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대구여행) 조선 5현의 으뜸 김굉필선생의 도동서원

선 돌 2011. 7. 6. 13:37

 

                  

 

                   도동서원

                사적 제488호/보물 제 350호

               

                       도동서원은 1605년(선조38) 지방 유림에서

                  한훤당 김굉필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조선 선조 40년 김굉필 외증손 한강 정구가 도동서원 건립을 기념하여

                           심어서 김굉필 나무라고 이름을 지었다.

                      수령 400년 된 은행나무는 높이 25m, 줄기둘레 8,7m이다.

                    

                       도동서원(道東書院)은 2077년 사적 제488호로 지정하였다.

                   조선 오현의 한 사람인 문경공 김굉필(1454~1504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568년 (선조1년) 유림에서 현풍현 비슬산 기슭에 세우고 쌍계서원이라 했으나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다. 그 후 1605년(선조 38)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고

                                당시의 동명이 보로동이었으므로 보로동서원이라 불렀다.

                        그 후 2년 뒤인 1607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면서 공자의 도가 동래하였다는

                                      의미로 도동서원이라고 하였다.

                              이때 동(洞) 이름도 도동리로 개칭되었다.

                     

                        서원 전면에 위치한 신도비, 은행나무 등을 포함한 서원 전역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있다.

 

                             수월루는 서원의 정문으로 낙동강과 고령군 개진면의 평야가

                      한 눈에 들어와, 유생들의 휴식처 또는 감독공간으로 사용하였다.

 

                           담장의 모습이 아름다워 전국 최초로 토담이 보물로 지정(보물 제350호)되었다.

 

      

                              강당

 

                             돌과 흙과 기와를 골고루 이용한 견고한 축조기법,수막새의 장식무늬,지형에 따라

                     변하는 담장 면의 변화와 담장 지붕이 그리는 모습은 우리 건축에서나 불 수 있다.

 

                             조선중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형식과 강당과 사당의

                    공포양식 및 담장 구성수법  등에서 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사당은 한훤당 김굉필 선생과,한강 정구선생의 위패가

                           모셔진 공간이다.

 

                                                  보로 덮어 논 김굉필선생과 정구선생의 위패

 

 

 

                               마침 사당에서 참배를 올리고 있는데 조심스레 다가가 보았다.

 

                                                  김굉필 선생의 위패

 

                             사당안 양 옆면 벽에 있는 그림.

 

                       강당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오른쪽, 왼쪽 두 곳으로

                                             오른편 계단에는 다람쥐의 올라가는 형상,

                                  왼편 다람쥐는 꼬리가 위쪽으로 있어 오늘날의

                                                      우측 통행의 표시가 아닌가 추측한다.      

 

                                                                                                                                                                                      

 

                             우리나라에는 경치좋고, 물맑고, 산이 있고 공기좋은 곳에는 사찰이나 이러한 서원

                     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절에서는 불교의 오묘한 진리나 우리의 생활에 접목하면 좋은 습관 등을,

                     서원에서는 조상들의 생활속에 깊이 배어 있는 유교정신을 배우고 (물론 좋은 것만) 하여 서양

                    문명에 젖어 있는 현대인의 생활상으로 부터 우리만의 고유함을 간직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위   치  :   대구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

 

                             찾아 가는 길 :  * 현풍 IC→구지방향 1093번지방도로→18번도로

                                                                * 대구서부시외버스 터미날에서 현풍방면 시내버스와

                                                     직행버스를 타고, 현풍에서 달성 4번버스나 택시 이용

 

                              주변 관광지 :  현풍곽씨 십이정려각, 비슬산 자연휴양림, 현풍석빙고,

                                                  등이 있고,

                                                  4대강 사업의 달성보가 준공되면 새로운 구경거리가

                                                  샐길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