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이성계가 황산(荒山)에서 왜군을 무찌른 사실을 기록한 승전비로 남원의 가볼한곳의 사적 제104호 남원 황산대첩비지를 찾아 보았습니다.
남원 국도 24번 길을 따라 여원재를 넘어 남원 황산대첩비지에 도착을 하였습니다.
동편제 마을 황산대첩비 주차장에 하차하여 도보 약 5분정도 소요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가을이 무르익어가고 있는 남원 여행길 구름이 두둥실 떠다니고 높고 높은 파란하늘이 반겨주니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길은 힐링입니다.
남원 가볼만한곳 중 황산대첩비지의 황산대첩은 역사적으로도 매우 유명한 싸움으로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고려 우왕 때(1380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선조 10년(1577년) 왕명을 받아 황산대첩비를 건립하였습니다.
남원 황산대첩비지 삼문으로 들어 가기전 황산대첩비를 파괴한 일본의 만행을 알기 쉽게 만화로 제작하여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와도 좋을것 같습니다.
황산대첩비각 (荒山大捷碑閣)
고려 우왕 6년(1380년) 왜구들이 진포로 쳐들어와 최무선 장군이 500여척의 배를 불태우고 승리한것이 진포대첩이며, 외구들이 남원 운봉에서 약탈을 일삼자 3천 남짓의 병력으로 1만명이 넘는 왜구를 섬멸하였던 황산대첩,
토벌 작전에 이성계가 활을 쏘아 적장 아지발도의 투구를 떨어뜨리고, 우왕좌왕하는 왜구를 섬멸 하였다는 이성계의 황산 전투의 대승입니다.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고려 우왕 때(1380년)에 이곳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선조 10년(1577년) 높이 4.25m,
왕명을 받아 황산대첩비를 건립하였나 1945년 1월에 남원의 경찰은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따라 소방대를 동원하여 비를 폭파하고 비문의 글자를 긁어 버렸다.
일제 때 일본인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파편만 남아 있는 정도였으나 1963년에 사적으로 지정된 뒤 깨진 거북돌을 다시 맞추고 오석(烏石)으로 비신을 다시 세웠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그대로 원형과 똑같은 거북 모양의 귀부(龜趺)를 갖추고 비를 다시 만들어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황산대첩기념비(荒山大捷紀念碑)
황산은 운봉읍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8㎞ 떨어진 해발 695m의 바위산으로 황산이 마주 보이는 황산대첩비지의 기념비가 바로 마주하고 뒤로 파비각이 눈길에 들어옵니다.
1973년 비석이 보관되어 있는 비전, 삼문, 홍살문, 담장 그리고 부속건물들을 새롭게 단장하였습니다.
파비각[ 破碑閣 ]
荒山大捷碑(황산대첩비)는 일제가 부순것도 모자라 글씨를 읽지 못하도록 비문을 철정으로 쪼아 형체도 없이 파괴하였고, 부서진 비석은 남아있는 조각들을 모아 파비각안에 보관해 놓은것이라고 합니다.
황산대첩사적비각 (荒山大捷事績碑閣)
1882년(고종19) 운봉 현감 이두현이 세웠던 화수산 비각비가 훼손되자 1958년에 중건한 황산대첩사적비각가 있습니다.
사적 : 일의 실적이나 공적.
비각 :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
이성계는 산 아래 협곡에서 배극렴(裵克廉, 1325∼1392)·이두란(李豆蘭) 등 휘하의 여덟 원수를 거느리고 함양에서 공격해오는 왜구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 적장 아지발도(阿只拔都)를 사살하는 등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를 기념해 황산대첩비지를 세웠다 합니다.
어휘각
어휘각은 운봉읍 화수리 석벽(石壁)에 도원수가 본인과 8원수 4종사의 명단을 새기게 하여 황산대첩이 자신만의 공로가 아니라 여러 충신들의 공로임을 알리는 내용의 어휘(御諱)를 새겨 만든 비전(碑殿)입니다.
일제의 한민족 문화 말살정책에 따라 본 비전을 폭파하고 철정으로 쪼아버려 현재 그 잔영만 남아 있는 것을 1976년 어휘각을 건립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성계리더십센터에서 주관, 참가한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남원 황산대첩비지의 역사를 듣고, 알아가며 다음 목적지로 가기위해 주차장으로 향하는 길에 동편제 마을을 만났습니다.
마을 5분 거리에 황산대첩비지가 위치해 있고,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록된 판소리 중 동편제의 탯자리로, 가왕 송흥록과 송만갑 선생이 이곳에서 출생했으며, 명창 박초월이 성장한 곳이기도 합니다.
가왕 송흥록과 국창 박초월이 살았던 곳 ‘송흥록 생가’를 복원해 그 전통을 널리 알리고 있는 동편제 마을이 있습니다.
“상기 포스팅은 전라북도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프로그램을 알리기 위하여 전라북도에서 초청하여 진행한 공공 팸투어에 참가 한 후 후기로 작성한 글입니다”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 > 전라남,북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도 여행 진안 마이산 전망좋은 고금당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79) | 2022.09.30 |
---|---|
전주 한옥마을 명소 전라북도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오목대와 이목대 (7) | 2022.09.23 |
전라북도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설화가 전해지는 여원치 마애불상 (9) | 2022.09.21 |
전북 태조 이성계 유적지 역사탐방 9월17~18일 여행블로거기자단 팸투어 (1) | 2022.08.24 |
전주 경기전과 어진박물관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0) | 202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