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임실) 때묻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섬진강 구담마을

선 돌 2012. 4. 8. 00:00

 

 

                 때묻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섬진강 구담마을

 

                          남녘에서 들리는 꽃소식은 우리믜 마음을 흔들고 몸을 들썩이게

                        합니다. 선돌도 부화뇌동하여 매화꽃을 보기위해 임실의 구담마을

                        을 찾아 보았습니다.

 

                         매화꽃이 피었지요? 그런데 이게 전부라서 먼저 실망하였지요. 올 봄은

                      날씨가 아직 풀리지 않아 한 두주는 기다려야 매화의 꽃몽우리가 만개할

                      것 같다는군요. 

 

                          하지만 실망한 것으로 끝나면 안되기에, 섬진강변 마을의 호젓한 경치를

                        바라보니 실망했던 기색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카메라의 셧터를 누르기에 

                        바빠집니다.  

 

                           구담마을은 행정 구역상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에 속하는데,

                        이곳이 유명해진 데는 섬진강을 소재로한 농촌의 전원시인 김용택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지만,그렇게 이 마을들은 섬진강이 만든 아름다운 삶의

                        터전아었기에 김용택시인같은 분이 등단할 수 있었겠지요..

 

                        안담을정,구담점의 두개의 이름을 가진 정자.

 

                         정자앞의 몇그루의 고목나무와 함께있는 쉼터는 맞은편 순창군의 산과

                       휘돌아 나가는 섬진강 상류의 뻬어난 풍광에 시선을 한참 머물게 합니다.                        

 

                          강변의 구담마을에는 아직 피지않은 매화나무가 강변의 길을 따라 

                       도열한 듯 늘어서 있습니다. 진메마을(4km)천담(2.7km)구담

                       (1.68km)장구목에 이르는 섬진강길(8.38km)은 매화꽃길인데,

                       해마다 3월 말쯤쯤이면 구례하동 섬진강길 못지않게 온통 매화향기

                       에 취하게됩니다. 오히려 사람의 발길이 적어 한갓지게 오붓하여 천천히

                       걸어도 2시간이면 맘껏 즐길 수 있다.

                  

                            마을을 흐르는 섬진강물 상류의 호젓한 모습이 가득한 전원풍경.

                         회문산에서 내려오는 계곡물과 만난 섬진강은 물우리, 장산리(長山里

                         :진메마을)을 지나 서쪽으로 크게 꺽어 이 곳 구담마을로 온다.

 

                          요 며칠사이 비가 많이 내려서인지 징검다리가 물 속에 잠겨있고,

                        물살은 하얀포말을 만들어 아름다운 정경을 만드네요. 

 

 

                                          구담정근처의 고목나무의 자태도 예사롭지 않은데,

                                        이 곳에서도 양평의 두물머리 고목에서 제를 지내듯

                                        마을 어르신들이 제사를 지낸다합니다.

 

 

                          시원스런 강줄기의 경치를 즐기는 사람도 있고, 좀더 높은 곳 풀밭에

                        앉아 풍경을 줄기며 사색하는 사람, 강넘어 산등성이와 강물을 스케치

                        하며 스케치북에 담는분 등 여러사람이 전원의 아름다운 풍광을 즐깁니다.

 

 

 

                         강물을 내려다 보고 있으니, 어린시절 친구집에 놀러와 섬진강변

                      (임실군 오수로 기억)에서 다슬기를 잡던 추억이 떠오릅니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대표시인 섬진강을 인용해봅니다.

                     

 

                         퍼가도 퍼가도 전라도 실핏줄 같은

 

                         개울물들이 끊기지 않고 모여 흐르며

 

                         해 저물면 저무는 강변에

 

                         쌀밥 같은 토끼풀꽃,

 

                         숯불 같은 자운영꽃 머리에 이어주며

      

                         지도에도 없는 동네 강변

 

                         식물도감에도 없는 풀에

 

                         어둠을 끌어다 죽이며

 

                         그을린 이마 훤하게

 

                         꽃등도 달아준다.

  

 

                         섬진강물이 어디 몇 놈이 달려들어

 

                         퍼낸다고 마를 강물이더냐고,

   

                         지리산이 저문 강물에 얼굴을 씻고

 

                         일어서서 껄껄 웃으며

 

                         무등산을 보며 그렇지 않느냐고 물어보면

 

                         노을 띤 무등산이 그렇다고 훤한 이마 끄덕이는

 

                         고갯짓을 바라보며

        

                         저무는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어디 몇몇 애비 없는 후레자식들이

 

                         퍼간다고 마를 강물인가를.

 

                        -- 김용택 시인 시 섬진강 1’ 전문

                            

 

                         20여 가구에 28명이 주민들이 살며, 대부분 65세 이상의 고령자라 하는데,

                       요즘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고향을 떠나있던 분들이 돌아와 집도 고치고

                       하여 활기도 도는 마을로 변모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때가 묻지 않는 이

                       모습들이  변치않고 관광객을 맞았으면 좋을 것 같지요.

 

                       앞으로 잔잔한 섬진강이 흐르고 뒤에는 나즈막한 산들이 감싸고 있는

                     아름다운 이 마을은 몇 해 전 영화 '아름다운 시절(이광모 감독)'에 몇

                     곳이 등장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합니다. 

 

                              구담마을에서 관광의 활성화을 위하여 사계절 각기 다른 각종

                            체험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하는데, 매실채취, 다슬기잡기 등 흥미

                            있는 농촌의 전원생활을 겸험해보는 것도 유익한 것이 아닐런지요?

 

                                        위  치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 구담마을

                                        전  화 :  063) 644 - 9050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