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라남,북도여행

(진도여행) 진도의 멋, 예향 남도의 가락을 즐길 수 있는 진도토요민속여행, 진도향토문화회관

선 돌 2014. 3. 10. 02:14

 

 

 

             진도의 멋, 예향 남도의 가락을 즐길 수 있는

             진도토요민속여행

 

                       진도여행중에는 소리를 통하여 심금을 울려주는 남도의 전통 민속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진도향토문화회관의 "토요민속여행"이라는 타이틀

                    의 민속공연을 볼 수 있습니다. 

 

                           토요민속여행 상설공연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에 진도군립민속예술단원들이

                      펼치는 공연으로 때로는 가슴을 뻥 뚫리는 시원함을, 또는 뭉클하고,가슴시리게

                      하는 느낌을 갖게하는 멋진 전통국악 예술공연입니다. 

  

                             

                              선돌이 관람했던 공연은 3월의 첫번째로 "남도의 봄"이라는 주재로

                        남도민요, 단막창극,판소리, 진도북춤 북놀이, 지전춤,길닦음, 진도아리랑의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첫번째 프로그램은 남도민요로 어깨를 들썩거리게 하고, 고수 등의 장단에

                       맞춰 펼쳐지는 흥겨운 가락은 나이가 들어감인지, 점점 그 정취에 빠져드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무대는 단막창극으로  심청가 중 뺑파막이었습니다.

    

 

                             창극 심청가중 가장 해학적인 대목으로, 심봉사는 심청이 떠난후, 후처를

                        얻었는데 그이름이 뺑파입니다. 황성맹인 잔치 가는길에 눈맞은 황봉사와

                        맹인잔치에 함께 가자는 내용........ 

 

                                   세번째 무대는 판소리 심청가 중 호원치성입니다.

           

 

                             고수에 장단에 맞춘 판소리 심청가는  심금을 울리기도 하지만, 흥에 겨워 얼쑤,

                       또는 좋다하는 추임새가 객석에서도 나옵니다.

 

                                네번째는 이날 저에게는 가장 흥겹고, 감명 깊었던 진도 북춤 북놀이입니다.

 

                            전라남도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된 농악에서 북놀이는 판굿의 구정놀이와

                      모내기 할 때 들노래와 어울리는 모북의 두 경우가 있는데. 이 날은 북잡이들이

                      나와서 북놀이를 했습니다.

 

 

                              전라도의 북놀이는 외북치기와 양북치기가 있는데, 외북치기는 전라도 지방의

                        보편적인 방식으로, 북을 어깨에 메고 한손으로 북채를 들고 친다. 이 때문에 원

                       래 박자에 충실하며 웅장한 소리를 내며, 양북치기는 진도에서만 전승된 것으로,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를 치듯이 두드리기 때문에 잔가락이 많이 사용되며, 멈춤

                       과 이어짐이 빠르고 가락이 다양하다. 특히, 즉흥적인 북가락과 춤사위가 어우러져

                       더 흥을 돋우며 다양한 변주를 모색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날 공연 중 가장 신나고 감명깊었던 것은 진도 북놀이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섯번째 무대 지전춤.

                             영혼의 상징적 의미인 지전으로 한을 달래주는 춤  

       

 

                                   여섯번째 무대는 길닦음.

                          극락의 길을 닦아 편히 왕생극락을 비는 의식.

           

 

                                   의식 중에 관객들이, 왕생극락길에 노자돈을 보태주는 모습도 보여,

                        공연이 관객과 혼연일치가 되는 것처럼 숙연해지는 느낌이 들더군요.

             

 

                            마지막 무대는 진도가 자랑하는 진도아리랑입니다.  남도민요에 속하기도

                      하여 첫무대에 출연했던 분들이라 다시 나와서인지 편안한 느낌을 갖고 감상

                      할 수 있었습니다.    

 

                              아리 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흥겨운 진도아리랑 가락에 일부 관객은 무대 앞으로 나가 덩실,덩실 춤을

                       추는 모습을 볼 수도 있었습니다.

         

                                진도 향토문화회관은 4월부터 11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대공연장에서

                     "토요민속여행"이란 주제의 상설 공연을 한다. 이 공연은 진도군립예술단이 기

                     획한 진도 전통 민속 문화체험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된다. 이 공연에 나서는

                     사람들은 거의 진도 토착민들이다.진도 토착민들이 공연자로 나서기 때문에 관

                     람객들은 진도 전통 민속의 원형을 경험할 수 있다. 이곳 향토문화회관에서 공

                     연되는 전통 민속은 국가무형문화재 제72호인 진도씻김굿을 비롯해 진도

                     아리랑, 남도민요, 강강술래, 다시래기, 진도북춤 등 다양하다.

         

                        진도를 찾는 관광객들 가운데 국악을 좀더 풍성하게 감상하고 싶은 사람들은

                     금요일 저녁에 펼쳐지는 국립남도국악원 공연에 이어 진도 향토문화회관의 토요

                    상설 공연을 관람하기도 한다. 국립남도국악원에서 공연되는 국악이 고전적이고

                    학술적이라면, 상대적으로 진도 향토문화회관에서 공연되는 국악은 대중적이며

                    감성적이라는 특색이 있다〈향토뭍화회관 홈페이지에서 따옴>

 

                    위    치 : 전남 진도군 진도읍 진도대로 7197(동외리1189)

                                  진도향토문화회관

                    문   의 :  061) 540 - 6253~8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로 좋은날 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