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정선] 동강지질생태탐험을 위한 동강나들이는 인상깊은 멋진 드라이브!

선 돌 2013. 11. 4. 11:41

 

 

 

                 동강지질생태탐험을 위한 동강나들이는

              인상깊은 멋진 드라이브!

 

                  태백.정선지역을 돌아보면서 마지막으로 지나 온 길이 조양강과

                동강을 따라 달리는 여행이었다. 단풍으로 절정을 이룬 이 지역은

                강변을 따라 드라이브를 하다보면 좌우에 펼쳐진 기암절벽과 울긋

                불긋 단풍잎을 바라보는 즐거움이 단풍관광과 지질테마여행을 병행

                하는 일석이조의 여행이 될 것 같습니다. 

 

                동강의 길이는 약 65㎞인데,  평창군 오대산(五臺山:1,563m)에서 발원하는

             오대천과 정선군 북부를 흐르는 조양강(朝陽江)이 합류하여 흐르는 동강은

              산과 산사이를 구비구비 돌아 남서쪽으로 흐르다가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下松里)

              에서 서강(西江) 만나 남한강 상류로 흘러갑니다.

 

 

                   드라이브를 하며 불현듯 떠오른 생각이,정선동강길은 총 36km 인데, 제주의

                올레길을 걷듯이 탐방로를 걸으며 돌아보는 것도 의미있는 지질여행이 될 것

                같아요. 여유가 있으면 아래의 길을 걸어 보고 싶군요.

                1구간 : 23km 로  정선역-용탄삼거리-할미꽃자생지-할미꽃마을-귤암캠핑장

                                      -가수리느티나무

                2구간 :13km 로  가수리느티마무-수동쉼터-백운산등산로-어름굴쉼터-나리소

                                     -고성산성-제장마을

 

 

                                        바위나리

  

                                     동강유역은 4억 5000만 년 전에 융기되어 형성된 석회암층 지역으로,

                                  약 2억 년 전에 단층운동과 습곡운동의 영향으로 현재의 지형이 형성되

                                  었고, 현재도 하천운동으로 인한 퇴적작용과 침식작용 등이 계속 진행

                                  되고 있습니다.

 

                                             고랭이(할배꽃)

        

                                    동강 유역은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으로서  지표운동과 지하수·석회수의

                                용식작용 등으로 인해 많은 동굴이 형성되었는데, 발견된 동굴만도 256개나

                                되고, 그 가운데 백룡동굴(白龍洞窟:평창군 미탄면 마하리)은 천연기념물

                                26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장천이 합류되어 동강으로 흘러가는 가수리 마을                 

 

                    

 

                가수분교 앞에 있는 수령 700년의 당산목, 느티나무.(정선군 정선읍 가수리 수미마을)

 

 

 

                  나리소 전망대.

                  강변을 따라 차를 달리다 보면, 침식이나, 용식작용에 의한 기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멋진 모습으로 절벽을 이룬다, 그 중에는 삼형제바위, 용바위, 두꺼비

               바위 등이 있어, 여유가 있으면 그 모습을 보며, 지질변화의 오묘함을 느껴보는

               것도 여행의 묘미를 더해줄 듯 합니다.

 

 

                   옛날에는 정선군 여량면 아우라지에서 목재를 뗏목으로 엮어 큰물이

                질 때 서울까지 운반하는 물줄기로 이용되다가 1957년 태백산 열차가

                들어오면서 뗏목을 이용한 수송운반의 기능을 잃고 아무도 찾지 않는

                오지로 바뀌었습니다. 요즘 "떼돈 벌었다는" 말은 이곳에서 유래되었다

                하는데, 떼목을 아오라지에서 한양까지 운반해 준 대가로 받는 돈이

                떼돈인데 당시 그 가치가 상당하여 꽤많은 돈을 손에 쥘 수 있었다 합니다. 

  

                   동강이 전국민의 주목을 받게 된 건,1993년 영월 일대의 대홍수로 읍내의 절반

                이상이 물에 잠기면서 영월댐(동강댐) 건설계획이 본격화되었다. 이어 정부에서

                는 1996년부터 2002년까지로 사업 기간을 정하고 댐 건설사업을 시작하였으나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물론 전 국민적인 반대에 맞닥뜨려 결국 2000년 6월

                건설계획은 백지화되었습니다. 당시 동강댐이 계획대로 건설되었다면 이 아름다운 

                광경들이 물 속으로 수몰되는 슬픈일이 벌어졌겠지요.   

 

                    그럼에도 동강이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지고, 많은  관광객들이 찾기

                시작하면서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심화되자 환경부에서는

                2002년 6월부터 정선군·평창군·영월군의 동강 일대를 생태계보존지역

                으로  지정해 취사와 야영을 금지시켰습니다. 천혜의 관광자원은 우리가

                잘 관리하고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이 우리가 해야할 의무이기

                하겠지요.

 

                    여행 안내: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남쪽 가수리부터 영월의 합수머리까지

                            동강                           

                           문의 ; 033-370-2541 

                          찾아가는 길 : 영동고속도로 남원주IC에서 중앙고속도로로 진입,

                                            -> 제천방향으로 가다가 신림IC로 빠져,

                                            -> 88번 지방도로를 이용해 황둔 -> 주천 -> 소나기재

                                            -> 장릉을 지나면 영월읍.

 

                                                        :  영동고속도로 새말 IC 에서 빠져 ->평창.영월방면->

                                                평창 미탄->창리삼거리에서 정선방면->솔치삼거리(동강로)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