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영주여행) 아이들과 가볼만한곳 영주 인삼박물관 & 영주 풍기인삼시장

선 돌 2016. 11. 3. 00:30



                                (영주여행) 아이들과 가볼만한곳

                영주 인삼박물관 & 영주 풍기인삼시장

            

                         풍기인삼은 금산, 개성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인삼재배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근래에는 강화도를 비롯하여 다른 곳에서도 인삼재배를 하는

                      곳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풍기인삼은 예전에는 그 효능이 우수하여 조정

                      에서도 풍기인삼만 사용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영주여행을 와서 풍기의 인삼시장을 걸르고 지나간다면, 앙꼬없는 팥방을 먹는

                        것과 같아 선돌은 풍기인삼박물관과 풍기인삼시장을 들러 봅니다.


                                                         영주 풍기 인삼박물관.


                         인삼의 효능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있고, 특히 우리의 고려인삼은

                       코리아 진셍으로 그효능이 탁월함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풍기인삼은 소수서원(백운동)을 설립한 주세붕선생이 풍기군수 시절

                       조정으로부터 점점 많아지는 공출량을 자생인삼만으론 맞출 수 없어

                       민가에서 재배토록하여 백성들의 짐을 덜어 주었고, 그로인해 우리나라

                       최초의 인삼재배는 풍기에서 시작되었다 합니다.



                         죽령옛길을 재현한 박물관 내부.

                         1층에서 2층으로 오르는 것을 죽령옛길을 걷는 것처럼 재현한, 재미있는 박물관

                       내부 전시물입니다. 죽령옛길에는 몇가지 전설과 전해오는 이야기들이 있는데, 그

                       중에는 신라화랑 죽자랑이야기, 단양과 풍기군수를 지낸 퇴계 이황이야기, 주세붕과

                       농암 이현보의 이야기 등 역사속의 인물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서기 734년, 신라 성덕왕 33년에 당나라 현제에게

                     하정사를 보내어 산삼 200근을 선물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신라시대때

                     벌써 소백산을 중심으로 한 풍기지역에서 산삼이 많이 자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조선 중종조에 신재 주세붕 선생이 산삼에만 의존하던 것을 인위적으로

                     재배, 생산케 하였고, 그 수요를 충족하고자 전국에 인삼이 자생하는 토양과

                     기후가 비슷한 곳을 찾던 중 1541년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풍기의 토양,

                    기후를 조사한 결과 소백산을 중심으로 한 풍기 지역이 산삼이 많이 자생할

                    뿐 아니라, 인삼재배로서 가장 적합한 곳임을 발견하고 풍기에서 제일 처음

                    산삼종자를 채취하여 인삼재배를 시작하였으며 조정에서는 풍기인삼만 이용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풍기 인삼박물관을 보았으니,실제의 인삼을 만나기 위해 풍기역 근처에

                          있는 풍기 인삼시장으로 찾아 보았습니다. 인삼이 특산물인 풍기지역은

                          이런 인삼시장이 여러곳에 있다 합니다.

           


                         시장 건물안으로 들어서니, 코에서는 인삼의 특유한 향이,눈에는 다양한

                       인삼과 인삼으로 만든 홍삼제품들이 들어 옵니다.



                         6년근을 비롯한 다양한 수삼들과 홍삼으로 만들어진 액기스,젤리 등 인삼의

                      제품 종류도 다양합니다. 집사람도 지나칠 수 없는지 수삼 6년근 두채를 사는군요.


                          특이한 것(인삼과 다른)이 있어 유심히 들여다보니, 오래된 귀한 더덕을

                       술병에 넣어 제품화한 것이라 합니다.


                                풍기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풍기인삼은 해발 400~500m의 소백산록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과, 내륙성 한랭기후가 형성되어 늘 통풍이 잘되고,

                      사질 양토로 배수가 양호한 상태에서 재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약성이

                      충분한 백로를 중심으로 채굴을 하므로 내용 조직면에서 육질이 탄탄하고

                      중량이 무겁고, 인삼향이 강하며, 유효사포닌 함량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음용시에도 약탕기에 끓여 재탕, 삼탕을 해도 물렁하게 풀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인삼과 같은 분량을 달여보면 농도가 훨씬 진하다고 하며,

                      인삼을 넣어둔 방문만 열어도 향기가 짙게 풍긴다 합니다.
 

                           위    치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창락리 452(풍기 인삼박물관)

                                   경북 영주시 풍기읍 서부리 145-3(풍기인삼시장)

                      전   화 :  054) 639 - 7688(풍기인삼박물관)

                                   054) 636 -7948 (풍기인삼시장)

                      “상기 포스팅은 경북 영주시 콩세계과학관 및 문화 관광 농촌관광 특산물 먹거리를 
                                  알리기 위한 영주시청 초청 진행한 팸투어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