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기도여행

(수원여행) 조선행궁의 대표적인 건축물, 봄힐링 화성행궁 구석구석 돌아보기

선 돌 2013. 4. 24. 19:00

 

 

                조선행궁의 대표적인 건축물, 

                                   봄힐링 화성행궁 구석구석 돌아보기

 

                사적 제478호 화성행궁은 1789년(정조(13년) 수원 신읍치건설 후 팔달산

             동쪽에 건립되었고, 1794년부터 96년까지 3년간의 화성축성 기간에 확장하

             여 최종 완성되었습니다.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과 함께

             조선행궁 건축의 백미인 화성행궁을 둘러 보았습니다.     

 

                 건립당시에는 600여 칸으로 정궁(正宮)형태를 이루며 가장 규모가 크고, 아름다

               운 행궁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때 낙남헌을 제외한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으로 사라졌다가, 1995년 부터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1996년 복원공사를

              시작하여,1997년 봉수당 상량식을 거행하였고, 2006년에는 행궁앞 광장부지에 대한

              시굴조사가 이루어져 명당수 호안석축과 신풍교 교대지가 확인되어 2007년에 새롭

              게 복원이 이루어졌습니다.

 

 

                  신풍루 앞 양편에 있는 350년의 보호수.

 

               신풍루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며, 신풍이란 국왕의 새로운 고향이란 뜻으로 정조대왕의

             수원사랑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신풍루앞 광장에서는 화성행궁 상설 한마당 개막행사로 정조대왕어가행렬,장용영수위

              의식,무예24기, 전통줄타기 등 여러체험행사가 열렸는데, 11월까지 공연이 진행된

              다 합니다.

 

              좌익문.

 

                                  600년 이상의 오랜 느티나무가 신령스럽게 생겨 정조대왕의 기를 많이 받았음인지,

                                신목,목신이라 불리며 많은 사람들이 소원지를 걸어놓는 곳입니다.

 

               정성스레 소원지를 쓰고 있는 모습.

 

 

                중앙문.

 

                봉수당.

                화성행궁의 정당으로 정조대왕은 이곳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었습니다.             

 

                노래당.

                정조대왕이 왕위에서 물러나 수원에서의 노후생활을 꿈꾸며 지었다는 건물.

 

 

                낙남헌(洛南軒)

                1795년 혜경궁 홍씨회갑연 기간중 과거시험과 양로연 등의 여러행사가 열렸던 곳입니다.

 

 

              득중전(得中亭)

              정조대왕이 화성행궁에서 활을 쏘신 곳으로  모두 명중시켯다고 하여 득중정이라 했습니다.

 

                 화령전내의 운한각.

                 화령전은 사적제115호로 1801년(순조원년) 정조댕왕의 유지를 받들어 화성행궁 옆에

               세운 정조대왕의 영전입니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신위를 모신 사당과는 달리영전은 보통

               선왕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생전에 계실 때와 같이 봉안하는 곳입니다. 

 

                 운한각은 화령전의 정전으로정조의 초상화를 봉안한 건물이며, 운한(雲漢)은 임금이 가뭄

               을 걱정하여 하늘에 기우제를 올릴 때 불리던 「시경」의 시에서 따왔습니다. 앞에는 제사때

               악공들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월대가 있고, 세개의 계단이 있는데, 가운데 계단은 혼백만

               이 사용하는 계단입니다. 1801년 만들어진 조선후기의 가장 대표적인 건물입니다.

 

                정조대왕 영전.

 

 

                장락문.

 

                장락당.

                화성행궁의 침전으로 정조대왕이 혜경궁 홍씨의 만수무강을 위하여 직접 편액을  

              써서 걸었습니다.

 

                복내당.

                화성행궁의 내당으로 평상시에는 화성유수의 가족들이 거처하던 곳입니다. 

 

 

                유여택.

                정조대왕이 행차중 잠시 머물며 신하들을 점견하던 곳입니다.

 

 

 

 

 

                비장청.

 

                남군영.

 

               장용영수위의식을 준비중인 사람들이 의상들을 입으며 쉬고 있는 모습.

 

                행궁은 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전란, 휴양, 능원참배 등으로 지방에 별도의 궁궐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하는 곳입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현륭원으로 이장하면서 수원 신도시를 건설하고

             성곽을 축조했으며, 1790년에서 1795년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중요

             경유지에 과천행궁, 안양행궁, 사근참행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화성행궁 등을 설치

             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화성행궁은 규모나 기능면에서 단연 으뜸으로 뽑히는 대표

             적인 행궁이라 할 수 있는데, 정조는 1789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 이후 이듬

             해 2월부터 1800년 1월까지 11년간 12차에 걸친 능행을 거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치루었고, 그에 대한 건설 기록을 상세히 남겨

             오늘날 다시 복원하여 수원시의 대표적인 여행지로 남겨진 곳 입니다.

 

 

                  위   치 : 경기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6-2번지 외

                              화성행궁

                  전  화  : 031) 251 - 4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