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강원도여행

평창여행 세조의 설화가 내려오는 적멸보궁 오대산 상원사

선 돌 2016. 1. 23. 04:00

 

 

                         평창여행 세조의 설화가 내려오는 적멸보궁

                            오대산 상원사

 

                         오대산 상원사는 아이들 어릴 때, 5대 적멸보궁의 하나인 상원사 적멸보궁을

                       순례 탐방하느라 몇번 들렀던 곳 인데, 오랫만에 들리게 되니, 많은 불사를 하

                       느라 사찰이 많이 변한 것을 느끼게 됩니다. 

 

 

                         월정사의 말사이기도 한 상원사는 역사깊은 사찰이며, 오대산 비로봉

                       등반객들이 들러가는 곳이기도 해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는 사찰이기도

                       합니다.

 

                         주차장에서 내려 상원사 경내로 들어서며 느낀 것은 오랜만의 탐방이어선지,

                      법당으로 올라가는 길이 예전의 길이 아님을 알게 됩니다. 언제 이런 공사(불사)

                      를 하였는지는 자주 와보지 못한 이유로 알 수가 없군요.                     

 

                        상원사는 조선조 세조왕과 관련된 일화가 많이 있는데, 문수동자의 일화가 있는

                      문수보살상(국보 제221호)과 고양이석상 등을 눈여겨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전해져 옵니다.  

 

                         우리 부부는 이 곳에 익숙해 새로난 길로 오르지 않고 예전의 길로 돌아서,

                       법당(문수전)이 있는 곳으로 올라 갑니다.

 

                          약간의 숨을 고루며 올라와 보니 타 사찰의 일주문 격인 2층 건물이

                        새로 지어진 듯 하며, 윗층(뒷편)은 청풍루, 아래층(앞쪽)에는 상원사

                        라는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상원사 동종(국보 제 36호)가 있는 종루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모습.

 

                          범종각.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은 신라시대인 725년에 주조된 청동종으로 높이가 1.7m 이며,

                              현재 남아있는 종 중에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조선시대 안동의 읍지인 영

                              가지에 의하면 안동대도호부 관아의 문루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조선

                              예종 1년)에 왕명에 의하여 상원사로 옮겨졌다고 합니다. 귀중한 신라 시대

                              유물로서 성덕신종보다 오래 된 국보로서 유리벽으로 보호하고 있다.  

                       

                          대웅전 격인 문수전.

 

 

                         청정도량 사찰의 청량한 물을 마셔보려 하였으나, 겨울이어서인지, 물을 마실

                      수가 없었습니다.

 

                         천정의 화려한 단청을 거울속의 반영으로도 볼 수 있게 한 모습.

 

                         고양이상과 함께 보이는 문수전 전경.

 

                         고양이석상(猫石像)

                         이 석상도 세조와 얽힌 이야기가 있는데, 상원사에 들른 세조가 법당에

                      들어가려 하는데, 세조임금의 바지자락을 물며, 법당에 들어가는 것을 막

                      아, 이를 알아보니 법당안에 자객이 숨어있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후에

                      이 고양이들에게는 전용 밭을 하사하고, 석상까지 만들어 후세에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문수보살상(국보 제221호)

                           여럿의 불자님들이 기도를 드리고 있어 차마 들어가서 촬영를 하지 못하고,

                        유리문 밖에서 촬영하였더니, 만족스런 사진이 못되어 아쉽기만 합니다.

                           문수동자에 얽힌 이야기는 세조가 욕창을 앓고 있어 상원사 앞에서 목욕을

                        하고 나았다고 하는데, 이 때 지나가는 동자를 불러 등을 밀게 하고," 어디가서

                        왕의 옥체를 보았다는 이야기를 하지 말라고 하였더니, 동자가 어디가서 문수

                        동자를 보았다는 이야기를 하지 말라고 하며 홀연히 자리를 떠났다고 하는 이

                        야기가 있습니다.  훗날 세조의 딸인 의숙공주가 그린 동자상을 조각하여 절에

                        봉안했다고 합니다.

 

 

                         영산전(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4호)과 영산전석탑

                         1946년 상원사 화마가 났을 때 유일하게 소실을 면한 전각으로 오대산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으로, 석가삼존상과 십육나한상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영산전 석탑.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되는 데, 기단부터 상층부까지 탑 전체가 여러가지

                      무늬와 불상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불행하게도 훼손상태가 심해, 탑신의

                      형체도 알 수가 없는 상태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시간이 허락했다면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까지 탐방을 할 수 있을 텐데.....

                         아쉬움을 남기고, 월정사로 내려갑니다.

 

                          위    치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308-5

                     본 포스팅은 평창군에서 평창송어축제 와 대관령눈꽃축제 그리고 평창 문화 관광 먹거리를

                                    홍보하기 위하여 초청한 팸투어에 참가 한 후 작성한 포스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