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거제여행) 聖雄 이순신장군의 발자취,옥포대첩기념공원

선 돌 2011. 7. 17. 18:36

 

 

 

 

                    이순신 장군의 그 발자취를 찾아가다.

 

               지난 6월25일, 소매물도행 배를 타기위해 이른 아침,

             대구를 출발하였으나, 태풍으로 인해 배가 운행중지 되었다고

             하니 우선 들른 곳이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가 있는 옥포대첩기념

             공원이었다. 매년 이순신 장군의 제례행사가 열리며, 6월 16일을

             전후하여 약 3일간 옥포대첩기념제전이 열린다.   

 

              옥포해전은 임진왜란 첫 승첩이며 이후의 전황을 유리하게 전개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총통(화포) 대 조총의 해전 한반도 남해안의 여러 섬과 포구를 장악한 일본 수군이 거제도 쪽으로

          진출하자 원균은 전선과 무기들을 수장시키고 거느리고 있던 수군 1만을 해산시켰다.국조보감 그리고

         옥포만호 이운룡, 영등포만호 우치적과 함께 남해현 앞바다에 머물러 있다 육지로 피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원균은 전라도·충청도 지방에 이르는 해로(海路)의 목줄인 옥포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고

         율포만호 이영남을 시켜 이순신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에 응하여 이순신은 대형 전선인 판옥선 스물넷 척,

        중형 전선인 협선 열다섯 척, 소형 쾌속선인 포작선 마흔여섯 척으로 구성된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함대를 이끌고 음력 5월 4일(양력 6월 13일) 새벽에 여수 항을 출발하여, 음력 5월 6일(양력 6월 15일) 아침에

        당포 앞바다에서 원균의 경상우수영의 함대(판옥선 네 척, 협선 두 척)와 합류하였다. 전라좌수영과

        경상우수영의 연함함대 91척의 총지휘는 이순신이 맡게 되었다.

 

          거제도 송미포에서 밤을 새우고 낙동강 하구의 가덕도로 항진하던 연합함대는 음력 5월 7일(양력 6월 16일)

       정오 무렵에 척후장 김완이 옥포에 정박 중인 일본 수군 함선 오십여 척을 발견하였다

 

          선봉장 이운룡을 선두로 돌격을 감행하며 맹렬한 화포 사격을 퍼붓자 기습을 당하고 전열을 갖추지 못한

       일본 수군은 해안선을 따라 탈출을 시도했다. 조선 수군은 일본 수군의 퇴로를 봉쇄하고 총통과 화살로 무차별

      공격을 퍼부으면서 일본 수군의 선단을 해안선 쪽으로 압박하였다.

 

         일본 수군의 일부는 포위망을 뚫고 해상으로 탈출하였으나, 나머지는 배를 버리고 해안에 상륙하여 산 속으로

     도주하였다. 호리우치 우지요시는 이 전투에서 우치적이 쏜 기름칠을 해 놓은 불화살을 맞고 바닷물로

     떨어졌는데 신호가 그의 시체를 건져 그의 목을 벤 후 그것을 높이 들어올렸다. 도도 다카토라는 탈출에

    성공하였고, 이후 도도 다카토라는 이순신과의 전투에서 줄곧 패배를 거듭하게 된다.

 

        옥포 앞바다에서 원균은 왜선 30척을 침몰시켰으며, 다시 사천만 앞바다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이 싸움에서 대승한 아군은 계속 적을 추격하여 영등포(거제도 앞바다)에서 도망하는 적선을 발견하고

    웅천 합포까지 추격하여 이를 거의 전멸시켰다."(퍼온 글)

 

 

 

                       옥포루.

               매표소를 통과한 후 아래 주차장으로 가지 않고 옥포루와 기념대첩비가 있는 위로 올라 왔다.         

                   전망대 역활을 겸하고 있는 옥포루에 오르면 정면으로 보이는 옥포만의 푸른 바다를 볼 수 있다.

 

                        멀지 않은 옥포만에  대우조선해양의 옥포조선소가 웅장한 위용을 떨치고 있어 흡사,

                옥포대첩의 전승을 이어주는 후예노릇이라도 하는 듯하다.                      

 

                            대첩비.

                   옥포루 뒤로 30m 높이의 옥포대첩비가 우뚝 서 옥포만을 주시하고 있어, 다시는 임진왜란 같은 전쟁의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의지를 표하는 듯한다. 

 

                              참배단은 "충"자 형상의 조형물로 기념탑 뒤편에 위치해 주변의 해송 숲과 함께

                    풍수지리에 전혀 문외한인 선돌의 눈에도 명당자리처럼 생각된다.

 

                            옥포루, 대첩비, 참배단 주위 해송들은 바다를 바라보는 눈을 더욱 즐겁게 한다. 

 

                          대첩비와 옥포루를 관람한 후, 아래의 주차장에  차를 세운 후 안내판을 읽어본다.

 

                            왼 편에 장군을 모신 사당. 오른 편에는 2층의 기념관이 보인다.

 

                              먼저 사당으로 발길을 돌려계단을 오르니.

 

                                   판옥선 외 48점을 전시. 

                              거북선과 판옥선을  재현해 놓아 눈길을 끈다. 옥포해전당시 주력함으로 승리을

                   이끌어 낸 판옥선과 거북선을 재현한 것이 보인다. 비록 모형이지만  흐뭇해지는 기분이

                   어쩐지 세계의 조선산업의 선두주자를 지키는 것은 조상들의 배 만드는 무형의 기술을

                 " 선천적으로 타고 나지 않았나 "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사당입구인 경충문.

 

 

 

                              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에는 이충무공 영정 외 5점이 전시되었다. 

 

                             장군의 영정.

 

 

                           기념관에는 옥포전해도 외 26점 이 전시되어 있는데  대첩시, 선봉장 역할을 했던 이운룡의

                편지와 진사록, 임진유사 등 문헌들과

 

                                  전쟁당시 사용되었던 화총 등 무기류, 장군이 사용했던 칼, 그 외 많은 것이 전시되어

                     비록 인공적인 손길이 가미되어 조성된 기념공원이지만, 학생들에게 이 순신장군의 위대한

                    정신을 계승시킬 교육자료로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 본받아야 할 장군의 지도력과 훌륭하신 면을 열거하면

                        ☞ 첫째  수군으로서 뛰어난 정보력으로 왜란의 조짐을 사전에 간파,수군조력에 필역 거북선의

                                  제작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철갑선으로 평가된다.

 

                        ☞ 둘째 해전 뿐만 아니라 전세계 전투 역사사상 최소의 인원으로 가장 많은 적을 섬멸한 최고의 

                                  기록이 수립된다.   

                      

                        ☞ 셋째  당시 각국 수군의 전쟁은 육군과는 달리 그 나라 최고의 군사무기가 동원되는 최첨단

                                 전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순신의 수군은 신기전,지자총통,현자총통 등과 거북선, 판옥선으로

                                  왜란당시 유일하게 일본군을 앞지르는 화력을 보유하여 최고의 정예부대로 거듭나게 된다.

                       

                        넷째   부하에 대한 이순신장군의 배려는 상상을 초월, 왜란 당시 이순신이 통제한 삼도 수군만이

                                  전사한 모든사람의 이름이 기록에 남아  지금의 여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군 장교 뿐만

                                  이 아니라 일개 노비출신의 병사의 이름도 정확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순신의 부하에 대한

                                 사랑을 엿 볼수 있다.

 

                                                  위   치  : 경상남도 거제시 옥포2동

                                                  전   화 : TEL: 055-639-8129

                                    

                                  주변 볼거리 : 김영삼 대통령 기록전시관, 덕포해수욕장, 대금산 등의 관광지와 장목진객사ㆍ

                                                  구영등성ㆍ구율포성ㆍ이수도패총 등의 유적지가 있다.