                           전   화 :   041)  840 - 2548 (관광안내소)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